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을 형상화한 소설의 독서 경험을 통한 대학원생의 다문화 인식 변화 연구 = A Study on Changes in Multicultural Awareness among Graduate Students Through the Reading Experience of Novels Embodying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65-1083(19쪽)
제공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을 형상화한 소설의 독서 경험을 통해 대학원생의 다문화 인식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대학원생들에게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을 형상화한 소설의 독서 경험이 다문화 인식의 함양과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 탐색하는 데 있다.
방법 수도권 G 대학원에서 다문화교육학 전공 대학원생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독서 경험을 위해 도서 선정 기준을 정하고 선정 기준에 따라 4권의 도서를 선정하였다, 4권의 소설을 4회차로 나누어 읽고,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독서 경험 전, 독서 경험 중의 변화 과정, 독서 경험 후의 다문화 인식에 대하여 각각의 하위범주를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독서 경험 전의 연구 참여자들의 베트남 결혼이주여성들에 관한 생각은 생활력이 강한 어린 신부의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었으며, 베트남 결혼이주여성들이 겪는 어려움에 대한 이해도 피상적인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독서 경험을 통해 회차가 거듭될수록 연구 참여자들은 소설에 형상화된 문제점들을 발견하고, 다문화 인식이 변화하기 시작했다. 독서 경험 후에 연구 참여자들은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을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 인식하며, 단순한 피해자가 아닌 적극적인 행위자로 바라보게 되었으며,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을 형상화할 때 부정적 이미지가 고착되고 있는 것에 대한 우려에서 대안까지 마련하게 되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의 다문화적 인식은 베트남 결혼이주여성뿐만이 아니라 저소득 빈곤 계층, 사회적 약자들, 이주노동자까지 확대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들은 다양한 관점의 공유와 메타적 성찰을 통해 다문화 인식이 함양되었으며, 독서 경험이 다문화 인식 개선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을 형상화한 소설을 통한 독서 경험이 대학원생들의 다문화 인식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음을 보여주었으며, 본 연구에서 진행된 독서 경험은 사회적 독서의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사회적 독서를 성인을 대상으로 교육에 활용하면, 성인들의 다문화 인식을 함양하고 개선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graduate students' multicultural awareness through the reading experience of a novel embodying Vietnamese immigrant women through marriage, and to ex plore whether the reading experience of a novel embodying Vietnamese immigrant women through marriage is effective in fostering and improving multicultural awareness in adults.
Methods Six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multicultural education at a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For the reading experienc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book selection criteria were established, and four book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The four novels were read in four session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s) were conducte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subdivid ing each subcategory into the changes before and during the reading experience, and the multicultural awareness after the reading experience.
Results Before the reading experience, the research participants’ thoughts on Vietnamese immigrant women through marriage had a stereotype of young brides with strong vitality,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Vietnamese immigrant women through marriage was also superficial. However, as the reading experience continued, the research participants discovered the problems embodying in the novel, and their multi cultural awareness began to change. After the reading experience, the research participants recognized Vietnamese immigrant women through marriage as members of our society, and viewed them as active actors rather than simple victims. They also came to prepare alternatives out of concern about the negative image that was being fixed when embodying Vietnamese immigrant women through marriage. In addition, the research par ticipants’ multicultural awareness expanded not only to Vietnamese immigrant women through marriage, but also to low-income poor classes,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and migrant workers. The research participants fos tered multicultural awareness through sharing various perspectives and meta-reflec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ading experience was effective in improving multicultural awareness.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ading experience through a novel embodying Vietnamese immigrant women brought about positive changes in graduate students' multicultural awareness, and the reading experience conducted in this study has the meaning of social reading. If this social reading is utilized in education for adults, it will contribute to fostering and improving adults' multicultural awarenes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