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경영정보 시스템 . 1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 목차
    • 제1부 SI/MIS를 위한 조직 기술
    • 제1장 SI/MIS의 도전과 기회
    • 학습목표
    • 제1절 정보화 시대로의 발전 = 4
    • 1. 정보사회의 발전 = 4
    • 2. 정보화 사회의 특징 = 5
    • 2.1 사회의 정보화 = 5
    • 2.2 정보사회와 산업 = 8
    • 2.3 정보사회의 인간성 = 8
    • 3. 2000년대의 정보사회 = 9
    • 사례 : 정보화 열기와 함께 '일취월장' = 10
    • 제2절 정보의 개념 및 특성 = 13
    • 1. 데이터, 정보 및 지식 = 14
    • 2. 유용한 정보의 특성 = 15
    • 3. 정보의 가치 = 16
    • 4. 정보의 흐름과 의사결정 = 16
    • 이 장의 인물 : 차세대 정보서비스 개발 = 17
    • 제3절 시스템 개념 및 종류 = 19
    • 1. 시스템의 개념 = 19
    • 2. 시스템의 종류 = 20
    • 2.1 단순(Simple)시스템과 복잡(Complex)시스템 = 20
    • 2.2 개방(Open)시스템과 폐쇄(closed)시스템 = 21
    • 2.3 안정(stable)시스템과 유동(dynamic)시스템 = 21
    • 2.4 적응(adaptive)시스템과 비적응(nonadaptive)시스템 = 22
    • 2.5 영구적(permanent)시스템과 일시적(temporary)시스템 = 23
    • 3. 시스템 형태별 조직체의 분류 = 23
    • 4. 시스템의 작용과 기준 = 24
    • 5. 시스템의 가변성과 변수 = 24
    • 6. 시스템 모형 = 25
    • 6.1 해설적(Narrative)모델 = 25
    • 6.2 물리적(Physical)모델 = 26
    • 6.3 도식(Schematic)모델 = 26
    • 6.4 수식(Mathematicl)모델 = 27
    • 제4절 정보시스템 개념 및 필요성 = 27
    • 1. 정보시스템과 구성요소 = 27
    • 1.1 입력(input) = 29
    • 1.2 처리(processing) = 30
    • 1.3 출력(output) = 30
    • 1.4 피드백(feedback) = 31
    • 2. 컴퓨터 이용 정보시스템 = 31
    • 2.1 하드웨어(Hardware) = 32
    • 2.2 소프트웨어(Software) = 32
    • 3. 컴퓨터 이용 정보시스템의 변화 = 34
    • 3.1 거래처리 시스템(transaction processing systems) = 35
    • 3.2 경영정보 시스템(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 35
    • 3.3 의사결정지원과 그밖의 지원 = 36
    • 4. 사업 관점에서의 정보시스템 = 37
    • 4.1 조직 = 37
    • 4.2 관리 = 38
    • 4.3 기술 = 39
    • 5. 현대적 정보시스템의 접근법 = 39
    • 5.1 기술적 접근법(Technical approach) = 39
    • 5.2 행동과학적 접근법(Behavioral approach) = 40
    • 5.3 사회기술적 접근법(Socio-technical approach) = 41
    • 6. 정보시스템의 필요성 = 41
    • 7. 정보시스템의 이점 = 42
    • 제2장 SI/MIS의 전략적 역할
    • 학습목표
    • 제1절 조직의 시스템 = 54
    • 1. 경영활동 수준에 따른 정보 시스템 = 54
    • 1.1 조직기능에 따른 정보시스템 = 54
    • 1.2 정보지원 수준에 따른 정보시스템 = 55
    • 2. 정보시스템의 형태 = 56
    • 3. 시스템간의 상호관계 = 58
    • 사례 : 호주 Commonwealth Bank의 정보화 = 59
    • 제2절 전략적 수단으로서의 정보 = 61
    • 1. 전략의 개념과 형성 = 61
    • 2. 경쟁전략 모형 = 62
    • 2.1 경쟁세력 모형 = 62
    • 2.2 가치사슬 모형 = 63
    • 2.3 3가지 본원적 전략 = 64
    • 2.4 사례고객과 공급업자의 연결로 경쟁력 강화 = 65
    • 3. 정보시스템을 위한 전략적 역할 = 66
    • 이 장의 인물 : 우정 정보화 사업 = 68
    • 제3절 전략정보시스템 = 69
    • 1. 전략정보시스템의 개념 = 69
    • 2. 전략정보시스템의 구축 및 활용 = 70
    • 2.1 성공적인 구축 요건 = 70
    • 2.2 전략정보시스템의 활용 = 72
    • 제3장 조직차원에서의 정보시스템
    • 학습목표
    • 제1절 조직과 정보시스템사이의 관계 = 84
    • 1. 조직과 정보기술의 상호작용 = 84
    • 2. 조직이란 = 85
    • 2.1 페로우의 연구 = 86
    • 사례 : 새 밀레니엄 R&D 조직문화 = 88
    • 제2절 조직의 주요한 특성 = 90
    • 1. 표준운영절차(Standard Operation Procedures) = 90
    • 2. 조직 정치사(Organizational Politics) = 91
    • 3. 조직 문화(Organizational Culture) = 91
    • 4. 조직의 유일한 특성 = 91
