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주택 거주희망자 대상 공간선호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Spatial Needs for Prospective Residents in Share Housing
저자
발행사항
서울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7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주택ㆍ건축디자인학과 , 2018.2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진욱
UCI식별코드
I804:11034-200000012109
소장기관
최신 연구 동향에 따르면 향후 가구해체 및 가구 분화로 인해 가구수는 증가하지만 가구 구성원은 줄어들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족이외에도 개인적 가치관이 비슷한 사람들이 모여서 새로운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형태가 등장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이에 대한 주택정책적 대응을 보면, 도시형 생활주택 등 원룸형 주택의 공급에 급급한 나머지 다양한 형태의 라이프 스타일이나 이들이 처한 상황 및 수요를 반영한 주거계획은 상대적으로 소홀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형태중 하나인 공유주택의 거주 희망자를 설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주거요구 선호도를 분석하여 수요에 부응하는 공유주택을 위한 기초연구 자료를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거주 희망자 공유주택의 유형 및 기준에는 선호하는 공유주택의 유형은 단지형 아파트를 선호하며, 가구수는 3가구, 선택기준으로는 공동 1순위 교육환경, 교통이며 2순위로는 직장거리, 자연환경 순이였다.
둘째. 거주 희망자 공유주택의 공간별 주요구 분석에는 공용공간으로는 공동작업장 및 탁아소(놀이방)을 선호하며, 공용지원에 관한 서비스는 탁아서비스를 선호하였다. 또한, 단위세대 거실계획은 가족중심공간이고, 침실계획은 프라이버시 공간을, 식당계획은 가족중심공간이며, 발코니계획은 휴식공간 추가하고 싶은 공간으로는 취미 및 특기활동이고, 평면에서 확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공간은 부엌/식당, 축소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공간은 안방으로 나타났다.
셋째. 거주 희망자 주요구 분석을 통한 조건 선호도에서 공유공간은 향후 시장변화 대비형에 대비 해야하며, 개인공간에서는 룸쉐어로 인한 밀도 상승으로 가변적 거주 독립성 확보계획이 숙제로 남아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공유주택의 거주희망자 대상 공간별 주요구 분석에 관한 연구는 단순히 동일 유형의 거주자를 모집하는 일방적으로 제공된 주거가 아닌 건축설계과정부터 입주자의 라이프 스타일 및 향후 시장뿐만 아니라 혼용과 변용을 고려하며 사용자에 의해 진화 될 수 있는 한국형 쉐어하우스가 되도록 다양한 시도와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According to the latest research trends, the number of households will increase due to demolition of furniture and differentiation of households, but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will decrease. In this situation, it is expected that people with similar personal values will form a new community in addition to the family. However, the housing policy response shows that the supply of one- The residential plans reflecting the situation and demand of them were relatively negle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of housing demand according to lifestyle after surveying the number of residents who want to build a new community. Respectively.
First survey results. The type and the standard of the residential applicants prefer the type of apartment that they prefer. The number of households is 3 households, the first is the common educational environment, the second is the business street, the second is the natural environment Respectively.
second. In the analysis of the main needs of the shared residence, the preference for the common space and the nursery (playroom) was common space, and the public support service preferred the day care service. In addition, the unit-living room plan is a family-centered space, the bedroom plan is a privacy space, the restaurant plan is a family-centered space, and the balcony plan is a hobby and specialty activity where you want to add a resting space. The space that I think is a kitchen / restaurant, and the space that I think that it needs to be reduced is a room.
third. In the condition preference through the demand analysis of residents' wishes, the shared space needs to be prepared against the market change in the future. In the private space, the density increase due to room share has confirmed that the plan for securing the variable residence independence remains as homework. In this study, the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main needs of the residents of the residential areas of the residential apartment is conducted not only from the unilaterally provided housing that recruits the same type of resident, but also from the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to the residential lifestyle and future market as well as the mixed use and transformation. Consideration and review will be necessary to make Korean share house evolve by user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