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에 대한 고찰-조성시기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ated Stone-Built Statue of Vairocana Buddha at Biroam Hermitage of Donghwasa Temple – Focus on the Establishment Date of Statue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95-432(38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paper investigates on the Seated Stone Statue of Vairocana Buddha from the late Unified Silla Period enshrined in the Biroam Hermitage of Donghwasa Temple(桐華寺 毘盧庵) at Mt. Palgong in Daegu, North Gyeongsang Province. Its year of construction is estimated until now to be the third year of King Gyeongmun's reign(863) in Unified Silla based on the Agalmatolite Sarira jar excavated from the three-story stone pagoda in front of the Daejeokgwangjeon Halls(大寂光殿) of Biroam.
There are, however, no records at all about statue except for the documents recovered from the sarira jar from stone pagoda of King Minae(敏哀大王石塔舍利壺). In addition, the remaining literature records about Buddhist Master Shimji(心地大師), who is estimated to have participated in its creation, are also limited. It is thus difficult to conduct specific researches on the statue as an independent statue of Buddha. There were only a few precedent studies on the relations between this statue and the social conditions of the time such as royal authority, politics, and religion, etc., it should be reexamined the production date of the Vairocana Buddha statue in Donghwasa Temple.
This study thus set out to sort out the creation background and record interpretation of Statue of Vairocana Buddha at Biroam Hermitage, which had been addressed fragmentarily, analyze its form, and classify statues of Buddha similar to it from the 800-900 years, investigating its effects on Buddhist sculpture during the late Silla. Iconography of seven lions which located in pedestal(臺座) made in artisans from capital Gyoengju working for the royal family by comparative examination. Besides, Donghwasa statue is strongly reexamined the production date through looking into the royal court’s background of the late Silla.
대구 동화사 비로암의 석조비로자나불상은 비로암 삼층석탑에서 나온 사리호의 명문을 통해 863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 하지만 동화사 상은 동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알려진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상(865)이나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상(867)과는 확연하게 다른 양식적 차이를 보이고 있어, 비로암 삼층석탑 사리호의 연대인 863년에 탑과 함께 조성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며, 불상에서 나타나는 양식 및 도상적 특징과 함께 당시의 정치적인 상황을 고려해 볼 때, 민애왕 사후 839년 즈음이 조성의 하한연대일 것으로 추정된다.
대좌의 중대석에 7사자가 표현된 비로자나불상은 동화사를 비롯해서 법수사, 불국사, 각연사 등 모두 신라 왕실과 연관이 있는 사찰들에 봉안되어 있으므로 중대에 표현된 7사자 도상은 중앙의 왕실미술과 관련이 있을 개연성이 상정된다. 이 가운데 동화사 상은 7사자 대좌의 비로자나불좌상의 현존하는 가장 이른 예로 추정되며, 이후 제작되는 신라하대 비로자나불상들의 도상적 범본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동화사 상에서 보이는 신라하대 불교조각의 양식적 요소 역시 주요 교통로상에 위치한 팔공산의 동화사로부터 신라 북부의 여러 지역으로 퍼지면서 크게 유행했을 것이다. 종합해보면, 동화사 비로자나불상에서 보이는 조형적인 특징과 도상은 신라하대 불교조각계에 널리 확산되어 이후 고려 초까지 이어져 내려왔던 것으로 생각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8 | 1.18 | 1.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6 | 0.97 | 2.484 | 0.4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