    • 이 장의 인물 : 유통망 전산화로 '투명 경영' = 92
    • 제3절 정보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조직 = 93
    • 1. 정보기술과 체계에 영향을 주는 조직 = 93
    • 2. 정보기술에 영향을 주는 의사결정자 = 93
    • 3. 조직에서 정보시스템의 역할과 관리 = 95
    • 제4절 정보시스템과 조직의 변화 = 97
    • 1. 조직변화의 접근법 = 97
    • 2. 정보시스템 도입으로 인한 조직 변화 = 98
    • 2.1 과업구조의 변화 = 98
    • 2.2 인력구조의 변화 = 99
    • 2.3 조직구조의 변화 = 99
    • 2.4 조직문화의 변화 = 100
    • 3. 조직의 변화와 조직구성원의 저항 = 100
    • 4. 조직의 변화 = 101
    • 제5절 정보시스템 조직 = 103
    • 제6절 정보시스템에 대한 연구 = 105
    • 1. 경제학적 이론(Economic Theories) = 105
    • 1.1 미시경제이론적 관점(Microeconomic Theory) = 105
    • 1.2 거래비용이론적 관점(transaction Cost Theory) = 106
    • 1.3 대리이론적 관점(Agency Theory) = 107
    • 2. 행동과학이론(Behavioral Theories) = 108
    • 2.1 의사결정이론(Decision Theory) = 108
    • 2.2 사회학 이론(Sociological Theory) = 109
    • 2.3 후기산업이론(Postindustrial Theory) = 110
    • 2.4 문화이론(Cultural Theories) = 111
    • 2.5 정치이론(Political Theories) = 111
    • 제7절 정보, 경영 그리고 의사결정 = 112
    • 1. 경영자들이 하는 것은 무엇인가? = 112
    • 2. 경영의 학습 = 113
    • 제4장 사회차원에서의 정보시스템
    • 학습목표
    • 제1절 시스템과 관련된 윤리적, 사회적 문제 = 124
    • 1. 정보화시대의 5가지 도덕적 구분 = 124
    • 2. 정보사회에서의 윤리 = 126
    • 3. 정보화 역기능 방지 대칙 = 126
    • 3.1 정보화 역기능 문제의 대두 = 126
    • 3.2 정보화 역기능 방지대책 = 127
    • 3.3 컴퓨터 사고, 범죄에 대한 사례(예시) = 127
    • 사례 : 지식기반 국가와 정보기술 = 129
    • 제2절 데이터통신 보안 실무사례 = 131
    • 1. 통신보안 = 131
    • 2. 데이터보안(워드프로세서) = 132
    • 3. 시큐리티요소 = 133
    • 4. DACOM PC설치 보안대책(사례) = 133
    • 4.1 개요 = 133
    • 4.2 사용업무 및 제한업무 = 133
    • 4.3 보안대책 = 134
    • 이 장의 인물 : 사이버진료시대 열어가는 = 136
    • 제3절 컴퓨터 바이러스의 예방 및 치료 = 136
    • 1. 컴퓨터 바이러스의 정의 = 136
    • 2. 컴퓨터 바이러스의 기능 = 136
    • 3. 컴퓨터 바이러스의 감염과정 = 137
    • 4. 컴퓨터 바이러스의 분류(존재하는 영역에 따른 분류) = 137
    • 5. VIRUS 설문조사 = 138
    • 6. 컴퓨터 바이러스의 일반적 예방책 = 139
    • 7. 예방방법 = 140
    • 8. 치료방법 = 141
    • 제4절 정보산업분야 지적소유권 = 141
    • 1. 정보산업분야 지적소유권 내용 = 141
    • 1.1 기본개념 = 141
    • 1.2 분야별 지적소유권 현황 = 141
    • 1.3 지적 소유권 안과제 = 142
    • 2. 컴퓨터프로그램 보호제도 운영 = 142
    • 2.1 목적 = 142
    • 2.2 근거 = 142
    • 2.3 프로그램 등록업무 위탁 = 142
    • 2.4 프로그램 등록현황 = 143
    • 3. UR의 지적소유권 협상 내용 = 143
    • 3.1 지적소유권 = 143
    • 3.2 UR / 지적소유권 협상현황 = 143
    • 3.3 10년전 UR협상시 과기처 입장 = 144
    • 4. 정보화사회와 프라이버시 = 144
    • 제5절 지적재산권 = 147
    • 1. 변천사 = 147
    • 2. 지적소유권의 정의 = 147
    • 3. 신지적 재산권의 태동 = 147
    • 4. 신지적 재산권의 정의 = 148
    • 5. 컴퓨터 프로그램의 가치 = 148
    • 6. 컴퓨터 프로그램은 왜 보호되어야 하나? = 150
    • 6.1 컴퓨터 프로그램저작권 실태와 문제점 = 150
    • 6.2 컴퓨터 프로그램 보호법 제정, 배경 = 150
    • 6.3 컴퓨터 프로그램 보호법의 주요내용 = 152
    • 7. 불법복제 유형과 사례분석 = 153
    • 7.1 단순복제에서 고도의 복제기술 출현 = 153
    • 7.2 불법복제의 사례와 처벌 = 154
    • 7.3 불법복제에 따른 소프트웨어 유통업계의 침체현황 = 156
    • 8. 불법복제물 사용의 근절방안 = 156
    • 8.1 국민전체의 감시자 역할 = 156
    • 8.2 정부가 해야 할 일 = 157
    • 8.3 컴퓨터 프로그램보호법 강화추진 = 158
    • 8.4 개정추진 주요내용 = 158
