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예수 전승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에 대한 선교적 이해: Q자료를 중심으로 = Missi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Kingdom of God Revealed in Jesus: Tradition−Focus on Q Sourc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주제어
KDC
23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7-180(34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하나님의 선교( Missio Dei )의 궁극적 목적은 하나님의 나라 (basilei,a tou/ qeou)를 이루어 가는 것이다. 하나님이 주체가 되셔서 이루어가는 선교는 ‘그의 나라와 그의 의’(마 6:33)를 이루는 것이다. 그러나 19, 20세기를 거쳐 오는 동안 하나님의 선교에 있어서 하나님의 존재는 늘 선교의 주체가 되지 못했으며, 제국의 힘, 서구의 문화, 교육, 사상의 그늘에 가려져 있었다. 오늘의 한국교회의 세계선교도 대형교회 담임목사의 선교관, 선교사의 주관적 선교 이해, 교회 중심의 선교, 선교 단체 중심의 선교 그늘 아래 하나님의 선교의 본질적 요소가 무시되어 왔다. 필자는 한국교회가 세계선교에 대한 부정적 요소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속성과 하나님 나라의 본질에 대한 분명한 선교적 이해를 가져야 한다고 본다. 그래서 본 논문의 논지인 ‘하나님 나라에 대한 선교적 이해’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나님이시면서 세상에 오신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을 구체적으로 이해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인 예수 전승 가운데서 특별히 Q자료를 중심으로 그 자료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에 대해 선교적으로 이해해 보고자 한다. 첫째로, Q자료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는 하나님 나라는 초월적 내재성 속에서의 하나님 나라이다. 이 나라는 초월성과 내재성 사이의 긴장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 이것은 선교의 범위를 보여주기도 한다. 이것은 현재의 요구와 초월자의 요구 사이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하나 님의 선교는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어가는 것이다. 그의 나라에 대한 선교적 이해가 없이 이루어지는 선교를 하나님의 선교라고 말할 수 없다. 그리고 하나님 나라는 하나님이 계시는 곳, 하나님이 다스리는 곳, 하나님의 규율과 법칙이 존재하는 곳이다. 둘째로, 보편적 선민사상 속에서의 하나님 나라이다. 예수 전승을 통하지 않고 공관복음에 나타난 하나님의 나라를 이해하려고 할 때 독자의 혼동이 발생한다. 왜냐하면 하나님 나라가 이스라엘 민족만을 위한 것인지, 아니며 모든 민족과 족속을 위한 보편적이며 우주적인 하나님 나라를 언급하는 것인지가 분명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Q자료는 분명히 보편적 선민사상의 개념 속에서 이해된 하나님 나라를 말한다. 셋째로, 완전성 추구를 향한 온전성 속에서의 하나님 나라이다. 하나님은 완전하시고, 온전하시다. 그의 피조물인 인간은 완전할 수 없다. 그러나 하나님의 은혜로 온전해질 수 있다. 온전해지는 과정을 필자는 선교의 과정이라고 표현한다. 예수 전승이라는 텍스트와 21세기 교회와의 역사적 거리감을 극복하고, 하나님의 선교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마음, 뜻을 알아야 한다. 하나님을 인지하는 것은 직접 계시를 제외하고 는 환상과 계시의 통로가 되는 인간이 하나님을 어떻게 인지하느냐에 따라서 다르게 표현되었다. 물론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이해도 달랐다. 예수 당시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 나라를 이방 민족의 압제에서 벗어나 사랑, 평화, 공의를 누리는 샬롬의 나라로 이해했다. 그러기에 그들에게 있어서 하나님 나라는 묵시적 차원에서 도래할 것으로 믿었다. 하나님 나라는 현재적이며 미래적이다. 예수 그리스도가 세상에 오심으로 인해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였고, 그리고 우주적 완성을 향하여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하나님의 나라를 본론에서 선교적으로 이해 했는데, 그 이해를 현상학적 차원보다는 하나님 나라에 대한 존재론적 의미 차원에서 논한 연구이기에 이러한 내용을 실천의 현장인 선교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과제가 우리들에게 있는 것이다.
더보기The ultimate purpose of the mission of God ( Missio Dei ) is to fulfill the Kingdom of God (basilei,a tou/ qeou). The mission work with God as the agent attains “his kingdom and his righteousness” (Matt. 6:33). However, over the 19th and 20th century, the agent of God has not remained as the active agent in mission, and its presence has been covered by the shadow of imperial forces, Western culture, education, and other ideologies. Likewise, in today’s churches world mission in Korea has also set aside the fundamental elements of the mission of God. The mission is overshadowed by the missiological views of senior pastors of mega-churches, by a missionary’s subjective understanding of mission, and by a church-oriented mission, as well as organization-oriented mission. Considering this, the author believes that in order for the churches in Korea to overcome the negative elements on world mission and to proceed to a more positive state, a clear missiological understanding of both the attributes of God and the essence of the Kingdom of God is necessary. Therefore, to fully comprehend the main argument of this present thesis, “the missi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Kingdom of God,” it is required to comprehend concretely the Word of Jesus Christ: God the Son who came to earth. Among Jesus Tradition, which is the Word of Christ, this thesis will focus especially on the Q source for a missi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Kingdom of God revealed in that document. First of all, the Kingdom of God presented in Q source is the Kingdom of God in transcendental immanence. This Kingdom should thus be perceived under the tension between transcendence and immanence. This also shows the range of mission. Moreover, this should also be understood in the needs of the present times and of the transcendental being of God. The mission of God is fulfilling the Kingdom of God. The mission without missiological understanding of His Kingdom cannot be considered as the mission of God. Hence, the Kingdom of God is where God resides and reigns, and where His laws and principles exist. Secondly, this Kingdom of God is seen under universal elitism. The attempt to comprehend the Kingdom of God revealed in the Synoptic Gospel without Jesus Tradition confuses the readers, because it is not evident whether the Kingdom of God mentioned is referring to the one exclusively for the Israelites only or to a more universal one, which is for all nations and tribes. Nonetheless, the Q source clearly states the Kingdom of God from the universal elitism. Thirdly, this Kingdom of God is in completeness and geared towards perfection. God is perfect and complete. On the other hand, human beings, who are not perfect. But they can move toward completeness by the grace of Christ. Moreover, completeness is the portrayal of the ultimate stage of maturity that humans should aspire. Missionaries should also aim for completeness in their mission work. In order to not only overcome the historical distance between the Jesus Tradition and the 21st Century church,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God’s heart and His will. In the Old Testament, the recognition of God varied among God’s chosen people and the prophets according to their faith. Except direct revelation, the illustration on the perception of God differed for God’s servants were the means of vision and revelation— perceived God. Inde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Kingdom of God also differed. The Kingdom of God is both in present- and future-oriented. The Kingdom of God arrived with the coming of Jesus Christ to earth, and it is proceeding to the universal completion. This Kingdom of God is comprehended in missiological perspective in the body of the thesis;
however, since this thesis study is not in a phenomenological approach but rather in an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Kingdom of God, now the duty to apply concretely this understanding in the mission field—which is the field for practice̵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8-25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Mission Studies ->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1 | 0.84 | 0.564 | 0.6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