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원동민족혁명단체대표회와 한국독립운동 (1) -대회 개최의 배경과 준비 = The Congress of the Communist and Revolutionary Organizations of the Far East and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Background and Prepar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7-134(48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is article is the first one of the two articles which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gress of the Communist and Revolutionary Organizations of the Far East' and Korea independence movement. First of all, I provide a description of the two time postponement of the congress since the Communist International convened the congress against the Washington Conference in August 1921. It was originally intended to be held in Irkutsk on November 11, 1921, but was postponed to December due to lack of preparation and late arrival of the delegates.(First postponement) It was postponed again with the location being changed to Moscow (Second delay).
The reason for this was that it was not easy to proceed with the congress because of the remote location along with a proposal to wait for the results of the Washington Conference and thus be able to respond and criticize imperialism more effectively. Apart from the official reasons, there was also the intent of promoting propaganda to display a bright prospect of the revolutionary tasks in the Far East to the Russian masses of Moscow. In this regard, the author highlight the role of the prominent socialist Katayama Sen of Japan.
Secondly, I discussed the question on the the name of the congress. In order to clarify the confused explanations about the name, this article analyzed the changes in the names appearing in official document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is clarified that the name, ‘the First Congress of the Communist and Revolutionary Organizations of the Far East’ as used in ‘the Manifesto to the peoples of the Far East’ was adopted at the congress.
Before and after the congress,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faced many pending issue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a unified national revolutionary organization, Moscow fund, and the factional struggle between the two Korean Communist Parties: the Shanghai and Irkutsk Groups. The roles of the leaders of the Far Eastern Secretariat of the Communist International (Shumiatsky, Voitinsky, etc.), who organized and took in charge of the congress, were very important. The direction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were dependent on how they led the congress. We argue in the article that the success of the congress should be judged on whether or not the congress overcame the disruption of factional struggle since 1921, symbolized by the Svobodny City Incident (June 1921).
이 글은 원동민족혁명단체대표회와 한국독립운동의 관계를 다룬 두 편의 논문 가운데 첫번째에 해당하며, 대회 개최 전까지의 시기를 다루었다. 이 글에서는 첫번째로 국제공산당 집행위원회가 1921년 8월 워싱톤회의에 대항하여 대회 소집을 제창한 이래 대회 개최가 두 차례 연기된 사실을 밝혔다. 즉, 처음에는 1921년 11월 11일 이르쿠츠크에서 개최하려고 했으나 대표들의 도착 지역과 준비 부족 때문에 같은 해 12월로 연기하였다.(1차 연기) 그리하여 대회장소인 이르쿠츠크에 집결한 각국 대표들이 민족별 회의와 분과별 회의를 통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는 등 대회 준비가 어느 정도 되었지만, 다시 다음 해 1월 하순으로 연기되고 장소도 모스크바로 변경되었다.(2차 연기).
그 이유는 개최장소가 멀어 행사 진행이 쉽지 않다는 점과 워싱톤회의의 결과를 기다려 보다 많은 자료들을 갖고 제국주의를 비판하자는 제안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이유 외에도 모스크바의 러시아대중들에게 동양혁명에 대한 밝은 전망을 보여주고자 하는 선전홍보의 목적도 있었다고 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의 저명한 사회주의자 카타야마 센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둘째, 이 글에서는 대회의 명칭에 관한 혼선을 정리하기 위하여 공식적 문건상에 나타난 명칭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 분석의 결과, 이 글에서는 대회에서 채택한 바, 원동의 각민족에게 보내는 선언서(Manifesto)에서 사용한 ‘the First Congress of the Communist and Revolutionary Organizations of the Far East (원동의 공산주의적, 혁명적 조직들의 제1회 대회)’이 참가 대표들의 성격에 부합한다고 보았다.
대회의 개최를 전후하여 한국독립운동세력은 통일적 민족혁명기관의 수립문제(임시정부 개혁문제), 모스크바자금 문제나 상해파와 이르쿠츠크파의 분파투쟁 등 여러 현안문제들에 직면해 있었다. 당시 조선혁명에 대한 지대한 영향력을 갖고 있던 국제공산당 동양혁명 책임자들( 슈미야츠키, 보이틴스키 등 원동서기국 간부들)의 역할은 매우 중요했다. 이들이 대회를 어떻게 이끌어가느냐에 한국독립운동의 향방이 달려 있었다. 대회는 자유시참변으로 상징되는 1921년 이후의 파벌투쟁의 폐해를 극복해야 하느냐 여부에 그 성공 여부가 결정될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5-3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외대사학 -> 역사문화연구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5 | 0.75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6 | 0.49 | 1.216 | 0.2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