    • 8.5 기업 등 조직이 해야 할 일 = 159
    • 8.6 이용자, 소비자 개인이 해야 할 일 = 160
    • 8.7 21세기 소프트웨어 산업의 발전모습 = 162
    • 제2부 SI/MIS를 위한 정보기술
    • 제5장 컴퓨터 시스템(H/W, S/W)
    • 학습목표
    • 제1절 컴퓨터 시스템의 개념 = 172
    • 1. 컴퓨터 시스템 구성요소 = 172
    • 2.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CPU) = 174
    • 2.1 제어장치(Control Unit) = 174
    • 2.2 연산논리 장치(arithmetic logic unit) = 176
    • 2.3 중앙처리장치의 특징 = 177
    • 3. 주기억 장치(primary storage, main memory) = 179
    • 3.1 주기억 장치의 구성 방법 = 179
    • 3.2 주기억 장치의 용량 = 180
    • 4. 병렬처리 = 181
    • 5. 보조기억장치 = 182
    • 5.1 자기 테이프 = 183
    • 5.2 자기디스크 = 184
    • 5.3 자기 드럼 = 186
    • 6. 입력장치(Input Unit)와 출력장치(Output Unit) = 188
    • 6.1 데이터 엔트리(data entry)와 입력(data input) = 188
    • 6.2 입력장치 = 189
    • 6.3 출력장치 = 189
    • 사례 : SW산업 발전을 위한 제언 = 190
    • 제2절 컴퓨터시스템의 유형 = 192
    • 1. 소형 컴퓨터 = 192
    • 2. 탁상용 컴퓨터 = 192
    • 3. 미니컴퓨터 = 192
    • 4. 범용컴퓨터 = 192
    • 5. 전용컴퓨터 = 193
    • 이 장의 인물 : 웹기반 그룹웨어 = 194
    • 제3절 자료의 표현 = 195
    • 1. 비트(Bit) = 195
    • 2. 바이트(Bytes) = 195
    • 3. EBCDIC코드 = 196
    • 4. ASCII코드 = 197
    • 제4절 소프트웨어 = 199
    • 1. 소프트웨어란 = 199
    • 2. 프로그래밍 언어의 발전 = 199
    • 3. 소프트웨어의 분류 = 200
    • 3.1 시스템 소프트웨어 = 202
    • 4. JAVA와 소프트웨어 혁명 = 217
    • 4.1 JAVA의 기술 = 217
    • 제6장 데이터베이스
    • 학습목표
    • 제1절 데이터 관리 = 230
    • 1. 데이터의 체계 = 230
    • 2. 데이터 엔티티, 속성 그리고 키 = 232
    • 3. 전통적 데이터 관리 = 232
    • 3.1 데이터 중복성 = 234
    • 3.2 종합적인 정보취득의 어려움 = 235
    • 3.3 프로그램의 화환성 = 235
    • 5. 데이터 관리에서의 데이터베이스의 접근 = 236
    • 사례 : DB 마케팅 구축 열기 뜨겁다 = 237
    • 제2절 데이터베이스 방식(Database) = 239
    • 1. 논리적(Logical) 그리고 물리적(Physical) 접근과 레코드 = 241
    • 2. 스키마(schemas)를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243
    • 3. 자료사전(Data Ductuibary)사용 = 244
    • 4.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 247
    • 이 장의 인물 : 데이터 웨어하우스 = 249
    • 제3절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 250
    • 1. 계층적(Hierarchical) 데이터 모델(Data Model) = 250
    • 2.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Network Data Model) = 251
    • 3. 관계적 데이터 모델(Relational Data Model) = 252
    • 4. 세가지 데이터베이스 모델의 장점과 단점 = 254
    • 5. 데이터베이스 구축하기(Creating a Database) = 256
    • 제4절 데이터베이스 추세 = 259
    • 1. 분산 처리와 분산된 데이터베이스 = 259
    • 2. 목적지향적 그리고 초대형 데이터베이스 = 262
    • 3. 멀티미디어 데이터 관리 = 264
    • 4. 데이터웨어하우징(Data Warehousing) = 265
    • 4.1 Data Warehouse은 무엇인가? = 266
    • 4.2 Data Warehouse의 설치 = 266
    • 4.3 Data Warehouse의 이익 = 267
    • 제7장 정보통신
    • 학습목표
    • 제1절 통신의 개념 = 278
    • 1. 통신(Telecommunications) = 278
    • 2. 통신시스템의 개요 = 279
    • 3. 통신시스템의 구성요소 = 281
    • 4. 전자통신의 특징 = 282
    • 5. 신호의 형태 = 282
    • 6. 전송능력 = 283
    • 7. 전송방식 = 284
    • 8. 통신의 이점 = 287
    • 사례 : 무선망이용 가입자 위치 실사간 파악 = 289
    • 사례 : 외환전산망 가동 '초일기' = 289
    • 제2절 통신매체의 형태 = 290
