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무화과』에 나타난 1930년대 경성의 장소성 = The Placeness of 1930s"s Kyeongsung in the fig tre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00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95-427(33쪽)
KCI 피인용횟수
4
DOI식별코드
제공처
근대 도시 경성의 문학적 재현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고는 염상섭의 『무화과』를 통해 강점기 도시 경성의 장소성을 고찰하였다. 고찰의 방법으로는 에드워드 렐프가 제시한 장소성 3요소-물리적 환경, 인물의 활동, 장소의 의미-와 함께 장소감의 항목을 점검하였다. 이를 위해 배경을 가정집, 일터, 규율공간 - 착시의 공간으로 나눠 살펴보았다. 『무화과』에는 여러 인물의 집이 나오고 유치장과 병원, 백화점과 극장으로 장소의 대조도 이뤄진다. 인물들은 집에서 행복한 ‘가정’의 감을 갖지도, 일터에서 자아실현감이나 성취감을 갖지도 못한다. 일터인 신문사에서 인물들은 일을 하기보다 눈치보고 돈에 골몰하는 모습이다. 이들은 일탈의 장소를 탐닉한다. 경성은 극단적으로 구획된 대조의 장소감을 보인다. 유치장과 극장을 오가다 보니 인물들은 경성이라는 현실의 장소를 떠나기에 급급하다. 염상섭이 『무화과』를 통해 표현한 소외감과 부당함을 비롯한 장소에 대한 감정은 조선에 대한 일제 강점의 부당함을 드러내는 작업이었다. 그는 비판적으로 도시를 바라보고 있다. 식민지인의 소외의식을 망국의 고도, 식민지적 근대화의 표본인 서울을 통해 느꼈던 작가는 서울 곳곳을 둘러보며 그 감정을 표현하고 있었던 것이다.
더보기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 modern city, Kyeongsung has an important meaning.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laceness of Kyeongsung, the city in Japan colonial period by Yeom Sang-seop"s novel, the fig tree. It"s space was a number of people"s house, and achieved to contrasts of places, detention centers and hospitals, department stores and theaters in the fig tree. People do not even have a sense of "home" at home, self-realization and fulfillment in the workplace. People are not work but noticed and preoccupied with money. in newspaper. They indulged in the place of departing. Kyeongsung showed a sense of place of contrasts extremely compartmentalized. Yeom Sang-seop"s writing a sense of place, including alienation and injustice represented by the fig tree was revealing the injustice of the Japanese occupation of the Korean. The arthor felt alienated consciousness of the colonists through the altitude, the capital of colonial modernization and expressed his feelings and explore the places in Seoul.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2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통일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3-2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논총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89 | 1.222 | 0.1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