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정책행위자의 입법과정 참여와 영향력 연구 : 국회의원 주관 정책세미나의 주제와 참여자를 중심으로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대한민국 헌법」 제40조는 “입법권은 국회에 속한다.”라고 규정하여 정책입안부터 결정까지의 권한을 입법부에 부여하고 이를 명확히 제도화하고 있다. 즉, 입법부는 오늘날 정책결정의 가장 핵심적인 행위자이자 국민의 대리인으로서 입법활동을 통해 한 국가의 총체적인 틀과 운영 기준이 되는 제도를 마련하게 된다. 그러나 수많은 이해관계를 가진 정책·입법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사회문제를 독자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현실적 한계에 직면하고 있으며, 국민으로부터 여전히 비판과 불신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에 놓여있다.
      이러한 우려의 본질적인 쟁점은 정책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행위자들의 특성과 정치적 상호작용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결국 ‘정책결정’이라는 것은 공공 및 민간 행위자들 간의 정치적 상호작용을 통한 ‘정치적 요소’가 개입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즉, 특정 정책영역에서 나타나는 행위자들의 특성과 상호작용 구조의 반복적인 패턴을 살펴보는 것은 어느 집단이 유리하거나 불리한 위치에 있으며, 정부는 어떤 전략과 정책도구를 채택해야 하는지 그리고 정책행위자들 간의 참여패턴, 목표, 전략 등의 상호관계에 깊은 이해를 도모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배경을 토대로 본 연구는 자유로운 토론 및 의견 교환의 면대면(face-to-face) 대화를 가능케 하는 국회 내 유일한 제도적 장치이자 ‘공론의 장(場)’으로서 기능하는 정책세미나를 분석사례로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입법부가 합리적인 정책설계의 명확한 근거와 정당성을 확보하고 공공과 민간 간의 신뢰 회복을 위해 어떠한 방식으로 변화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답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과거 정치학의 주류가 되어 왔던 ‘정치가 정책에 영향을 미친다.’라는 관점에서 벗어나 ‘정책이 정치에 영향을 미친다.’라는 새로운 이론적 관점의 실질적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정책유형에 따른 대상집단의 특성과 정치적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해 Lowi의 공공정책 유형 이론(public policy type theory), Schneider & Ingram의 사회적 형성 이론(social construction theory) 그리고 정책 네트워크 이론(policy network theory) 등이 상호 연계되어 적용될 가능성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분석모형을 구축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혼합한 ‘혼합적 연구방법론(mixed methods research)’을 적용하였으며, 구체적으로 Creswell(2015)이 제시한 통합적 설계(convergent design)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설계하였다. 양적 분석에서는 대상집단 인식 설문조사, 네트워크 분석, 단순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질적 분석에서는 연구대상에 대한 입체적인 이해와 실질적 한계 등을 찾아내고 입법부의 현실적인 발전방안을 마련하고자, 제21대 국회의원 1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분석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0년 5월 30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약 1년 6개월 동안 논의된 1,419건의 정책세미나 주제에 관한 유형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Lowi가 제시한 강제의 가능성과 강제의 적용영역을 기준으로 분배정책(446건), 재분배정책(251건), 규제정책(322건), 구성정책(303건) 등의 4가지 정책유형으로 구분하여 총 1,322건의 사례를 선정하였다. 둘째, 정책세미나에 참여한 공공 및 민간 행위자들의 정치적 대표성(정책속성, 직능, 공익집단·이익집단 여부)을 기준으로 47개 대상집단으로 분류하였으며, 사회적 형성 이론에서 제시된 사회적 형상(신뢰성, 존중) 및 권력(전문성, 자원 동원능력)의 측정값을 파악하기 위해 일반국민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대상집단을 수혜(advantaged)집단, 주장집단, 의존집단, 이탈집단 등으로 분류하였다. 셋째, 정책 네트워크의 다양한 네트워크 유형과 구성요소들을 통해 네트워크 범위, 권력구조, 하위집단, 응집성 등의 4가지 요소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방법론적 도구로써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정책유형별 행위자들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넷째, 정책유형에 따른 정치적 상호작용 차이를 검증하고자 대상집단에 대한 사회적 형상 및 권력 측정값과 정책유형별 권력관계에 관한 12가지의 연구가설을 수립하였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단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된 사회적 형상 및 권력에 대한 개별 측정값(신뢰성, 존중, 전문성, 자원 동원능력)과 네트워크 분석에서의 내향 연결 중심성을 바탕으로 실제 각 정책영역에서 어떠한 특성을 가진 대상집단들이 상호작용하고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을 통해 가설 1-2, 가설 1-3, 가설 2-1, 가설 2-2, 가설 2-3, 가설 3-1, 가설 3-2, 가설 4-3, 가설 4-4 등 총 9개의 가설이 채택되었다. 