    • 1. 물리적 케이블(physical cables) = 290
    • 1.1 복회선 케이블(twisted-wire pairs) = 290
    • 1.2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 291
    • 1.3 광섬유 케이블(fiber optic cable) = 291
    • 1.4 마이크로파와 통신위성 = 292
    • 1.5 셀룰러 서비스 = 294
    • 1.6 WATS 서비스 = 294
    • 2. 통신 하드웨어 = 295
    • 2.1 모뎀(Modems) = 295
    • 2.2 증폭기(Amplifiers) = 296
    • 2.3 멀티플렉서(Multiplexers) = 296
    • 이 장의 인물 : 미래를 내다보는 연구개발 = 297
    • 제3절 통신망 = 299
    • 1. 통신규약 = 299
    • 2. 네트워크 운영체제 = 302
    • 2.1 네트워크의 개념과 선택 = 302
    • 2.2 네트워크의 분류 = 305
    • 2.3 ATM의 등장 = 307
    • 2.4 데이터 통신의 공통 분모 = 309
    • 3. 데이터 통신법칙 = 312
    • 3.1 Polling = 312
    • 3.2 토근전달 방식 = 313
    • 3.3 Contention = 313
    • 제4절 정보통신의 활용 = 313
    • 1. 자주쓰는 활용 = 313
    • 1.1 전자메일(electronic mail) = 313
    • 1.2 음성메일(voice mail) = 314
    • 1.3 팩스(facsimile machines) = 314
    • 1.4 디지털 정보 서비스(digital information services) = 314
    • 1.5 원격지간 회의, 데이터 회의, 영상회의 = 314
    • 2. 전자정보교환 = 315
    • 3. 그룹웨어(Groupware) = 317
    • 부록(통신 연구 사례) = 319
    • 제3부 SI/MIS 분석/설계 개발기술
    • 제8장 전략정보계회과 조직재설계
    • 학습목표
    • 제1절 시스템 개발의 개념 = 346
    • 1. 시스템 개발의 관점 = 346
    • 1.1 성공적인 시스템 개발을 위한 요소들 = 346
    • 1.2 시스템 개발을 위한 잠재적 문제 = 347
    • 1.3 시스템 개발의 시작 = 347
    • 1.4 경쟁적 이점에서의 개발 = 347
    • 1.5 정보시스템의 성장의 단계 = 349
    • 2. 시스템 개발의 참여 = 350
    • 3. 경영 변화 = 351
    • 3.1 시스템 개발의 시작과 경영 변화 = 351
    • 3.2 조직 변화를 위한 접근 = 353
    • 사례 : 지구 최후의 경영은 [스피드 경영] = 355
    • 제2절 시스템 개발 수명주기(Systems life cycle) = 357
    • 1. 시스템 개발 수명주기의 의의 = 358
    • 2. 시스템 개발 수명주기법의 한계 = 360
    • 이 장의 인물 : 해외시장 공략에 역량 집중 = 362
    • 제3절 정보공학(Information Engineering) = 363
    • 1. 정보공학의 특성 = 363
    • 2. 정보공학의 4단계 = 364
    • 3. 정보공학 방법론 = 366
    • 3.1 방법론에 대한 필요성 = 366
    • 3.2 정보공학 방법론의 목적 = 368
    • 3.3 정보공학 방법론의 효과 = 368
    • 3.4 정보공학방법론의 절차 = 370
    • 제4절 정보전략계획(Information Strategy Plan) = 370
    • 1. 정보전략계획의 정의 = 370
    • 2. 정보시스템에서의 투명성문제 = 373
    • 3. 정보시스템을 어떻게 만들것인가? = 373
    • 4. 정보시스템에서 업무와 시스템과의 관계 = 374
    • 5. Business System Design의 7단계 개념과 사용자 개념 = 375
    • 6. 주요업무 및 특성 = 376
    • 7. 태스크 구성 = 377
    • 8. ISP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들 = 378
    • 9. Enterprise Engineering = 379
    • 제5절 비즈니스 프로세스 리엔지니어링 = 380
    • 1. BPR의 개념과 환경 = 380
    • 1.1 BPR의 배경 = 381
    • 2. BRP의 목적 = 382
    • 3. 프로젝트 개발 범위 = 382
    • 4. BPR의 기대효과의 예 = 383
    • 5. 현 BPR의 현황 및 문제점 = 383
    • 6. 리엔지니어링의 실행절차 = 384
    • 7. 개선과 BPR의 차이점 = 384
    • 8. BPR의 활용 = 385
    • 9. BPR 핵심분석 = 387
    • 9.1 고객가치와 요구분석 = 387
    • 9.2 업무재설계를 위한 프로세스의 정보 = 388
    • 9.3 고객 프로세스 분석 = 389
    • 10. 프로세스의 정의 = 390
    • 10.1 Processing Time 와 Cycle time = 390
    • 10.2 프로세스의 유형 = 391
    • 10.3 프로세스 설계 방법론 = 391
    • 10.4 마이클 해머의 방법론 = 392
    • 10.5 앞으로의 경영과제 = 393
    • 제9장 업무영역분석과 설계
    • 학습목표
    • 제1절 업무영역 분석(BAA) = 404
