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한국 물리치료사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제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8-146(9쪽)
KCI 피인용횟수
12
제공처
의료환경이 전문화되고 다원화 된 현대사회에서는 모든 국민에게 적정 의료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어지고 있다. 의료기관에는 다양한 보건인력이 종사하고 있으며, 그 중 물리치료사는 매우 책임성 있고 중요한 치료 업무 담당을 통해 국민건강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다. 하지만 물리치료사를 독립된 전문 인력이 아닌 의사의 보조 인력이나 병원 경영을 위한 치료적 서비스의 제공자 역할로 평가하는 경우도 많은 게 사실이다. 현대적 의료서비스는 의사의 진료와 의료기사 등의 의료보조행위에 기초하여 보다 조직화되고 복잡화, 전문화 되고 있다. 이런 시대 흐름에 부합되지 않는 한국 물리치료사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의료기사 특히, 물리치료사 개업권 등의 요구에 걸림돌이 되는 법적인 문제점과 물리치료 단독법 제정의 필요성 및 전문 물리치료사 제도의 도입, 또한 물리치료사의 단독개업의 문제점에 중점을 두고 고찰해 보았다. 물리치료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나날이 증대되어 가고,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물리치료사들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인정하고, 다양한 의료서비스 요구의 수용을 위해 업무장소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본다. 세계적인 흐름에 맞춰 이제 한국 물리치료도 물리치료사의 의료행위와 관련한 법체계에서는 합법적이고 원활한 업무활동을 위하여 의사의 구체적인 처방 및 의뢰에 의해 물리치료가 이루어지도록 개정되어야 하고, 독립된 법제정으로 물리치료사들의 업무영역 확대와 특성을 반영시킬 필요성이 있으며, 물리치료사의 업무범위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전문 물리치료사제도를 확대 실시하는 것이 시급하다. 또한, 국민 의료비의 절감, 물리치료 수혜범위의 확대 및 물리치료 국가경쟁력 등을 고려하여 물리치료사의 단독개업을 인정하는 등의 물리치료 정책의 개선이 절실하다고 하겠다.
더보기In South Korea having limited medical resources, there has been growing a need of legal and institutional devices to provide sufficient medical care services for all citizens. Currently, many healthcare personnel are working in Korea, and among them, physical therapists make up a part of the available hospital sand welfare facilities. However, while the majority of the physical therapists contribute positively to the health of the general public, they are not perceived as an independent specialist workforce, but instead are evaluated as no more than doctors" assistants or providers of therapeutic service for hospital business management. Modern medical services are based on medical assistment, including doctors" diagnosis and medical technicians, to become more organized, evolved and specialized. In order to bring to light the problem of the Korean physical therapy system which has not followed such modern trend and to suggest solutions for such issues, this study examined legal problems which serve as obstacles for the requests and exclusive business right of medical technicians, especially physical therapists,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exclusive business rights regarding physical therapy, the introduction of specialized systems for physical therapists, and problems related to exclusive business rights for physical therapists. It is assessed that there is a need for a continuously increasing focus on the importance of physical therapy, professionalism and independence of physical therapists working in various fields and the expansion of working space to accommodate requests from a wide range of medical service fields. In order to follow the global trend, the physical therapy field of Korea must make legal changes to allow physical therapy to follow detailed doctor"s prescription and suggestions for legal and smooth business activities. Furthermore, there is a need for independent legislation to expand the field of physical therapists, and there is also an urgent need to expand specialized physical therapy work range in order to strengthen the field"s professionalism. In addition, the study also suggests the improvements on physical therapy policies, such as recognizing exclusive business rights of physical therapists, in consideration of reduction of public health care fees, increased physical therapy benefit range and its national competitive advantage.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9 | 0.79 | 0.7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 | 0.67 | 0.781 | 0.2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