이상을 통해 4가지 정책유형에 따른 대상집단의 특성과 정치적 상호작용은 각각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배정책 영역에서는 정부부처·지자체와 공공기관, 입법부 그리고 소수의 이익집단을 중심으로 한 전형적인 철의 삼각형 혹은 하위정부 형태를 보여주고 있었으며, 하위정부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조정자(coordinator)로서 전문가 집단의 영향력도 높게 측정되었다. 이에 전문성과 자원 동원능력이 높게 인식되는 대상집단의 영향력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재분배정책 영역에서는 정부부처·지자체를 포함한 교수, 공공기관, 법조계 전문가, 의약계 종사자 등 전문가 집단의 영향력이 상위수준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민간에서는 복지계 공익집단의 영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나 정책의 특성이 대상집단 성격에 확연히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신뢰성과 존중 그리고 전문성이 높을 것으로 인식되는 대상집단의 연계가 활발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규제정책 영역의 경우 법조계 전문가들의 압도적인 영향력을 중심으로 교수, 연구기관 등의 전문가 집단과 정부부처·지자체, 공공기관 등의 공공영역 그리고 민간에서는 노동계 이익집단, 복지계 공익집단, 경제·산업계 이익집단, 경제·산업계 공익집단, 환경·안전계 공익집단 등이 높은 순위를 점하고 있는 다원주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었다. 특히, 상호 이해관계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갈등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법적 지식과 특정 분야에 전문성을 지닌 대상집단의 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민주노총, 한국노총, 공공운수노조 등의 노동계 이익집단을 중심으로 규모, 조직력, 자금력 등 상대적 자원을 많이 보유한 것으로 인식되는 대상집단의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구성정책 영역에서는 국회의원, 정당 등의 상위수준 행위자들과 전문가 집단을 중심으로 한 정책 공동체 모형 및 전문가 네트워크의 특성이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전문성과 자원 동원능력이 높게 인식되는 대상집단의 활발한 연계 활동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연구대상에 관한 정책 입안자들의 경험적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제21대 국회의원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세미나에 대한 제도적 지원과 환경의 경우 급속도로 증가하는 정책세미나 횟수로 인해 제공되는 정보들이 복잡하고 방대하여 입법활동에 혼란이 가중될 수 있다는 점, 바쁜 일정으로 인해 의원 개인의 적극적이고 원활한 참여가 힘들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둘째, 주제 및 참여자들 선정기준에 대한 영향요인은 의원 개인의 정치적·정책적 관심과 전직 및 경력 그리고 전공 분야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의원 개인이 속한 상임위원회 특성과 정당의 이념·기율 등은 정책세미나 주제 및 참여자 선정뿐만 아니라, 법률안 발의 및 정책결정에도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특히, 면접 대상자들은 시민단체나 이익집단으로부터의 의정활동 평가나 감시지표 등에 매우 민감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정책세미나를 통해 의원 개인이 얻게 된 장점으로는 평소에 만나기 힘든 민간과의 직접 대면을 기반으로 한 정보교환 및 의사소통의 효율성 그리고 지식 습득의 용이성을 꼽았다. 단점의 경우, 특정 시민단체 및 이익집단에 몰입된 불균등한 참여, 이해관계 표출을 위한 일방적인 의견 및 정보전달, 정보교환 목적보다는 형식적이거나 일회성·홍보성으로 활용되는 경우 등이 지적되었다. 마지막으로 정책세미나의 양적·질적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의 경우, 공정하고 투명성 있는 정보제공을 위한 환경조성, 양질의 의견 교환을 위한 인센티브 제도 도입, 정부 기관의 적극적 참여를 통한 소통 및 협력효과 증대 그리고 세미나 자체를 제도화해야 한다는 의견 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이론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국내·외 다양한 연구 검토를 통해 정책유형별 대상집단의 특성과 정치적 상호작용 차이를 고려하여 ‘다차원적인 이론적(multi-theoretical)’ 관점을 적용하였으며, 그동안 시도되지 않았던 세 이론 간 혼합을 통해 정치적 관계의 영향요인을 밝혀내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둘째, 정책유형과 대상집단 간 정치적 상호작용 관계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설을 수립하고 이를 실제 우리나라 입법활동에 적용하여 ‘정책이 정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라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대상집단의 사회적 형상과 권력에 대한 측정지표를 신뢰성, 존중, 전문성, 자원 동원능력 등으로 선정하여 대상집단 인식에 대한 이분법적 관점을 세분화하였다. 