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음악리듬과 미술의 융합 = Convergence of Musical Rhythm and Art
저자
임이랑 (중앙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23-253(31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리듬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리듬은 규칙과 불규칙이 존재하고 일정한 반복이 있다. 주요 3요소 중 리듬에 중점을 두고 규칙과 불규칙을 통해 음악의 표현을 미술작품과 융합하였다. 미술에서는 음악의 리듬요소를 시각화한 작품들을 제시해보고 더 나아가 공통요소가 되는 음악의 악보를 통하며 비교해보고 융합예술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리듬이 미술작품에 주제로 표현된 것을 토대로 분석한후, 음악의 요소와 미술을 융합하여 새롭고 다양한 융합 작품들이 창작되고 그 중음악과 미술융합 학문을 접근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파울 클레(Paul Klee), 로버트 들로네(Robert Delaunay), 소니아들로네(Sonia Delaunay)의 음악리듬요소를 시각화한 작품과 음악곡의 리듬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미술 작품은 파울 클레(Paul klee, 1979~1940)의 “전원시:리듬” 와 “리듬 속으로”, 로버트 들로네(Robert Delaunay,1885~1941)의 “무한의 리듬”을 다룰 예정이며, 음악곡으로는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1770 ~ 1827)의 “전원교향곡(‘Pastoral’ Symphony No.6 in F major, Op.68)”과 스트라빈스키(Igor Stravinsky,1882 ~ 1971)의 “봄의 제전(Le Sacre du printemps)”곡의 리듬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음악리듬요소를 시각화한 미술 작품과 음악곡의 리듬형을 분석한 후 이러한 리듬들이 미술 작품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받고 있는지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리듬들이 미술 작품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받았는지 또한 리듬형이 주는 규칙과 불규칙의 특징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리듬의 반복이 표현되려면 동일한 리듬을 반복하다 규칙성이 파괴되면 불규칙으로 인식된다. 음악곡의 리듬을 분석한 결과 동일한 리듬의 최소 10번이상 반복해서 규칙성을 주고 있다. 또한 동일한 리듬형이 다른 악기들과 주고받으며 규칙을 유지한다.
불규칙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지속음과 쉼표의 대비 또는 지속음과 스타카토의대비로 표현하기도 하고, 연속되는 음(音)속에서, 갑자기 쉼표의 등장으로 규칙성이 깨지기도 하였다.
또한 동일한 리듬이 등장하다가 악센트의 변화를 주어 리듬의 규칙성이 파괴되고 리듬의 분할로 규칙과 불규칙을 표현했다.
미술작품과 음악곡의 융합으로는 전원, 자연이라는 회화적 요소를 서로 주고 받으며 영감을 얻고 주제요소로 활용하여 표현한 특징을 볼 수 있었다. ‘리듬’이라는 공통된 요소를 규칙과 불규칙을 통해 미술작품과 음악곡을 토대로 융합학문의결합이 된 것이다.
더 나아가 음악선율과 미술, 음악화성과 미술, 음악리듬과 과학, 음악리듬과 춤음악 등 음악과의 다양한 학문과의 연계 및 융합을 통해 예술분야의 창의성과 참신성 그리고 생활 속의 리듬이 사용되고 있는 특징을 음악분야와 연관하여 분석하며향후 융합학문의 발전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Rhythm is used in various fields. Rhythm has rules and irregularities, and there are certain repetitions. Among the three main elements, the focus is on rhythm, and the expression of music is fused with works of art through rules and irregularities. In art, I would like to present works that visualize the rhythmic element of music, and further compare it through the score of music, which becomes a common element, and to find out the effect of convergence 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usical rhythm based on the expression of the theme in art works, and then fuse the elements of music and art to create new and diverse fusion works and to approach and understand music and art convergence studies among them.
The conclusion of the study was able to confirm how the rhythms affected the works of ar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ules and irregularities given by the rhythmic type. If the regularity is destroyed while repeating the same rhythm in order to express the repetition of the rhythm, it is perceived as irregula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hythm of music songs, regularity is given by repeating the same rhythm at least 10 times. In addition, the same rhythmic type exchanges with other instruments and maintains the rules.
In order to express irregularity, it is sometimes expressed as the contrast between the continuous sound and the comma or the contrast between the continuous sound and the staccato, and in a continuous sound, regularity was broken by the sudden appearance of a comma.
The fusion of works of art and music was able to see the characteristics of giving and receiving inspiration by exchanging painting elements of power and nature and expressing them as subject elements. The common element of ‘rhythm’ was combined with convergence studies based on works of art and music through rules and irregularities.
Furthermore, through connection and convergence with various disciplines such as music melody, art, music harmony and art, music rhythm and science, music rhythm and dance music,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novelty, and rhythm in life are analyzed in connection with the music field, and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studies is expected in the futur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