    • 1. 개략 업무영역 분석 = 405
    • 1.1 주요업무 및 특징 = 405
    • 1.2 태스크 분석 = 405
    • 1.3 업무영역분석 프로젝트의 주요 목적 = 406
    • 1.4 개략 업무영역분석 공정구조와 산출물 = 406
    • 2. 상세 업무영역 분석(DBAA) = 407
    • 2.1 주요업무 및 특징 = 407
    • 2.2 태스크 구성 = 409
    • 2.3 주요목적 = 409
    • 2.4 상세 영역업무분석 공정구조와 산출물 = 410
    • 사례 :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해법 = 412
    • 제2절 업무시스템 설계(BSD) = 414
    • 1. 주요업무 및 특징 = 414
    • 2. 태스크 구성 = 415
    • 3. 주요 특징 = 416
    • 4. 업무시스템설계가 필요한 시스템 = 416
    • 5. 업무시스템의 공정구조와 산출물 = 417
    • 이 장의 인물 : 해외시장 공략에 역량 집중 = 419
    • 제3절 기술 설계(TD) = 420
    • 1. 주요업무 및 특징 = 421
    • 2. 태스크 구성 = 421
    • 제4절 기술설계 단계의 목적 = 422
    • 제10장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 학습목표
    • 제1절 구축(Construction) = 432
    • 1. 주요업무 및 특징 = 432
    • 2. 태스크 구성 = 432
    • 3. 구축의 공정구조와 산출물 = 433
    • 3.1 시스템 구축 = 433
    • 3.2 시스템 검증 = 433
    • 사례 : 초장기 '헝그리 정신' 계속 유지 = 434
    • 사례 : "광고만 보는 돈 줍니다" = 435
    • 제2절 전환(Transition) = 437
    • 1. 주요업무 및 특징 = 437
    • 2. 태스크 구성 = 437
    • 3. 전환의 공정구조와 전환 단계 = 438
    • 이 장의 인물 : 경영 순간분석...고비용, 저효율 퇴치 = 440
    • 제3절 운용(Production) = 441
    • 1. 운용의 공정구조와 산출물 = 442
    • 제4절 최종사용자(EUC)개발 = 444
    • 1. 최종사용자의 분류 = 445
    • 2. 최종사용자 처리와 시스템 개발 = 446
    • 2.1 최종사용자 시스템 개발의 장단점 = 447
    • 2.2 최종사용자처리의 유형 = 448
    • 3. 최종사용자 처리를 위한 자원 = 450
    • 3.1 하드웨어 = 450
    • 3.2 소프트웨어 = 451
    • 3.3 지원 = 452
    • 제4부 조직지원 정보 시스템
    • 제11장 거래처리/경영정보시스템
    • 학습목표
    • 제1절 거래처리시스템(TPS) = 464
    • 1. 거래처리시스템의 전망 = 465
    • 2. 거래처리시스템의 특징 = 466
    • 3. 데이터 입력 프로세스 = 468
    • 3.1 전통적 데이터 엔티티 = 468
    • 3.2 자동화된 자료기입 = 469
    • 4. 3가지 거래처리의 방법 = 469
    • 5. 거래처리시스템의 목적 = 471
    • 6. 거래처리의 전통적 이점 = 471
    • 7. 경쟁우위를 위한 거래 처리 = 471
    • 사례 : 경영 순간분석..고비용 저효율 퇴치 = 473
    • 제2절 경영정보시스템 = 475
    • 1. 경영정보 시스템의 입력 = 476
    • 2. 경영정보 시스템의 출력 = 476
    • 2.1 정기 보고서 = 476
    • 2.2 예외 보고서 = 477
    • 2.3 요구 보고서 = 477
    • 2.4 심층 보고서 = 477
    • 3. 경영정보 시스템의 특징 = 478
    • 4. 경영정보 시스템의 기능별 분류 = 478
    • 5. MIS의 종합적 구조 모형 = 480
    • 5.1 생산정보 시스템 = 481
    • 5.2 마케팅정보 시스템 = 482
    • 5.3 재무정보 시스템 = 482
    • 5.4 회계정보 시스템 = 482
    • 5.5 인사정보 시스템 = 483
    • 5.6 국제경영 = 483
    • 이 장의 인물 : 비즈니스 솔루션 시장 주도 = 495
    • 제12장 의사결정지원/중역 시스템
    • 학습목표
    • 제1절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DSS)
    • 1.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개념 = 496
    • 1.1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특성 = 497
    • 1.2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효력 = 499
    • 1.3 DSS의 유형 = 501
    • 1.4 TPS, MIS 그리고 DSS의 통합운영 = 501
    • 2.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구성요소 = 501
    • 2.1 모델베이스 = 503
    • 2.2 모델링의 장단점 = 504
    • 2.3 사용자 인터페이스(Interface) = 506
    • 3. 집단 의사결정지원 시스템(Group DSS) = 507
