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SCOPUS
딥러닝 기반 공간 프로그램 및 디자인 요소 분석 = Analyzing Spatial Programs and Design Elements Using Deep Learnin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대한건축학회논문집(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JAIK))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우수등재,SCOPUS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05-114(10쪽)
제공처
소장기관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딥러닝 접근방식을 기반으로 라이프스타일 호텔의 주요 공간 프로그램 및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건축 공간 계획 및 디자인 분야에서 소셜 빅데이터와 딥러닝 기반 컴퓨터 비전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디지털 시대에는 딥러닝 기반 기술을 통해 소셜 빅데이터를 통해 진정한 고객 의견을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공간 프로그램 및 디자인 요소를 탐색하기 위해 대표적이 이미지 공유 소셜 미디어인 인스타그램의 이미지를 활용한다. 국내 라이프스타일 호텔의 사례를 대상으로, 프로그래밍한 파이썬 웹 크롤러를 활용하여 인스타그램 이미지를 수집 및 전처리하여 데이터셋을 준비하였다. 먼저, 사전 구축된 컴퓨터 비전 모델을 활용하여 이미지에 나타난 주요 공간 디자인 요소를 탐색하였다. 이후이전 단계에서 공간 이미지로 분류된 이미지에서 주요 공간 프로그램을 분석하였으며, 이에 딥 러닝 기반 CNN모델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구와 재료, 섬유, 실내 식물과 같은 장식적인 요소들이 라이프스타일 호텔 환경을 설계할 때 우선순위를 두어야 하는 주요 디자인 요소라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숙박 외에도 F&B와 연회, 리테일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이 주요한 프로그램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새로운 활용방법을 제시함으로써 건축 및 공간 계획 영역에서 빅데이터의 분석 및 딥러닝 모델의 활용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더보기This study aims to uncover the essential spatial programs and design elements that resonate with lifestyle hotel users. It utilizes deep learningmethods with social big data to access authentic customer opinions in today’s digital world.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focuses onevaluating Instagram images of South Korean lifestyle hotels systematically collected using a Python web crawler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e image dataset was initially analyzed using a pre-built computer vision model to explore spatial design elements. Subsequently,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 was applied to scrutinize images categorized as spatial in the previous stage, identifying crucial spatialprograms.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decorative elements like furnishings, materials, textiles, and indoor greenery in shapinglifestyle hotel environments. Additionally, this research revealed that these hotels offer a range of services beyond accommodation, with astrong emphasis on Food and Beverage (F&B), banqueting facilities, and retail offerings. Ultimately, this study aims to expand and enrich thetoolbox of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and deep learning models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and spatial design, introducing a new paradigmfor their applicat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