셋째, 정책학·행정학 분야에서 관심이 전무했던 ‘국회의원 주관 정책세미나’를 대상으로 정치적 상호작용의 영향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입법활동의 국민 참여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해석을 제공하였다. 넷째, 정책과 정치적 상호작용의 인과관계 검증을 위해 일반국민 500명을 대상으로 대상집단에 대한 인식조사를 시행함으로써 우리나라만의 공간적·시기적·문화적 맥락에 맞는 사회적 형성 매트릭스를 재구성하고 그 결과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다섯째, 연구대상 및 방법론 측면에서 1,322건의 정책세미나 주제와 7,867명의 정책행위자를 정치적 대표성과 대상집단으로 유형화하였으며 빅데이터 기반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구결과에 대한 일반화를 도모하였다. 여섯째, 제21대 현직 국회의원 1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여 입법활동 내실화를 위한 적실성 있는 대안을 모색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및 함의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정책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균등한 참여기회와 상호작용을 확보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민간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정책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공공과 민간에 대한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의원입법 지원을 위한 입법 및 정책 개발비 예산조정과 더불어 입법 지원기구나 상임위원회 수준에서의 인력확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공공 간의 협업 관점에서 입법부와 행정부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논의된 내용이 실제 정책결정에 활용될 수 있는 피드백 메커니즘(feedback mechanism)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국회의원들이 정당이나 시민단체 등의 내·외부적 압력으로부터 자율적인 입법활동을 보장받을 방안이 정립되어야 하며, 국회의원들 또한 국회 내 원활한 신뢰 환경조성을 위한 ‘실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여섯째, 입법활동에서 파악되는 정책들과 대상집단을 분류할 수 있는 기준체계를 정립함으로써 어떠한 정책이 성공 혹은 실패할 것인지 그리고 민간이 선호하는 실질적인 정책방향과 지지 및 반발 요소들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정책’, ‘행위자’, ‘네트워크’라는 복잡하게 얽힌 3가지 요소의 특성과 연계 가능성을 탐색하고 규명함으로써 특정 정책과 관련된 국민의 인식, 참여, 성향, 방향 등에 관한 역학 관계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논거를 제공해줄 것이다. 또한, 정책유형에 따른 정책행위자들 간의 정치적 구조를 포괄적이면서도 구체적으로 비교해 볼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정책설계 및 결정과정에서의 목표, 인과적 모델, 정책수단 그리고 대상집단을 통합적으로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더보기

      Article 40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stipulates that “The legislative power shall be vested in the National Assembly.” It shows that the legislature was institutionalized and granted authority to draft policies and make policy decisions. The legislative branch acts as the most critical actor in policy decisions and,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public, prepares a system that serves as a country’s overall framework and operating standards through legislative activities. However, as the demand for policies and legislation with numerous interests increases, they are facing the limit of not being able to solve social problems independently, and, as a consequence, are facing the reality of not being able to overcome the public’s criticism and distrust.