    • 3.1 GDSS의 개요 = 507
    • 3.2 GDSS의 구성 = 509
    • 3.3 GDSS의 효력 = 509
    • 3.4 GDSS의 배치 = 510
    • 4. DSS의 발전 = 512
    • 4.1 DSS개발의 관련된 문제 = 512
    • 4.2 DSS개발과정의 개요 = 512
    • 4.3 DSS개발에 이용된 상업용 소프트웨어 패키지 = 514
    • 4.4 DSS개발 참여자 = 516
    • 사례 : 최적 SW 개발 부동의 '해결사' = 518
    • 제2절 중역 시스템(EIS) = 520
    • 1. ESS가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 520
    • 2. ESS의 특징 = 522
    • 3. ESS의 전략적 목표 = 523
    • 이 장의 인물 : 첫째도 지식 둘째도 지식 = 535
    • 제13장 인공지능 및 전문가 시스템
    • 학습목표
    • 제1절 인공지능(Artifcial Intelligence) = 536
    • 1. 인공지능의 전망 = 536
    • 2. 인공지능의 정의 = 537
    • 3. 지능의 근원 = 538
    • 4. 자연적 지능과 인공적 지능의 차이점 = 542
    • 사례 : 지식계량화가 지식경영의 첫걸음 = 543
    • 제2절 전문가 시스템(Expert Systmes) = 545
    • 1. 전문가 시스템에 의한 문제해결 = 545
    • 1.1 전략 목표 세우기 = 545
    • 1.2 계획 = 545
    • 1.3 디자인 = 546
    • 1.4 의사결정 = 546
    • 1.5 모니터링 = 547
    • 1.6 진단 = 547
    • 2. 전문가시스템의 능력 = 547
    • 2.1 합리적이고 타당한 해결책을 설명할 수 있다 = 547
    • 2.2 지능적인 행동을 할 수 있다 = 548
    • 2.3 상징적인 정보와 처리능력을 가지고 결정을 이끈다 = 548
    • 3. 전문가 시스템의 한계와 장점 = 548
    • 4. 전문가 시스템의 구성요소 = 549
    • 5. 전문가 시스템의 발전 = 550
    • 5.1 전문가 시스템의 셀(Shell)과 제품 = 550
    • 5.2 전문가 시스템 제품의 장점 = 551
    • 5.3 대안의 개발 = 552
    • 5.4 전문가 시스템발전과 사용의 참여자 = 554
    • 6. 전문가 시스템의 응용 = 555
    • 이 장의 인물 : 정보기술 분야 시장조사 '독보' = 565
    • 제14장 지식경영 시스템(KMS)과 EC
    • 학습목표
    • 제1절 등장 배경 = 566
    • 1. 패러다임의 변화 = 566
    • 2. 환경변화 = 567
    • 사례 : 컨턴츠업체들 '짝짓기' 열풍 = 569
    • 제2절 지식경영에 대한 접근 = 571
    • 1. 지식경영의 두가지 조류 = 571
    • 2. 지식경영의 정의 = 571
    • 2.1 지식경영의 원칙 = 572
    • 2.2 지식인 = 573
    • 2.3 기업 = 575
    • 이 장의 인물 : 향후 모든 솔루션 웹화 = 578
    • 제3절 지식경영 모델 = 579
    • 1. 지식경영 모델 = 579
    • 1.1 전략(Strategy) = 579
    • 1.2 문화(Culture) = 580
    • 1.3 평가(Measurement) = 580
    • 1.4 기술(Technology) = 561
    • 2. 지식 창조 프로세서 = 583
    • 2.1 Data/Information/Knowledge = 583
    • 2.2 지식경영의 대상이 되는 지식자본의 종류 = 584
    • 제4절 지식경영 싸이클 = 586
    • 1. 지식의 창조과정 = 586
    • 2. 지식의 진화 = 587
    • 2.1 지식변환의 4가지 창 = 588
    • 3. 지식의 축적 및 공유의 정보기술 = 590
    • 4. 지식측정, 평가 프로세스 = 591
    • 4.1 재무중심 = 592
    • 4.2 고객중심 = 592
    • 4.3 프로세스 중심 = 592
    • 4.4 개선 및 개발 중심 = 592
    • 4.5 인간중심 = 592
    • 제5절 지식경영 시스템 구축 = 594
    • 1. 지식경영 사례 = 594
    • 1.1 GM = 594
    • 1.2 스칸디아사 = 596
    • 2. 선진 기업들의 지식경영 성공요인 = 599
    • 제6절 EC의 정의 = 600
    • 1. CALS개념 변천단계(4단계)
    • CYBER KOREA21 창조적 지식기반 국가 건설을 위한 정보화 비젼 = 612
    • 제5부 최신정보 시스템 이슈 및 관리
    • 제15장 클라이언트/서버 및 인트라넷
    • 학습목표
    • 제1절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 638
    • 1. 클라이언트/서버의 개념 = 638
    • 1.1 C/S컴퓨터의 정의 = 638
    • 1.2 C/S이전의 Computer사용환경 = 639
    • 1.3 경영환경변화와 조직의 Downsizing = 640
    • 1.4 Computing Environment = 641
    • 1.5 C/S의 등장배경 = 643
    • 1.6 C/S테크놀러지 = 647
    • 2. C/S컴퓨팅의 목적과 필수요건 = 648
    • 2.1 목적 = 648
    • 2.2 필수요건 = 649
