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OPUS
SCIE
KCI등재
전두부 개방성 함몰골절에 있어서 일차적 골편 복위술에 대한 임상적 고찰 = Clinical Analysis of Primary Reconstruction to Compound Depressed Frontal Skull Fractur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510
등재정보
SCOPUS,SCIE,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601-607(7쪽)
제공처
전두부 개방성 함몰골절에 있어서 일반적인 개념은 염증성 합병증을 치료 예방하기 위해서 손상 두개골편을 제거하는 것이었다. 저자는 최근 5년 동안 1년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83예의 전두부 개방성 함몰골절 환자를 대상으로 손상 두개골편의 일차 복위술을 시행한 군과 절제술을 시행한 군을 비교 관찰하여 아래와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연령 분포에서는 20대가 20%, 30대가 22%로 다른 연령군에 비해 빈도가 높았으며, 성별분포에서는 83예중 남자가 72예(87%)로 현저히 빈도가 높았다.
2) 두부 손상의 기전에서는 교통사고가 43예(51.8%)로 가장 빈도가 높았다.
3) 내원 당시 의식수준은 GCS 13~15점군이 44예(53%), 9~12점군이 10예(12%), 6~8점군이 22예(26.6%), 3~5점군이 7예(8.4%)로 의식수준의 변화가 경한 경우가 많았다.
4) 전두부의 개방성 함몰골절과 함께 인접부위의 골절 확산의 빈도는 안와상벽 골절 35예(42%), 전두동 골절 29예(35%), 사판골절 21예(25%), 비골골절 13예(16%)의 빈도순을 나타냈다.
5) 골절에 의한 두개강내 손상은 뇌경막 열상이 54예(65%), 뇌실질 열상이 42예(51%)였으며, 뇌경막 열상 54예중 뇌실질 열상을 동반한 경우는 78%였다.
6) 두부 손상으로부터 수술까지의 경과시간은 12시간 이내가 70예(84%)로 대부분이었다.
7) 전체적인 합병증의 빈도는 30예(36.1%)였으며, group Ⅰ에서는 27.7%, group Ⅱ에서는 47.2%였다. 염증성 합병증의 빈도는 group Ⅰ에서는 14.9%, group Ⅱ에서는 16.7%의 빈도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전두부의 개방성 두개골 함몰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손상 두개골 골편의 오염이 의심되는 손상 두개골 골편을 일차 수술시야에서 복위술을 시행하더라도 두 대조군 사이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으므로 두개골 절제술로 인한 안면부의 추상, 이차적인 두개골 성형술을 위한 경제적 부담 등을 들어 줄 수 있으므로 개방성 두개골 함몰골절의 치료는 가능한 한 손상 두개골 골편으로 일차적 복위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사료된다.
The injured skull bone may be contaminated in compound frontal skull fracture, so definitely left out for the prevention of infectious complications in the classic concept. The efficacy of primary replacement and resection of the injured bony fragments in the treatment of compound depressed frontal skull fractures was studied in 33 patients who could be followed up over one year during a recent 5∼year period. The patients was divided into a group Ⅰ which took a primary replacement of injured bony fragments and group II which left out the injuried bony fragments in immediate opera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ge incidence was more frequent in the 3th and 4th decades. The sex distribution was more frequent in male(87%).
2) The motor vehicle accident was most frequent in the injury mechanism.
3) The conscious level on admission was 53% in 13∼15 GCS group, 12% in 9∼12 group, 26.6% in 6∼8 group and 8.4% in 3∼5 group.
4) The incidence of an extending fracture was 42% to orbital roof, 35% into frontal sinus, 25% into cribriform plate and 16% into nasal bone.
5) The incidence of intracranial injury was 65% in dural laceration and 51% in cerebral laceration. Of cases of dural laceration the cerebral laceration was associated in 78%.
6) The time duration from injury to operation was under 12 hours in most cases(84%).
7) The incidence of a complication was 36.1% in total group, 27.7% in group I and 472% in group Ⅱ. The infectious complication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Ⅰ (14.9%) and group Ⅱ(16.7%).
In conclusion the infectious morbidity of which were most dangerous complications due to compound depressed frontal skull fractures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wo compared group. The author believe that immediate bone replacement for compound depressed frontal fractures with or without extension to frontal sinus, orbit, or cribriform plate is both practical and safe procedure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