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연대의 가능성과 인간의 의무 = Possibility of the Solidarity and Obligation of the Human Bein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7-58(42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Solidarity (Solidaritaet, solidaritas) generally means an attitude or activity for the purpose of a community as a whole or for that of a worthy person or persons acting within their legal rights who are threatened. I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we look at how the concept of solidarity has been used and developed historically in the traditions of Korea and Germany. In the second part, we use Bayertz ' writings, systematically to classify areas where the concept of solidarity is used and examines the possibilities of today’s solidarity. Bayertz considers these days’ culture as an individualist culture that prioritizes one’s own interests and values, and he uses sociological methodologies to examine areas of society and try to understand it phenomenologically. Bayertz divides the solidarity into four uses: 1. moral philosophical-metaphysical concept of solidarity, 2. solidarity as social unity, 3. solidarity as means and purpose of liberation struggle, 4.solidarity of welfare states. I would like to review Bayertz’s four conceptions of solidarity and its possibility. According to him, solidarity, which has meaningful effects still in the modern society presupposed by selfish human beings, is the "organic solidarity" of Duerkheim and the revolte solidarity of Camus. Part 2 sheds light on the limitations of Bayertz’ ideas and suggests that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must be supplemented by ethical and metaphysical human understanding. In the conclusion, we present an alternative viewpoint, that of Catholic social theory concerning the pursuit of personal dignity, solidarity, and subsidiarity in an integrated view in terms of metaphysics, history, ethics, and politics. The conclusion will present the basis of the proposition that solidarity is a duty of humanity and a mission of Christianity.
더보기연대solidarity(Solidaritaet, solidaritas)는 일반적으로공동체의 목적을 위해, 혹은 위협에 처해 있고 동시에가치 있고 적법한 것으로 보이는 타인의 목적을 위해 자신을 투신할 준비가 되어 있는 태도나 활동을 의미한다.
우선 연대개념이 한국과 독일의 역사와 전통 안에서어떻게 사용되었고 발전되었는지 살핀다(II장). III장에서는 체계적으로 연대개념이 소환된 영역들을 분류하고 오늘날에도 여전히 연대 가능성이 높은 장소는 어디인지바이예르츠(K. Bayertz)의 글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그는현대를 자신의 이익과 가치를 우선시 하는 개인주의 문화로 보고, 사회를 현상적으로 파악하는 사회학적 방법론을 가지고 영역들을 검토하고 있다. 바이예르츠는 1.
도덕철학적-형이상학적 개념으로서의 연대, 2. 사회적 통합으로서의 연대, 3. 해방투쟁의 수단과 목적으로서의 연대, 4. 복지국가의 연대 등 네 가지로 분류하여 분석하고있다. 그에 의하면 이기적 인간을 전제로 하는 현대사회에서도 여전히 의미 있는 효력을 발생하는 연대성은 뒤르켕이 지적한 ‘유기적 연대’와 생태, 여성, 장애인, 동성애자 등 역사적 진보와 해방을 기다리며 저항하는 까뮈의 ‘저항연대’ 정도이다. III장 소결(4)에서는 Bayertz의 한계를 지적하고 윤리학적, 형이상학적 인간 이해로 연대가능성을 보충해야 한다는 점을 밝힌다. IV장 결론부분에서 연대 가능성을 형이상학, 역사학, 윤리학, 정치학 등통합적 시각에서 인격성, 연대성, 보조성을 추구하는 가톨릭 사회론의 입장을 중심으로 대안으로 제시한다. 이를 통해 연대는 사회적 본성을 지닌 인간의 의무이자 특히 종교공동체, 특히 그리스도교의 사명이라는 점이 부각될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07-09-0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생명문화연구원 -> 생명문화연구소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1 | 0.41 | 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8 | 0.25 | 0.538 | 0.2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