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현대민화의 개념, 명칭, 장르의 문제 = Problems of the Concept, Name, and Genre of Modern MINWHA(民畵)
저자
윤진영 (한국학중앙연구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3-85(23쪽)
제공처
구한말 한국 채색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던 민화는 근대기를 지나며 그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지못했다. 하지만, 그 전통은 1990년대 이후 일부 화가들에 의해 계승되었고, 2000년대를 지나면서 작가층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민화는 표현 양식 또한 다양화되면서 창작의 한 장르로 주목받게 되었다.
그러나 현대민화는 개념과 명칭이 전통으로부터 분화되지 못했고, 장르의 문제 또한 논의되어야 할이슈였다.
이 논고에서 필자는 현재 화단에서 불러야 할 민화의 명칭을 ‘현대민화’ 혹은 ‘민화’로 유지하되 개념을 새롭게 정비하여 보다 실효성 있는 용어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특히 전통민화와 구분하여현대민화라고 부를 수 있는 시기를 1990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로 한정하여 민화의 정의를 전통민화와 구분하고자 했다.
민화가 창작을 지향한 채색화의 장르로 위상을 갖기 위해 먼저 표현 화법의 확장을 제안하였다. 선과 면, 일률적인 채색으로 형상을 정의하는 표현방식을 지양하고 회화성이 강화된 자유로운 표현방식으로의 확장성이 필요하다고 했다. 둘째는 소재주의의 극복이다. 민화를 민화로 한정할 수 있는 것은다양한 소재가 일종의 범주를 형성하는 소재주의 때문이다. 범주화된 소재와 화법에서 벗어난 창작의방향을 제안하였다.
민화는 21세기 현재 채색화를 선도하는 중심 장르로 발전하고 있다. 과거의 미술양식이 현대 작가들에 의해 전승되는 분야는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그동안 한국회화사에서는 채색화를 제외한 수묵화와 문인화, 수묵산수화 등이 그 중심에 있었다. 현재의 민화 작가들에게 현재의 실정에 맞는 민화의개념, 명칭, 장르의 문제는 정립되어야 하며, 민화를 포함한 채색화의 의미를 새롭게 평가하는 노력이필요하다고 하겠다.
Minwha, which opened a new horizon for Korean color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not properly evaluated for their value through the modern period. However, it was inherited by some unknown painters after the 1980s, and through the 2000s, the number of artists increased rapidly and expression styles also diversified, attracting attention as a genre of creativity. However, the concepts and names of modern Minwha were not differentiated from the traditional ones, and the issue of genre was also an issue that needed to be discussed.
In this paper, the author suggested that the name of Minwha that should be called in the current art world should be maintained as ‘modern Minwha’ or ‘Minwha’, but that the concept be reorganized and used as a more effective term. In particular, we tried to distinguish the definition of Minwha from traditional Minwha by limiting the period that can be called modern Minwha from the 1980s to the present.
In order for Minwha to have the status of a genre of color painting with a focus on creation, the expansion of expressive painting methods was first proposed. It was said that it was necessary to avoid the expression method that defines shapes through lines, surfaces, and uniform coloring, and to expand into a free expression method with enhanced pictoriality. The second is to overcome materialism. The reason that Minwha can be limited to Minwha is because of materialism, where various materials form a kind of category. A creative direction that deviates from categorized materials and speaking methods was suggested.
Minwha is developing into a central genre leading color painting in the 21st century. There are only a few areas in which past art styles are passed down by modern artists. So far, in the history of Korean painting, ink-and-wash paintings, literary paintings, and ink-and-wash landscape paintings, excluding colored paintings, have been at the center. For current Minwha artists, the issues of the concept, name, and genre of Minwha that fit the current situation must be established, and efforts must be made to newly evaluate the meaning of colored paintings, including Minwha, while producing them.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