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고려시대 山林政策에 대한 기초적 검토- 산림정책의 推移를 중심으로 - = The basic study on the Forest Policies of Goryeo Dynasty : Focused on changes in forest policy
저자
오치훈 (고려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87-218(32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In the premodern society, all the living necessities such as wood and other forest products for heating, cooking, and building materials were obtained from forests. The country was interested in the use of these forest resources. In the Goryeo period, a forest policy based on the idea of Feng Shui and the Confucian nature was carried out. This was a protection aspect for the utilization of forest resources, but it was ideal rather than legal aspect.
Goryeo’s forest policy continued in a similar way,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Monthly Ordinance(月令) by Confucian political ideology of King Sungjong(成宗) and the ban on the protection of King Hyeonjong(顯宗). Since the 12th century, the scarcity of forest resources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expansion of agricultural lands, and measures have been taken to plant trees and ban forests.
However, since the military regime(武臣政權), forest degradation and monopolization of forest use have increase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military rulers(武臣執政) has begun to increase the amount of construction projects and the forest usage has increased rapidly before and after the war with Mongolia and the relocation of the capital. Under the Mongolian rule, a large amount of forest resources were used for the two times conquests of Japan, and the plundering of wood by Mongolia was severe. The monopoly of forests became more serious in the late Goryeo period. The monopoly was prohibited and punished, but it was not a fundamental measure.
In this situation, Jeonsigwa(田柴科) which supplied siji(柴地), collapsed and the supply of forest resources through the receipt of Gongbu(貢賦; tribute and taxation) and So(所) was not smooth. In the end, Goryeo’s forest policy did not prevent the monopoly of forests, and this situation forced a new dynasty to be established and resolved.
전근대사회에서 난방, 취사, 건축 자재에 소요되는 목재와 기타 임산물 등 생활필수품은 모두 산림에서 구하였으며, 이러한 산림 자원의 이용에 국가가 관심을 기울이고 있었다. 고려시대에는 풍수지리 관념과 유교적 자연관에 바탕을 둔 산림정책이 실시되었으며, 이는 산림자원의 활용을 위한 보호의 측면도 있으나 법률적이기 보다는 관념적인 면이 작용한 것이었다.
고려의 산림정책은 성종대 유교정치이념에 의한 「月令」의 준수, 현종대 산림보호에 관한 禁令의 실시 이후 대개 유사한 방식으로 지속되었다. 12세기 이후 개간의 확대 등으로 산림 자원의 희소성이 보다 높아지는 가운데 식재와 송충이 피해 방지, 산림의 사점 금지 등 조처가 내려졌다. 그러나 무신정권 이후 산림의 훼손과 산림 이용의 독점 현상이 증가하였다. 무신집정에 의해 무분별한 영선 사업이 늘어났고 몽골과의 전쟁과 강화 천도를 전후로 산림 이용이 급증하였기 때문이다. 元의 지배아래서 두 차례 이루어진 일본 원정에 막대한 산림자원이 소요되었으며 元에 의한 목재의 수탈도 심하였다.
고려후기 산림의 私占 현상은 더욱 심각해졌다. 사점을 금지하고 처벌하였으나 근본적인 대책이 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지를 공급하던 전시과도 붕괴되었으며 貢賦의 수취와 所를 통한 산림자원의 공급도 원활하지 못하였다. 결국 고려의 산림정책은 산림의 사점을 막지 못하였고, 이는 새 왕조가 들어서면서 해결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전개되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1 | 1.11 | 1.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3 | 1.05 | 2.153 | 0.4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