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터너증후군에서 성장호르몬과 성호르몬 치료에 따른 인슐린 저항성의 변화 = Changes in the Levels of Insulin Resistance after Growth Hormone Therapy and/or Sex Steroid Replacement in Turner Syndrom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Annals of Pediatirc Endocrinology & Metabolism(Annals of Pediatric Endocrinology & Metabolism)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4-50(7쪽)
제공처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wth hormone (GH) therapy and sex steroid replacement on glucose metabolism in Turner syndrome (TS).
Methods: We analyzed the clinical and laboratory data of 61 children and adults with TS. The results of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r fasting glucose with insulin levels were obtained, and the changes in insulin resistance index determined using the homeostasis model of assessment (HOMA-IR) and insulin sensitivity (quantitative insulin sensitivity check index, QUICKI) were analyzed. Data were presented in median and range.
Results: With GH treatment (n=21; median duration, 38 months; range, 5-96 months), the HOMA-IR increased to levels higher than that before treatment (2.48 vs. 1.18, P=0.035), and QUICKI was decreased (0.33 vs. 0.37, P=0.035). After estrogen was added (n=13, median duration 11 months, range 2 to 55 months) to the therapy, the decrease in HOMA-IR tended to be greater and QUICKI tended to be higher (0.34 vs. 0.37, P=0.046) than that during GH treatment alone (2.16 vs. 1.36, P=0.05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H with estrogen treatment and sex hormone cyclic replacement therapy (n=7) in terms of changes in the HOMA-IR and QUICKI. With GH treatment, insulin resistance tended to increase and the insulin sensitivity was tended to decrease to a level lower than that before treatment, but recovered when estrogen was added to the treatment regimenon and maintained after GH therapy was discontinued and during cyclic treatment with sex steroids.
Conclusion: The incidence of glucose intolerance or the levels of type 2 diabetes mellitus did not increased during or after GH treatment in patients with TS, but insulin resistance increased transiently; therefore, close monitoring of changes in glucose metabolism is essential during GH treatment. Early replacement of estrogen in addition to GH therapy when growth is nearly accomplished might prevent the aggravation of insulin resistance in TS patients.
목 적: 터너증후군에서 인슐린 민감도의 감소, 내당능장애, 당뇨 등의 유병률이 높게 보고되고 있으며, 이는 심혈관 질환 발생의 위험도를 증가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터너증후군 환자에서 성장호르몬과 여성호르몬이 당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터너증후군으로 세브란스 어린이병원에서 추적관찰 중인 소아 및 성인 환자 중 경구 당부하 검사 또는 공복 혈당 및 인슐린 농도를 측정한 61명의 기록을 후향적으로 고찰하여 성장호르몬,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 보충요법에 따른 인슐린 저항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인슐린 저항성은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HOMA-IR)와 qunatitative insulin sensitivity check index (QUICKI)를 이용하였다. 결과는 중간값과 범위로 표시하였다.
결 과: HOMA-IR은 호르몬 치료를 전혀 하지 않은 상태(1.18, 0.31-3.75)에 비해서 성장호르몬 투여 중(2.48, 0.32- 5.19)에 더 증가하였으며(n=21, P=0.035), QUICKI는 호르몬 치료 전(0.37, 0.31-0.47)에 비해서 성장호르몬 투여 중(0.33, 0.30-0.47)에 더 감소하였다(n=21, P=0.035). 성장호르몬만 사용하던 중과 비교하여 여성호르몬을 추가하였을 때 HOMA -IR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고(n=13; 각각 2.61, 0.30-4.82; 1.36, 0.36-3.81; P=0.055), QUICKI는 증가하였다(n=13; 각각 0.34, 0.30-0.48; 0.37, 0.31-0.46; P=0.046). 성장호르몬과 에스트로겐을 치료할 때와 여성호르몬 주기적 보충요법을 시행할 때를 비교하였을 때, 인슐린 저항성과 민감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치료 전에 비하여 성장호르몬을 치료하는 중에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고 민감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에스트로겐을 추가하면서 이러한 경향은 치료 전과 비슷하게 회복되었고 성장호르몬을 중단하고 여성호르몬 주기적 보충요법을 시행하는 중에도 유지되었다.
결 론: 터너증후군 환자에서 성장호르몬 치료는 내당능장애나 2형 당뇨병을 증가시키지는 않으나 치료 기간 중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키므로, 성장호르몬 치료 전후에 당대사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며, 성장이 거의 종료된 터너증후군 환자에서 성장호르몬 치료에 여성호르몬을 추가하는 것이 인슐린 저항성 악화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