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신라 황룡사의 창건과 진흥왕의 왕권 강화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19-151(33쪽)
KCI 피인용횟수
11
제공처
본 논문은 신라 황룡사의 창건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진흥왕이 창건을 통해 궁극적으로 목적했던 바가 왕권 강화였음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황룡사는 진흥왕 14년(553)에 새로이 궁궐을 지으려던 터에서 황룡이 출현하자 사찰로 변경되어 창건되었다. 그런데 궁궐은 왕권을 상징하는 가장 강한 표상이므로 진흥왕과 황룡사 창건의 관계가 정치적 상관성을 갖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발굴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 황룡사지의 지반은 원래 늪지였다. 따라서 우선 궁궐 건설의 계획을 수립하고, 늪지의 매립과 같은 대규모 토목공사를 진행해야 했다. 진흥왕 14년이라는 황룡사 창건 연대는 궁궐이 사찰로 변경된 시점을 나타낸 것이다. 이는 늪지의 매립이 6세기 중반에 완료되고 인근에 도로가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한 연구에 의해 입증된다. 이때 조성된 도로는 격자문 도성의 주된 유구로 이와 궤를 같이 하여 황룡사의 寺域이 확정되었다.
북위와 일본의 사례를 통해서 검토해 본 결과 이러한 도성제도는 율령의 제정ㆍ반포와 일정한 상관관계를 형성했다. 곧 율령에 의한 통치제도를 확립하기 위해 도성을 정비하고 궁궐을 건설했던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법흥왕 7년의 율령 반포 및 동왕 18년의 제방수리 명령에 주목했다.
법흥왕을 이어 즉위한 진흥왕은 전대의 정치ㆍ사회적 분위기를 이어 받는 한편, 유년에 즉위한 까닭으로 왕태후와 이사부의 섭정을 받았다. 그러나 재위 초기는 섭정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확산과 전쟁ㆍ대규모 토목공사 등으로 인해 각종 정치ㆍ사회적 문제가 야기되었다. 이는 궁궐 건설에 대한 부정적 인식 및 계획 변경의 원인이 되었다.
그런데 황룡사 창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반드시 주목해야할 것이 창건의 결정적 역할을 했던 ‘황룡’이다. 이에 여러 기록에 의거한 고대인의 인식 체계를 기준으로 하여 다각도로 황룡의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곧 황룡은 상서로운 징조로서 정치의 衰缺함을 은폐하고자 한 의도로도 볼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실한 수호신인 황룡을 잡기 위해 사찰을 세우고 호법룡의 역할을 부여한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황룡에 대한 이러한 인식은 황룡사 창건에 정당성을 부여하였다.
親政 이후 더욱 강력한 왕권을 위해 전륜성왕사상을 수용한 진흥왕은 즉위의례적 創寺 행위인 황룡사 창건을 통해서 왕위의 정당성을 획득하고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결국 황룡사는 왕권 강화의 기틀을 확립하고자 한 진흥왕의 종교적 상징물이자 정치적 권력 기반으로 작용하였다.
This study try to confirm that King Jinheung pursued ultimately royal authority strengthening through the foundation by looking the process of foundation of Hwangyong temple in silla. As every knows, Hwangyong temple was founded by changing from making the new royal palace to the temple at 14 year of King Jinheung. There is the reason why it have a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foundation of Hwangyong temple and King Jinheung because a palace is symbol of royal authority.
According to excavation investigation, the ground of Hwangyong temple area was originally bog land. Therefore, it devised a plan to build of palace at the first and had to progress grand-scale public works such as reclaim bog land. However, provided it takes notice at researcher’s estimation that some roads was made near the temple after end of the reclaiming bog land at the middle of the sixth century, the period of foundation as 14 year of King Jinheung is pointing the changing time from royal palace to the temple. The roads which is made near temple is the main ruins of gridpattern capital system, in sync with it, Hwangyong temple was demarcated the temple area.
On investigation in the case of the northern Wei Dynasty and ancient Japan, this capital system formed consistent correlation with establishment and proclamation of the law. Which mean, modifying of the capital city and building royal palace to establish a ruling system by the law. In relation to this, it’s took note of proclamation of the law at 7 year of King Bupheung and command of repairing dike at 18 year of same King.
On the other hand, King Jinheung who ascended following King Bupheung inherited political and social moods of previous generation, He was acted as regent by the Empress Dowager and Isabu because King came the throne when he was young. However, in the early reign of King Jinheung, it was occurred various political and social problems with the diffusion of negative awareness about the regency and the warㆍgrand-scale public works. It was became the cause of negative awareness and changing of plan about building of the palace.
But we surely have to take notice of Yellow Dragon which was an active role on the foundation in the study about foundation of Hwangyong temple. So I tried analysis from various angles about Yellow Dragon by awareness stage of the ancients on the many data. That is to say, Yellow Dragon can be considered in a intention that it try to cover up political flaw as auspicious sign, on the other hand, it can interpret to give a role of the Dragon as the defence of a Buddhism for catching the Yellow Dragon lost patron saint. This awareness about Yellow Dragon legitimized on the foundation of Hwangyong temple.
After the politic by himself, King Jinheung accepted Cakravartin idea to more powerful royal authority. Then he tried to acquire legitimacy of the throne and strengthen royal authority through a sort of the ceremony of a accession to the throne. Finally, Hwangyong temple works as a religious symbolic icon and political power base for King Jinheung who tried to build up the basis of King’s power.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7-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9 | 1.69 | 1.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4 | 1.57 | 3.463 | 0.1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