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온라인 박물관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선호유형에 관한 연구 - 중국 국가박물관, 베이징 고궁박물원, 둔황 모고고박물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terface Preference Types of Online Museum Users - Centering on the National Museum of China, the Palace Museum, Mogao Grotto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9-38(10쪽)
제공처
정보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터넷은 모바일 스마트 기기의 보급과 함께 일상적인 정보 교류의 중요한 매체가 되었으며, 인터넷을 활용한 온라인 박물관 이용자의 수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 박물관은 박물관 디지털화 발전의 과정과 결 과로 시간과 공간을 넘어선 이용의 편리성이라는 장점으로 인해 사람들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온라인 박물관의 인터페 이스는 관람객이 경험하는 핵심 요소로서, 사용하기 편리한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관람객의 방문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온라인 박물관 인터페이스의 사용자인 관람객의 사용 요구 관점에서 온라인 박물관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는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주관성 연구방법론인 Q 연구를 통해 온라인 박물관을 대상으로 온라인 이용자의 사용성 선호 유형을 파악하였다. Q 연구의 과정으로 Entropy Weight Method를 사용하여 선별된 34개의 Q 진술문을 작성하여 27명의 P 샘플에 대해 Q 소팅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온라인 박물관 인터페이스 사용자의 선호 인식유형과 특성을 세 가지로 도출하였다. 제1유형으로는 개인 격차를 중시한 ‘사용자중심의 가치지향형’, 제2유형은 지식을 추구한 ‘문화 탐구지향형’, 제3유형은 체험을 강조한 ‘상호작용 참여지향형’으로 명명하여 그 의미를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온라인 박물관 인 터페이스 디자인 연구와 개발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사용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온라인 인터페 이스 디자인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기대된다.
더보기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widespread use of mobile devices, the Internet has become a key medium for daily information exchange, leading to a rapid increase in online museum users. Online museums are popular due to their convenience, allowing access beyond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as part of the digitization of museums. A well-designed interface is crucial to enhancing the visitor experience, as a user-friendly design positively influences user satisfaction. This study explored online museum interface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user needs using Q methodology, a subjectivity-based research approach. By constructing 34 Q statements using the Entropy Weight Method and conducting Q-sorting with 27 participants, the study identified three types of user preferences: (1) “user-centered, value-oriented,” (2) “cultural exploration-oriented,” which focuses on personal discovery, and (3) “interactive participation-oriented,” which emphasizes experiential engagement. These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developing online museum interfaces, improving user satisfaction, and guiding future design strategies.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