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기획논문 : 공공감사(公共監査)의 성과측정에 관한 연구 = Measuring Public Audit Performance
저자
심광호 (고려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50.0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9-117(39쪽)
제공처
본 연구는 공공감사(public audit)가 정부성과관리를 위한 효율적 도구에서 이제는 성과관리를 받아야 하는 대상으로도 변화되고 있음에 초점을 둔다. 관련 연구와 문헌으로부터 공공감사의 성과측정 및 관리는 공공감사기구(국가최고감사기구 및 자체감사기구)가 자신의 공공감사활동에 대한 책무성을 유지시키고, 공공감사를 위한 효율적인 자원할당을 이끌게 하며, 공공감사의 역량과 품질을 제고하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궁극적으로 한 나라의 정부성과를 개선하게 함과 동시에 투명하고 ``책무성있는 거버넌스``(accountable governance) 달성에 기여하는 순기능적 기능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논거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기존 연구가 시도하지 않은 공공감사의 성과측정을 체계적으로 제도화하기 위한 규범적 및 개념적 모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일반적인 공공행정분야에 있어서 성과측정 및 그 체계에 대한 기존의 이론적 연구들을 탐색하여 공공감사의 성과측정에 대한 논리적 기반을 확보하였고, 다음으로 공공감사분야에 있어서 성과측정 및 그 체계에 대한 부분적 연구들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실제 주요 국가의 최고감사기구들(SAIs)(즉, 미국 GAO, 영국 NAO, 캐나다OAG)은 물론 한국 감사원의 공공감사측정체계를 분석 비교하여 공공감사의 성과측정체계에 관한 함의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와 현실적 제도들의 맥락으로부터 각국 정부 및 최고공공감사기구가 제도화하는데 기반이 될 수 있는 바람직한 감사성과측청체계의 규범적모형을 정립하였다. 그 모형은 (i) 공공감사행위, (ii) 국회 및 행정부 등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공공감사의 지원, (ii) 국내외 협력적 공공감사네트워크의 조성 관리 활용, (iv) 공공감사의 역량 보유 개발 관리 활용이라는 4가지 주요 요소들에서 각기 도출되는 산출(output)과 결과(outcome) 측면의 감사성과를 측정하고 통합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동시에 그러한 공공감사의 성과측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제반 제도적 장치들을 구축하여 가동함으로써 최고감사기구의 성과측정 및 성과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선진 최고감사기구들이 그러한 감사성과측정체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추진해야할 도전적인 과제들로서 (i) 기존에 구축한 공공감사측정시스템의 세련화와 동시에 (ii) 공공감사의 독립성 확보, (iii) 개별 감사활동과 예산의 연계 분석, (iv)공공감사의 성과측정과 관련된 국제적 훈련프로그램의 제공 등에 대해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마지막으로 한국 감사원의 성과 측정 및 관리의 문제점들에 비추어, 한국 감사원처럼 상대적으로 발전되지 못한 체계를 가지고 있는 공공감사기구들의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감사기구의 고위층에 의한 공공감사성과측정의 선도적 노력, 대통령과 국회의 공공감사성과측정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확보, 결과(outcome) 기반의 감사성과 측정도구의 연구개발, 공공감사의 품질제고를 위한 제반 제도들(즉, 감사불만 및 결점 파악을 위한 검토, 서베이, 현황분석, 사후감사, 감사비용의 효과성 분석 등)의 구축 및 추진에 선결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더보기Some studies have mentioned that measuring public audit performance can hold a nation`s supreme audit institution (SAI) accountable for its audit work, induce better resource allocation for public audit, and help the SAI to enhance its public audit management and capacity. In this regard, this paper explored to build up the ways in which public audit performance measurement, which ultimately can improve government performance and achieve transparent and accountable governance in every country, could be introduced and systematized. For this, the paper derived some insights from previous theoretical studies on performance measurement in the fields of general public administration and public auditing and from a comparative analysis of public audit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of leading countries, including the U.S., the U.K., and Canada. As a result, the paper proposed a normative or conceptual model for measuring a SAI`s public audit performance by integrating performance measurements on both audit outcomes and outputs from each of major four elements such as conducting various public audits, serving stakeholders such as the Congress (or the Parliament) and public agencies as auditees; creating and manag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networks; and retaining and using SAIs` public audit capacity. Furthermore, the paper suggested that leading SAIs should continue to refine and rearrange its audit measurement system by protecting its independence, sustaining undertaking action programs for facilitating onbudget audit performance, and providing training programs for underdeveloped SAIs, while a relatively underdeveloped SAI like BAI is required to oblige its senior management to take a leading role in building a systematic framework for measuring its audit performance, promote a climate of audit performance measurement in the Presid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focus on outcomeoriented audit performance measures, and finally enhance its audit quality by employing methods such as reviews and surveys on audit satisfaction, regular followup audits, and audit costeffectiveness analysi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