      The essential issues of these concerns imply that we should focus on the interaction between polit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actors in the policy process. As a result, ‘policy decision’ is inevitably involved in ‘political factors’ through political interactions between public and private actors. Looking into the repeated pattern of actors’ characteristics and interaction structures in a specific policy area has the potential to enhance knowledge of the following; which groups are at a disadvantage or advantage, which strategies and policy tools government should implement, and the interaction of policy actor’s participate pattern, aim and strategies.
      Based on this research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a policy seminar led by the National Assembly because this seminar serves as the only institutional arrangement in the National Assembly that allows for the exchange of opinions through face-to-face conversational discussions; thus, serving as a ‘place for public debate’. This study aims to answer the question: “In which way should the legislative branch be changed to secure a clear basis and legitimacy for rational policy decision-making and restore trust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actors?” Also, this study verifies the practical possibility of a new theoretical perspective, ‘policies determine politics’, beyond the politics determine policies’ perspective, which has been the mainstream of political science.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arget populations and political interactions according to policy types, we investigated Lowi’s public policy type theory, Schneider & Ingram’s social construction theory and policy network theory. Through this investigation, we found the possibility of these theory interactions. Based on the finding, we constructed an analytical model.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we adopted ‘mixed methods research’ that combin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Specifically, we used the convergent design suggested by Creswell (2015).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we conducted a survey on the target population’s social construction, network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6 members of the 21st National Assembly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subject and practical limitations to prepare realistic development suggestions for the legislative branch. The detailed steps for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we classified 1,419 policy seminar topics discussed for about a year and a half, from May 30, 2020, to December 31, 2021. Based on the likelihood and applicability of coercion proposed by Lowi, 1,322 cases were selected in total, and the policy seminar topics were divided into four policy types: distributive policy (446 cases), redistributive policy (251 cases), regulatory policy (322 cases), and constituent policy (303 cases). Second, we classified the public and private actors who participated in the policy seminar into 47 target populations based on their political representation (policy attributes, functions, public interest groups, or interest groups). We surveyed 500 ordinary people to understand better social constructions (reliability and respect) and powers (professionalism and resource mobilization) proposed by social construction theory. The target populations included the advantaged, contenders, dependents, and deviants. Third, we examined the four factors, including the network range, power structure, subgroup, and cohesiveness, using various network types and components of the policy network. Using network analysis, we also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actors depending on the policy type. Fourth, we established 12 research hypotheses on the target populations’ social constructions and political power measurement value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political interaction and the power relationship by policy type. Then, we verified them using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In more detail, we ve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arget populations that were interacting according to the policy type using the individual measures of social construction and power (reliability, respect, professionalism, and resource mobilization ability) derived from the survey and the in-degree centrality in the network analysis.
      Through the research hypothesis verification process, a total of 9 hypotheses were adopted (hypothesis 1-2, 1-3, 2-1, 2-2, 2-3, 3-1, 3-2, 4-3, and hypothesis 4-4). By testing these hypotheses, we could confirm that the characteristics and political interactions of the target populations differ according to the four policy typ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rea of distributive policy, we found a typical iron triangle or sub-governmental form centered on government ministries, local governments, public institutions, legislatures, and some interest groups. The influence of the expert group as a coordinator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the sub-government was revealed to be high. Accordingly, the influence of the target populations, which were highly recognized for their professionalism and resource mobilization abilities, was identified as prominent. Second, in the area of redistributive policy, the influence of expert groups including government departments and local governments, professors, public institutions, legal experts, and pharmaceutical workers was identified as being at a high level. On the other hand, the welfare public interest group was identified as being the most influential in the private sector, demonstrating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cy were clearly reflected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populations.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the target populations considered to have high reliability, respect, and professionalism are more actively connected. Third, in the area of regulatory policy, we could identify a form of pluralism, with the overwhelming influence of legal experts, expert groups (professors and research institutes), government ministries,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in the public area, but with the huge influence of labor interest groups, welfare public interest groups, economic and industrial (public) interest groups, and environmental and safety public interest groups in the private area.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activities of target populations with legal knowledge and expertise in specific fields were active, due to their possessing means of securing the legitimacy of mutual interests and mitigating conflicts. In addition, in the case of labor interest groups such as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the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 and the Public Transport Workers Union, the influence of the target populations was identified as being high, as they are recognized as possessing large resources in terms of size, organizational power, and financial power. Finally, in the area of constituent policy, we could identify characteristics of policy community model and professional network centered on high-level actors and expert groups, such as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political parties. Additionally, we could identify active connections among target populations recognized as having high professionalism and resource mobilization ability.
