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현지조사로 밝혀진 대한제국기 울릉도 현황과 일본의 자원 침탈 = Ulleungdo Situation and Japanese Resource Exploitation Revealed by Field Survey in Korean Empire Period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7-58(42쪽)
KCI 피인용횟수
4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e survey of Ulleungdo was conducted eight times between June 1899 and December 1905 in Korean Empire period. Investigators were government officials, including customs officials, Japanese Foreign Ministry officials and police, and Korean government officials. The custom’s commissioner Laporte surveyed in June 1899 found that the Japanese exported timber and grain to Japan but did not pay tariffs other than the commission paid to intermediary merchants. The current status of the smuggling of the Japanese was also revealed in the September 1899 survey.
In June 1900, the Korean Empire and the Japanese government conducted a joint investigation, and the Korean Empire government asked the Japanese government to withdraw the Japanese on Ulleungdo, but the Japanese did not withdraw. The Korean Empire elevated Ulleungdo to Uldo county, placed an county magistrate, and recognized the right of tax administration. In the 1901 survey, it was revealed that the Japanese were not exporting tariffs but were extracting resources. In 1902, the Korean Empire government enacted the “Uldogun Jeolmok(鬱島郡節目, Administrative Guidelines governing Uldo County)”, and imposed 1% tariff on Japanese export cargo. The Japanese exploitation of the resources was the addition of fish from timber and grain, and in 1904 sea lions were added to the export. The sea lion at this time refers to sea lion of Liangko Island(sea lion of Dokdo). In 1905, sea lion scraps and canned abalone were added.
In 1905, there were about 3,500 Koreans living in Ulleungdo, and about 300-350 Japanese. In 1905, the number of exports was soybeans, wood, dried abalone, squid and sea lion, all of which were exported directly from Ulleungdo to Japan. Since the Japanese normally exported the cargo without paying the customs duties, the more the trade volume between Ulleungdo and Japan increased, the more the exploitation of resources became worse. Ulleungdo was surveyed every year from 1899 to 1905, especially in 1904 and 1905. This means the situation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tried to cope with the resources to invade in Ulleungdo as the resources of Ulleungdo were depleted.
이 글은 1899년부터 1905년까지 울릉도를 현지 조사한 보고서를 분석하여 울릉도 현황과 일본인의 자원 침탈을 밝히려는 것이다. 이 시기에 모두 8번의 조사가 있었고 관련 보고서는 11종류가 있었다. 1899년과 1900년은 부산세관과 한일 양국이 조사했지만, 1902년부터는 일본이 조사를 주도했으며, 1905년에는 이례적으로 두 번에 걸쳐 조사했다. 조사자들은 울릉도 지세와 인구, 지명의 변화를 기술했고, 특히 수출입 무역 현황과 종사자의 변동을 기술했다. 수출품은 목재와 대두에 해산물이 추가되어 전복과 우뭇가사리, 그리고 오징어와 독도강치가 추가되었다. 수입품은 일용품으로 그 종류가 점차 늘어나고 수입액도 증가했다.
일본인들은 수출품에 대하여 울릉도 수장에게 수출세 명목의 세금을 납부했고, 수입품에 대해서는 수입세를 납부하지 않았다. 수출세는 2%에서 1%로 낮아졌지만 폐지되지는 않았다. 그런데 당시 관세제도는 수출세율이 종가세 5%였고 개항장을 통해 수출하도록 되어 있었다. 비개항장에서 일본과 직교역을 하는 것은 불법이다. 그러나 일본인 조사자들은 양국인의 교역을 상호이익의 관계로 규정했고, 양국인의 관계를 원만한 관계로 보고했다. 한편 부산세관 관리와 한국인 조사자들은 일본인들이 세금을 면탈하고 있으며 횡포가 날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4-26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해양정책연구외국어명 : Ocean Policy Research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4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3 | 0.41 | 0.731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