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의 특징과 건립시기 = A Study on the Style Characteristics and Construction Period of Five-Story Stone Pagoda of Tapri-ri, Uiseon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33-468(36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Tapri-ri, Uiseong is known as the Origin of Silla stone pagodas from along with the Stone Pagoda of Bunhwang Buddhist Temple. It is also in the family of stone brick pagodas and holds a very important place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Silla stone pagoda styles. Except for its step-like roof stone, however, it shows more antecedent elements of stone pagodas in the following turning point era than features of stone brick pagodas. This study thus set out to examine its style characteristics and review its construction period. Its stylobate is the first stone stylobate in post-lintel construction in Silla. It came before the Geumdang of Sacheonwang Buddhist Temple and developed into that of the stone pagoda at the site of Gameun Buddhist Temple during the turning point era. Its body contains elements of wooden architecture, which are the results of changes and new attempts to solve the weakness of the stone pagoda at the site of Mireuk Buddhist Temple that was fully adapted from wooden pagodas rather than the influence of brick pagodas that were fully adapted from wooden pagodas. In the complex backgrounds of ancient Uiseong's local features, Gyeongju's Buddhist pagoda culture, and the culture of pagoda construction in which wooden pagodas were the mainstream, they must have built Silla's first stone pagoda with the stylobate in post-lintel construction under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f Baekje's master artisans of stone pagodas. Finally, the study estimated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Tapri-ri by comparing its style with that of the Five-Story Stone Pagoda at the site of Jeongrim Buddhist Temple known as the last stone pagoda of Baekje. As a result, the former showed more transitional features than the latter and was closer to the wooden construction design of the stone pagoda at the site of Mireuk Buddhist Temple. Both the stone pagodas were built after the stone pagoda at the site of Mireuk Buddhist Temple, but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Tapri-ri was constructed earlier than the Five-Story Stone Pagoda at the site of Jeongrim Buddhist Temple.
더보기의성 탑리리 오층석탑은 분황사 석탑과 함께 시원기 석탑으로 잘 알려져 있다. 동시에 모전석탑의 한 계열로 신라석탑의 양식발달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계단형의 옥개석을 제외하면 모전석탑으로 분류되는 특징보다는 이후 발생하는 전형기 석탑의 선행적 요소를 보다 많이 보이고 있어 양식적 특징과 이를 바탕으로 건립시기에 대해 검토하였다. 먼저 기단부는 신라 최초의 석조 가구식기단으로 사천왕사 금당보다 선행하는 것으로 파악하였으며 이후 전형기 석탑인 감은사지 석탑의 가구식기단으로 발전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아울러 탑신부에 반영된 목조건축적 요소들도 목탑을 충실히 번안한 전탑의 영향보다는 목탑을 충실히 번안한 미륵사지 석탑의 구조적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변화와 새로운 시도를 적용한 결과로 파악하였다. 또한 고대 의성의 지역적 특성과 경주의 불탑 문화가 목탑이 주류였던 당시 건탑 문화가 복합적인 배경으로 작용하여 백제석탑 장인의 직・간접적 기술 영향 아래 신라 최초의 가구식기단 석탑 건립이 가능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탑리리 오층석탑과 백제의 마지막 석탑으로 알려진 정림사지 오층석탑과의 양식비교를 통해 건립시기를 추정해 보았다. 그 결과 탑리리 오층석탑이 정림사지 오층석탑보다 과도기적인 특징을 보이며 미륵사지 석탑의 목조건축 의장과 보다 가까운 것으로 파악하였다. 따라서 두 석탑 모두 미륵사지 석탑 이후에 건립되었지만, 탑리리 오층석탑이 먼저 건립되었고, 정림사지 오층석탑이 이보다 늦은 것으로 추론하였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8 | 1.18 | 1.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6 | 0.97 | 2.484 | 0.4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