      In order to examine the empirical perceptions of policymakers regarding the subject of the study,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21st National Assembly memb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institutional support and environment regarding the policy seminars, the information provided for the policymaking process is complex and vast due to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policy seminars, thereby increasing confusion in legislative activities. It was also pointed out that it is difficult for individual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to participate due to their heavy schedules. Second, the individual’s political and policy interests, former job and career, and significant field influenced the criteria for selecting the subject and participants. More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nding committee, in addition to the ideology and discipline of the party to which each member belongs, we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not only the selection of policy seminars and participants but also the proposal of legislation and policy decisions.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viewees were very sensitive to evaluating legislative activities or monitoring indicators from civic groups or interest groups. Third, as the advantages gained through policy seminars, individual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pointed out the efficiency of information exchange and communication and the ease of acquiring knowledge through face-to-face communication with people they rarely meet. Concerning the drawbacks, they cited unequal participation with a specific civic group or interest group occupying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tion, unilateral delivery of opinions and information to express interests, and some cases of being used for formality, one-time, and promotional purposes rather than information exchange purposes. Finally, as for the quantitative and quality improvement measures of policy seminars, they suggested the seminar should be institutionalized, and we should create an environment for providing adequate and transparent information and have an incentive system that can encourage exchanging of good opinions. They also urged government agencies to take an active role in improving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we derive the following theoretical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took a ‘multi-theoretical’ approach,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and political interaction differences of the target populations based on the policy type via a review of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This study has also identified and empirically verified the influencing factors of political relations through a mix of three theories that had not been attempted. Second, a new research hypothesis was developed on the political interaction relationship between policy types and target populations and applied to actual legislative activities in Korea to empirically confirm the relationship that ‘policies determine politics’. In addition, the dichotomous perspective on the perception of the target populations was subdivided by selecting reliability, respect, professionalism, and resource mobilization ability as the measurement indicators for the social construction and power of the target populations. Third, this study provided a broad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public’s participation in legislative activities by verify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political interaction, targeting the ‘National Assembly Policy Seminar’ which had no interest in the fields of policy science and public administration. Fourth, in order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olicy and political interaction, a survey of 500 people in the public was conducted to reconstruct the social construction matrix suitable for Korea’s spatial, temporal, and cultural context, and then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Fifth,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and methodology, 1,322 policy seminar topics and 7,867 policy actors were classified as political representatives and target populations. The generaliz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was promoted through big data-based network analysis. Sixth, suitable alternatives for strengthening legislative activities were found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16 incumbent members of the 21st National Assembly.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we suggest the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First, an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 must be prepared to secure equal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among various stakeholders participating in the policymaking process. Secon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n incentive system for the public and private areas to induce active participation in the private area and promote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policies. Third, manpower must be secured at the level of legislative support organizations or standing committees, along with the budget adjustment of legislative and policy development costs for legislative support. Fourth, a feedback mechanism must be established such that the legislative and administrative branches can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ublic sector’s collaboration, and what is discussed between these two can be used in actual policymaking decisions. Fifth, measures must be established to ensure that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re guaranteed autonomy in their legislative activities and not subject to internal and external pressures from political parties and civic groups.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lso need to make ‘practical efforts’ to create an environment of trust within the National Assembly. Sixth, a standard system that can classify the policies identified in legislative activities and the target populations needs to be established, and thereby policymakers could predict which policies will succeed or fail. They could also identify practical policy directions and support that the public prefers, or resistance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mportant arguments for understanding the dynamics of public awareness, participation, propensity, and direction related to specific policies by exploring and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and connected relations of the three complex elements of ‘policy’, ‘actor’, and ‘network’. In addition, they will help us to compare the political structure comprehensively and specifically among policy actors according to policy types. Furthermore, they will help us comprehensively identify goals, causal models, policy instruments, and target populations in the policy design and decision-making process.