    • 3. C/S컴퓨팅의 장, 단점 = 650
    • 3.1 C/S의 장점 = 650
    • 3.2 C/S컴퓨팅의 단점 = 655
    • 3.3 C/S에 대한 미신 = 656
    • 4. C/S 구성요소 = 657
    • 5. C/S기술 동향 = 658
    • 5.1 정보기술 동향 = 658
    • 5.2 C/S 기술 3대 표준 = 658
    • 사례 : 새 밀레니엄 R&D조직문화 = 662
    • 제2절 인트라넷 = 664
    • 1. 인트라넷의 개념 = 664
    • 2. 인트라넷의 기업경영 = 665
    • 2.1 영업/마케팅 = 665
    • 2.2 연구/개발(R&D) = 670
    • 2.3 인사/총무 = 673
    • 2.4 재무/경리 = 675
    • 2.5 광고 = 678
    • 2.6 사용자 지원 = 679
    • 3. 인트라넷 전망 = 682
    • 3.1 인트라넷과 비교한 그룹웨어의 특성 = 683
    • 3.2 그룹웨어와 인트라넷은? = 683
    • 4. 인트라넷 활용현황 = 684
    • 4.1 미국의 상황 = 684
    • 4.2 미국 기업의 현황 = 685
    • 4.3 일본의 상황 = 686
    • 4.4 아즈텍 = 688
    • 5. 인트라넷 기술 = 689
    • 5.1 HTML = 689
    • 5.2 JAVA(자바) = 691
    • 5.3 네트워크 컴퓨터(대락 500달러 PC) = 639
    • 5.4 Firewall과 암호화 기술 = 694
    • 이 장의 사람들 : 인트라넷 도구 기술력 '막강' = 701
    • 제16장 정보산업정책/중소기업 전산화
    • 학습목표
    • 제1절 정보통신산업정책 = 702
    • 1. 정보통신산업의 정의 = 702
    • 2. 정보통신산업의 현황 = 702
    • 2.1 세계 정보통신 산업의 현황과 전망 = 702
    • 2.2 국내 정보통신 산업의 현황과 전망 = 704
    • 3. 정보통신산업의 분류 = 706
    • 사례 : '정보통신의 미래를 새각하는 모임' 지상중게 = 707
    • 제2절 소프트웨어산업 육성정책 = 709
    • 1. 소프트웨어 산업의 특성 = 709
    • 2. 국내 소프트웨어산업의 현황 = 709
    • 3. 세계 소프트웨어 시장 동향 = 711
    • 4. 소프트웨어 산업육성정책 = 712
    • 4.1 '97년 주요 추진실적 = 712
    • 4.2 향후 추진방향 = 713
    • 4.3 추진대책 = 714
    • 5. 소프트웨어 종합서비스 회사 설립 = 724
    • 5.1 설립형태 = 724
    • 5.2 주요기능 = 724
    • 5.3 추진일정 = 725
    • 이 장의 인물 : 새 개념의 소프트웨어산업 정책 = 727
    • 제3절 시스템 통합 산업 정책 = 728
    • 1. 시스템 통합의 정의 = 728
    • 2. 시스템 통합의 산업의 중요성 = 729
    • 3. SI산업 현황 및 문제점 = 729
    • 3.1 SI산업현황 = 729
    • 3.1.3 국내의 산업 동향 = 731
    • 3.2.4 SI업체의 외산 H/W 유통업체화 = 733
    • 4. SI산업 육성 방안 = 733
    • 4.2 수요창출 = 734
    • 4.3 SI사업자의 전문화와 협업촉진으로 사업능력 확보 = 736
    • 4.4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 촉진 = 737
    • 4.5 정보화촉진을 위한 제도개선과 실효성 있는 산업 지원 = 739
    • 제4절 중소기업 정보화 = 740
    • 1. 개요 = 740
    • 2. 중소기업 정보화 도입 환경 = 741
    • 3. 중소기업의 일반 현황 = 742
    • 4. 정보화 현황 = 744
    • 5. 중소기업이 바라는 정부의 정보화 추진 중점 과제 = 746
    • 6. 중소기업전산화 효과 = 747
    • 제7장 프로젝트 관리/감독
    • 학습목표
    • 제1절 프로젝트 관리 총론 = 752
    • 1. 프로젝트 관리의 개념과 이해 = 752
    • 1.1 프로젝트 관리의 개념 = 752
    • 1.2 프로젝트 관리의 역사 = 752
    • 1.3 현대적 관리기법 발상 = 753
    • 1.4 프로젝트관리의 필요성 = 753
    • 1.5 프로젝트관리의 목표 = 753
    • 1.7 프로젝트 관리 삼각형 : 일정, 비용, 품질관리 = 755
    • 1.8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의 역할과 효용 = 755
    • 1.9 프로젝트 관리기능-과정-단계의 구성도 = 756
    • 2. 프로젝트 관리 기술 = 757
    • 2.1 프로젝트 관련 십계명 = 757
    • 2.2 프로젝트 관리 기술 분류 예1 = 758
    • 2.3 프로젝트 관리 기술 분류 예2 = 758
    • 2.4 효과적인 프로젝트 팀구성의 12가지 특성 = 759
    • 2.5 PMI 및 PMBOK, PMP소개 = 759
    • 3. 프로젝트관리의 단계 및 단계별 업무 = 760
    • 4. 비용산정 = 765
    • 4.1 비용산정시 고려 요소 = 765
    • 4.2 Software 개발 비용의 이상과 실제 = 765
    • 4.3 비용산정기법의 분류 = 766
    • 4.4 코드를 근거로 한 산정기법 = 767
    • 4.5 기능점수 모형 = 767
