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인클루시브 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모빌리티 디자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 mobility design research concentrated on Inclusive design
저자
노재승 (국민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디지털예술공학멀티미디어논문지(Journal of Digital Art Engineering & Multimedia)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45-258(14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advent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paradigm shift of customers has led the rapid transition of mobility industry from a mere automobile to a smart mobility providing the value of mobility as a service. In this regards, it is evident that the value of inclusive design that understands various users’ experience, circumstance with qualitative design research method has become important than ever. The shiftting perception of the market from makers’ oriented to users’ oriented market also led mobility market into various mobility platforms thanks to rapid improvement of ICT. In this paper, firstly the literature review of the inclusive design and user centred design have been conducted. Secondly two distinctive mobility design projects have been analysed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inclusive design principle and method have been applied. In conclusion, the mobility industry has become more competitive than ever before and moreover similar mobility services have been introduced endlessly. In this context, mobility solution with understanding the value of inclusive design is the most imperative issue and play a prominent role in delivering the most competitive mobility solution and exploring new design direction in mobility solution.
더보기4차산업혁명의 도래와 사용자 패러다임의 변화와 함께 이동 수단의 변화 또한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가운데 과거 단순한 목적지로의 이동에서 나아가 이동 간의 가치 제공을 최우선으로 하는 이른바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 모빌리티로 발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사용자의 다양한 경험을 이해하고 반영하는 인클루시브 디자인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으며, 생산자 중심에서 사용자 중심으로의 패러다임 변화, ICT 기술의 발전과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와 맞물려 다양한 모빌리티 플랫폼과 서비스를 담은 이른바 모빌리티 솔루션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클루시브 디자인의 개념과 사용자 중심 디자인 및 경험 이해의 중요성을 살펴보고, 인클루시브 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모빌리티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여, 향후 날로 치열해지고 유사해지는 모빌리티 시장에서 새로운 경쟁력 확보방안 및 새로운 디자인 방향성 제안의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하여 보았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