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유휴공간 재생이 지역공동체 회복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지속가능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act of Idle Space Regeneration on the Recovery of Local Communiti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ustainabili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73-286(14쪽)
제공처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기술 발달과 경제구조 변화로 사회적 이동과 물리적 환경이 급변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더불어 개인화가 가속화되었고 지역공동체의 침체 그리고 와해, 미발달, 변형 및 오염이라는 결과가 도래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물리적 공간의 확대 및 변화는 도시구조물, 도시기반 시설물 등의 긍정적/부정적 변화를 가져왔으며, 궁극적으로 지역 기반 공동체 해체와 다양한 유휴공간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 아래 유휴공간을 다른 용도로 재생/재활용 할 수 있다는 전제로 유휴공간의 지속가능성을 중요 변수(매개 효과)로 하여 유휴공간 재생이 지역공동체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유휴공간 재생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유사한 주제의 선행 연구를 통해 유휴공간 재생과 지속가능성, 지역 공동체 회복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고, 특성을 키워드로 도출한다. 이를 기반으로 연구 모형 및 연구 가설을 세우며, 선행 연구를 통해 추출한 특성을 토대로 설문 문항을 작성하여 설문 조사를 진행한 뒤, SPSS 26.0 PROCESS macro를 활용한 병렬 매개 효과 분석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확성과 일관성을 검증한다. 마지막으로 실증 분석을 통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례 대상을 선정하여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해 사례 분석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유휴공간 재생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 분석 결과, 유휴공간 재생(X:독립변수)이 지역공동체 회복(Y: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에서 총 효과(β=0.5521, p<0.05)와 직접 효과(β=0.5884, p<0.05)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유휴공간 재생(X;독립변수)이 지속가능성(M:매개변수)에 유의미한 영향(β=0.8541, p<0.05)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지만, 지속가능성(M:매개변수)이 지역공동체 회복(Y)에 미치는 영향(β=-0.0425, p>0.05)과 지속가능성(M:매개변수)을 매개변수로 한 간접효과는 무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실증 분석을 통해 유휴공간 재생이 지역공동체 회복과 지속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으며, 유휴공간 재생이 지역공동체 회복에 있어 지속가능성을 매개변수로 한 간접 효과는 무의미하다는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는 효과적인 유휴공간 재생은 지역공동체 회복과 지속가능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속가능성의 특성은 지역공동체 회복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배경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연령을 기준으로 사례를 분석한 결과, 각 변수별 특성들은 모든 연령대에 높은 영향을 미쳤지만, 연령대별로 중요하게 여겨지는 특성은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는 효과적인 유휴공간 재생을 위해 지역공동체를 구성하는 다양한 연령층의 요구와 특성을 반영해야 함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효과적인 유휴공간 재생을 위해 본 연구의 변수별 특성들을 고려하고, 이를 통해 지역공동체 회복 및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근거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Background and Purpose) The rapid advancements in technology and shifts in economic structures have led to significant social mobility and physical environmental changes. These developments have accelerated individualization, resulting in the decline, disintegration, underdevelopment, transformation, and contamination of local communities. Amid this context, the expansion and transformation of physical spaces have caus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changes in urban structures and infrastructure. Ultimately, these changes have contributed to the disintegration of community foundations and the emergence of various idle spaces.This study assumes that idle spaces can be regenerated or repurposed and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such regeneration on the recovery of local communities, with sustainability as a key variable (mediating effect). Furthermore, it seeks to propose effective directions for idle space regeneration. (Method) This study begins with a theoretical review of idle space regeneration, sustainability, and the recovery of local communities by examining prior research on similar topics and identifying key characteristics. Based on this,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are formulated. Survey questions are designed using characteristics extracted from previous studies, and data is collected through a survey. The collected data is analyzed using parallel mediation effect analysis with SPSS 26.0 PROCESS macro to ensure accuracy and consistency. Finally, empirical data is used to select case subjects, and a case analysis is conducted through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ese steps, the study aims to suggest effective strategies for idle space regeneration. (Results) The analysis shows that space regeneration (X: independent variable) has a significant total effect (β=0.5521, p<0.05) and direct effect (β=0.5884, p<0.05) on local community recovery (Y: dependent variable). Furthermore, space regeneration (X) significantly influences sustainability (M: mediating variable) (β=0.8541, p<0.05). However, sustainability (M)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local community recovery (Y) (β=-0.0425, p>0.05), and the indirect effect of sustainability as a mediator is insignificant.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s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at space regeneration significantly impacts local community recovery and sustainability. However, sustainability does not directly contribute to community recovery as a mediating variable. The findings suggest that while space regeneration plays a vital role in enhancing community recovery and sustainability, sustainability's attributes do not directly influence community recovery. Additionally, the demographic analysis by age reveals that characteristics affecting regeneration and recovery vary across age groups, emphasizing the need to consider diverse demographic needs and preferences. In conclusion,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identifi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promoting the recovery of local communities and improving quality of life through effective idle space regeneration.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