    • 4.6 델파이식 산정기법 = 768
    • 4.7 과기처 기준 = 769
    • 사례 : 자신의 스킬을 관리합니다 = 771
    • 제2절 프로젝트 관리 각론 = 773
    • 1. 프로젝트 공정 관리 = 774
    • 1.1 일반적인 일정관리 계획 = 774
    • 1.2 프로젝트 공정관리 개요 = 775
    • 2. 품질관리 = 778
    • 2.1 품질 및 소프트웨어 품질 정의 = 778
    • 2.2 쥬란의 품질 삼분법 = 781
    • 2.3 소프트웨어 품질특성 및 품질부 특성 = 782
    • 2.4 ISO 9000 기본규격의 구성 = 784
    • 2.5 CMM = 785
    • 2.6 SPICE = 788
    • 2.7 ISO/IEC 표준 11179소개 = 790
    • 3. 형상관리 = 792
    • 3.1 형상관리 배경 = 792
    • 3.2 형상관리를 위한 단계별 활동 = 793
    • 3.3 형상관리 절차 = 797
    • 4. 인적자원관리 = 800
    • 4.1 프로젝트 조직, 인적관리 = 800
    • 4.2 프로젝트 조직 유형 = 801
    • 4.3 프로젝트 조직 구성 = 802
    • 4.4 의사전달 = 803
    • 5. 한국형 프로젝트관리, 시스템분석, 제도정립체계화를 위한 기반 = 804
    • 6. PEOPLEWARE = 807
    • 6.1 피그말리언 효과 = 807
    • 6.2 프로젝트 관리자의 기술과 일반적인 행동양식 = 807
    • 6.3 Mintzberg : 매니저가 해야 할 열 가지 역할 = 808
    • 6.4 Mintzberg의 관리자의 역할과 정보시스템 지원 기능 = 809
    • 6.5 프로젝트 실패의 몇가지 신호 = 810
    • 이 장의 인물 : 프로젝트 메니저 양성, 다양한 프로그램 준비 = 811
    • 제3절 프로젝트 관리기술(워크샵 및 모범답안) = 812
    • 1. 실습문제 = 812
    • 2. 워크샵 = 814
    • 3. 모범답안 = 814
    • 제4절 정보 시스템 감사의 개념 = 817
    • 1. 정보시스템의 의의 = 817
    • 1.1 정보시스템의 목표 = 817
    • 2. 전산 내부 통제 = 818
    • 3. 전산 환경의 추세 = 819
    • 4. 정보 시스템 감사의 의의와 중요성 = 819
    • 4.1 정보 시스템 감사의 의의 = 819
    • 4.2 정보 시스템 감사의 중요성 증대 = 820
    • 5. 정보 시스템 감사의 방법 및 주요 영역 = 820
    • 5.1 정보 시스템 감사의 방법 = 820
    • 5.2 정보 시스템 감사의 주요 영역 = 821
    • 6. 정보 시스템 감사의 제도 및 현황 = 821
    • 6.1 공인회계사의 재무제표 감사 = 821
    • 6.2 내부 감사인의 내부 감사 = 822
    • 6.3 정보 감사인의 정보 관련 기관 감사 = 823
    • 제18장 21C를 향한 아웃소싱과 컨설팅의 미래
    • 학습목표
    • 제1절 컨설팅 개념 = 830
    • 1. 컨설팅 개념의 등장 = 830
    • 2. 컨설팅 개념의 정의 = 830
    • 2.1 컨설팅 활동의 목적 = 831
    • 2.2 컨설팅의 대상 = 832
    • 2.3 정보시스템에서의 컨설팅 종류 = 833
    • 2.4 컨설턴트의 필수 요소 = 834
    • 2.5 컨설턴트 역할 유형에 따른 요구 업무 능력 = 837
    • 사례 : EC 아웃소싱 분야 '전력투구' = 839
    • 제2절 컨설팅 프로세스 = 841
    • 1. 조사 = 841
    • 1.1 내부요인 = 841
    • 1.2 외부요인 = 841
    • 2. 진단 = 841
    • 3. 배합조정 = 843
    • 4. 권고 = 843
    • 5. SI 분야의 세부적인 컨설팅 절차 = 843
    • 이 장의 인물 : SERI출신 SI 전문가 똘똘 = 846
    • 제3절 컨설팅 성공요인 및 컨설팅 추세 = 848
    • 1. 컨설팅 주요 성공요인 = 848
    • 2. 컨설팅 추세 = 849
    • 2.1 국내 = 849
    • 2.2 외국 = 849
    • 제4절 아웃소싱의 개념 = 853
    • 1. 아웃소싱의 등장배경 = 853
    • 2. 아웃소싱의 발전 경향 = 853
    • 3. 아웃소싱의 정의 = 854
    • 3.1 아웃소싱의 유사 개념들 = 855
    • 3.2 아웃소싱 대상 = 856
    • 4. 아웃소싱의 장점, 단점 = 857
    • 4.1 아웃소싱의 장점 = 857
    • 4.2 아웃소싱의 단점 = 860
    • 제5절 아웃소싱 프로세스 = 862
    • 1. 내부분석 및 평가 = 862
    • 1.1 사업의 비젼 분석 = 862
    • 1.2 기업문화 분석 = 863
    • 1.3 잠재적 위험에 대비 = 863
    • 2. 결정 = 864
    • 2.1 아웃소싱 결정 구성요소 고려 = 864
    • 2.2 아웃소싱 도입 결정과 전략적 중요도/수행능력과 관계 = 865
    • 3. 업체 선정 = 865
    • 3.1 업체 선정 평가 기준 = 865
    • 4. 도입 및 관리 = 866
    • 4.1 주요 도입 요소 : 계획 분야 = 866
    • 5. 평가 = 867
    • 제5절 아웃소싱 추세 = 86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