콩 재배 포장의 토양 수분함량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Machine-learning Technology for Predicting Soil Moisture Content in Soybean Cultivation Fields
저자
김보경 ( Bo-gyeong Kim ) ; 박수환 ( Soo-hwan Park ) ; 이보영 ( Bo-young Lee ) ; 김민지 ( Min-jee Kim ) ; 상완규 ( Wangyu Sang ) ; 서명철 ( Myung Chul Seo ) ; 백재경 ( Jaekyeong Baek ) ; 모창연 ( Changyeun Mo )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주제어
KDC
5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9-119(1쪽)
제공처
최근 들어 이상기후로 인해 폭염과 장마기간 증가 등으로 농가의 피해는 증가하고 있다. 토양 수분함량이 과습 상태일 경우 뿌리호흡을 방해하고, 건조할 경우 정상적인 생육이 어렵다. 이에 노지에서 재배되는 작물들에 ICT 기술이 적용된 생육상태진단 및 처방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노지 작물은 재배 면적이 넓어 모든 영역에서 센서를 설치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 어려우므로 센서를 최소로 설치하여 재배 포장의 생육상태를 진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콩 재배 포장에 설치된 1개 토양센서로 획득한 데이터로 토양수분함량 예측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다른 재배 영역에 설치된 토양센서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지 구명하고자 하였다. 전북 완주군 소재 국립식량과학원의 콩 노지재배포장에 토양센서를 설치하여 토양수분함량을 측정하였다. 대풍콩과 풍산나무콩의 두 가지 품종에 대해 각 재배포장은 5m x 5m 크기로 토양센서가 5개씩 설치되어 10cm, 20cm, 30cm 깊이의 토양데이터를 10분 단위로 수집했다. 재배포장 인근에 IoT 기반 환경센서를 설치하여 강수량, 기온, 일사량 등의 기상정보를 측정하였으며, 실험은 2020년 7월부터 10월까지 수행되었다. 실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한 개의 토양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로 다른 토양센서가 설치된 다른 4곳의 1시간 후, 3시간 후, 6시간 후, 12시간 후, 24시간 후의 토양 수분함량을 예측하는 부분최소제곱회귀모델(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을 개발하였다. 1시간 후를 예측한 PLSR모델이 가장 우수한 결과(R² 0.94253, RMSE 2.85%)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특정 토양센서가 인근에 위치한 토양센서들을 대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추후 영상기반 생육진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간계열 분석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