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고교학점제에서의 학생평가에 대한 국외 사례 연구 = An International Case Study on Student Achievement Assessment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49-274(26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The introduction of a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2022 follows in the steps of a plethora of curriculum studies which have focused on topics such as expanding the range of subjects offered and the minimum number of credits required for graduation. Moreover, sufficient discussion and policies regarding achievement assessment and the utilization of credits for college admissions are needed to implement an evaluation system in high schools.
Against this backdrop,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student achievement assessment in the USA, Germany, and Australia which currently implement a high school credit system which encompass graduation requirements and minimum credits, grade calculations, student evaluation methods, and the use of high school grades in college admissions. The results of the international case studies indicate that these countries - based on a high degree of teacher autonomy and trust strongly built into teachers’ evaluation - maintained a criterion-referenced evaluation system graded by achievement percentile according to national or state evaluation standards. In addition, teacher-specific evaluation was implemented and efforts were made to derive reliable evaluation results by clearly describing evaluation standards and ensuring that evaluation is objective and fair through teachers’ councils. Lastly, it was found that minimum achievement standards were set, what constitutes a failed credit stated, and credit recovery was allowed. In the case of failed credits, which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verall achievement of credits and graduation, remedial measures were provided to support students. Some important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are as follows: (1) to implement a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Korea successfully, criterion-referenced evaluation and teacher-specific evaluation should be introduced. However, measures should be taken to prevent grade inflation and secure reliability and fairness in teacher evaluation; and (2) graduation requirements and minimum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be defined to include the criterion of credit failure and credit recovery should be offered.
2022년 고교학점제 도입에 앞서 그동안 많은 연구가 과목 선택권 확대 및 졸업을 위한 학습량 등교육과정 측면을 중심으로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못지않게 고등학교 현장에서는 평가 및대입에서의 활용 등 평가 체제에 대한 충분한 논의와 관련 제도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고등학교에서 학점제를 운영하고 있는 미국, 독일, 호주를 대상으로 졸업 요건 및 이수 학점, 성적산출방식, 학생평가 방식, 대입에서의 활용 방식 등을 조사하였다. 이들 국가는 모두 교사의 평가권에대한 자율성과 신뢰를 바탕으로 국가 또는 주 수준에서 관행적으로 사용되는 평가 기준이 있으며 주로성취백분율을 활용하여 절대평가 체제를 유지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별 평가를 실시하고 있었으나, 교사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만큼 신뢰로운 평가 결과 산출을 위해 평가 기준을 명확히 제시하고, 교사별협의회를 실시하는 등 비교적 객관화되고 공정한 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최소 이수 성취기준을 설정하여 미이수 학점을 부여하였으며 미이수자의 재수강을 허용하였다. 미이수결과는 학점 취득 및 졸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미이수를 예방하기 위한 지원과 조치를 갖추고있었다. 우리나라에서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해서는 평가제도와 관련하여 절대평가와 교사별 평가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고, 내신 부풀리기를 방지와 교사의 평가 신뢰성과 공정성을 확보하는 방안이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졸업 요건, 과목 이수 기준 설정, 미이수 및 재이수에 대한 제도 마련이 병행되어야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12-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5-1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교육과정평가연구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7 | 0.87 | 1.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2 | 0.77 | 1.353 | 0.8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