      더보기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 1. 연구배경 1
      • 2. 연구목적 7
      •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11
      • 1. 연구범위 11
      • 2. 연구방법 13
      • 제2장 이론적 및 제도적 논의 19
      • 제1절 정책결정과정과 정책유형 19
      • 1. 정책유형의 분류 20
      • 2. Lowi의 권력의 장 모형 22
      • 3. 새로운 정책유형과 Lowi 모형의 유용성 28
      • 제2절 정책설계와 대상집단의 사회적 형성 41
      • 1. 정책설계와 대상집단 41
      • 2. 대상집단의 사회적 형성 43
      • 3. 대상집단의 분류 45
      • 제3절 정치적 상호작용과 정책 네트워크 52
      • 1. 정책 네트워크의 개념과 의의 52
      • 2. 정책 네트워크의 유형 58
      • 3. 정책 네트워크의 구성요소 67
      • 제4절 정책세미나 의의 및 현황 76
      • 1. 정책세미나 의의 76
      • 2. 정책세미나 현황 80
      • 3. 제21대 국회 정책세미나 상임위원회별, 정당별, 선수(seniority)별 현황 82
      • 제5절 선행연구 검토 88
      • 1. 정책결정과정에서의 비공식 행위자 유형 및 특성에 관한 논의 88
      • 2. 국회 입법과정의 정치적 행태 영향요인 및 상호작용에 관한 논의 94
      • 3. 정책입법역량 제고를 위한 제도적 개선에 관한 논의 104
      • 4. 선행연구의 한계 및 본 연구의 차별성 108
      • 제3장 연구설계 116
      • 제1절 연구모형 116
      • 1. 연구의 분석틀 116
      • 2. 변수의 구성 및 개념화 119
      • 3. 연구가설의 설정 134
      • 제2절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145
      • 1. 정책세미나 자료수집 및 분류 145
      • 2. 대상집단 인식 설문조사 147
      • 3. 네트워크 분석 150
      • 4. 단순 선형 회귀분석 157
      • 5. 국회의원 대상 심층면접 159
      • 제4장 분석결과 163
      • 제1절 대상집단의 매트릭스(matrix) 재구성 163
      • 1. 대상집단의 선정 163
      • 2. 설문조사를 통한 대상집단의 분류 166
      • 제2절 정책유형에 따른 정치적 상호작용 실증분석 180
      • 1. 전체 네트워크 특성 182
      • 2. 분배정책 네트워크 특성 195
      • 3. 재분배정책 네트워크 특성 207
      • 4. 규제정책 네트워크 특성 220
      • 5. 구성정책 네트워크 특성 231
      • 제3절 정책유형별 대상집단의 네트워크 구조 비교 242
      • 1. 네트워크 범위 및 참여 행위자 비교 245
      • 2. 네트워크 권력구조 비교 247
      • 3. 하위집단의 응집성 비교 253
      • 제4절 정책유형에 따른 대상집단의 특성 실증분석 257
      • 1.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258
      • 2. 상관분석 260
      • 3. 단순 회귀분석 결과 262
      • 4. 소결 270
      • 제5절 정책세미나에 대한 인식분석 282
      • 1. 분석대상 283
      • 2. 국회의원들의 인식분석 284
      • 3. 소결 296
      • 제5장 결 론 304
      •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304
      • 제2절 연구의 함의 312
      • 제3절 정책적 제언 318
      • 제4절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의 제언 326
      • 참 고 문 헌 329
      • ABSTRACT 3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