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무애희(無㝵戱)의 형성 맥락에 대한 소고(小考) ―원효(元曉)의 무애희를 통해 본 고대 민중오락적 연희의 창조적 동기
저자
정수연 (한양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3-151(29쪽)
제공처
무애희(無㝵戱)는 신라 고승 원효(元曉)가 행한 연희이다. 화엄경의 내용을 세속적인 형식에 담아낸 무애희는 진지한 내용과 대중적 형식의 조화라는 점에서 민중오락적 연희의 모범적 전형을 보여준다. 무애희의 내용은 화엄경의 사상이었지만, 그 형식은 남근을 연상시키는 괴이한 형태의 호롱박을 사용해, 음담과 속요를 노래하고 춤추는 형태로 추측되는 저속한 오락적 방식이었다. 이것은 기존의 불교제도권에서는 파계행으로 비판받았지만, 일반 백성들에게는 오락적 친근함을 통해 화엄경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파하는 종교적 도구였다. 기존 불교계에서 비주류의 위치에 있었던 원효였기에, 이러한 새로운 형식에 대한 실험이 가능했다. 원효는 승려로서의 자신의 정체성을 민중오락의 연희자로 바꿈으로써 자신의 존재 자체를 연극적 의미를 생산해내는 긴장의 축으로 만들었다. 이것은 곧 내용과 형식을 의도적으로 충돌시키는 것이기도 했다. 이것은 모든 사람이 자신에게 맞는 형식과 방법을 통해 본질에 도달할 수 있다는 원효의 사상이 잘 반영된 것이었다. 민중들의 비속한 연희야말로 실제적인 득도의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원효는 무애희를 통해 확증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무애희는 관객을 중심으로 삼는 연희임을 알 수 있다. 원효는 무애희를 보는 일반 민중들을 단순한 교화의 대상으로 보지 않았다. 그는 연희를 보는 일반 민중이야말로 자신의 깨달음을 반증해주는 매개체임에 주목했다. 깨달음은 다른 사람과의 만남을 통해서만 검증된다는 것이 원효의 사상이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원효의 세계관에 기대어 볼 때, 무애희의 최종적인 의미는 연희자의 언설에 있지 않고 관객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민중오락적 연희의 오락성에 전제된 다양한 의미맥락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무애희는 오늘날의 공연현실에도 유효한 문제의식을 탐구하는 좋은 통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Muaehi is the popular play performed by Wonhyo who was an outstanding monk in Shinra(新羅) dynasty. It is a good example of the popular play in which a philosophical subject and a vulgar form are in perfect harmony. Won-hyo visualized the contents of The Avatamska Sutra in Muaehi by using a bottle gourd reminding of a phallus. Won-hyo's practices were denounced by the Buddhist mainstream But his play became effective tool to preach Buddhism to the common people. His marginal position made a new experimental form possible. Wonhyo generated a theatrical tension by changing himself from a respectable monk to an actor of vulgar play. He created a intentional conflict between the subject and the form. Muaehi shows well his idea that everyone has his own way to reach the truth. He thought that each man can attain the enlightenment in his everyday life not by practicing asceticism in the mountains. Wonhyo proved that a vulgar form could be a good channel of enlightenment. Muaehi focuses o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performer and the audience. The performer doesn't regard the audience as the object of education The whole meaning of the play is not in the performer's intention but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performer and the audience. That is why Muaehi is a good example that can be applied to the modern popular play.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