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근무환경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working environment of daycare teachers at workplace daycare centers on the implementation of infant rights-respecting childcare -With the Jeonnam area at the center-
저자
발행사항
순천 :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2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순천대학교 대학원 : 소비자.가족아동학과 2022. 8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한국어
KDC
375.1 판사항(5)
발행국(도시)
전라남도
기타서명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working environment of daycare teachers at workplace daycare centers on the implementation of infant rights-respecting childcare -With the Jeonnam area at the center-
형태사항
p ; 26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박애리
참고문헌 : p.
UCI식별코드
I804:46008-000000010087
소장기관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근무환경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남지역에 위치한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05명이다.
본 연구의 도구로는 첫째,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김진숙(2009)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크게 2개의 하위범주에 총 4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루일과 존중 20문항, 아동 최선의 이익 20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문항은 Likert 5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1점), 그렇지 않다(2점), 보통이다(3점), 그렇다(4점), 매우 그렇다(5점)으로 구성되어 있고 점수가 높을수록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D’Arienzo, Morraco와 Krajewski(1982)의 직무스트레스 설문지 (MTOSFQ : Modified Teacher Occupational Stress Factor Questionnaire)와 김정휘(1991)가 개발한 교사직무스트레스 척도를 토대로 신혜영(2004)이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여 재구성한 ‘어린이집교사의 직무스트레스’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보육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측정 도구의 하위영역은 네 개의 하위범주로 원장의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부족, 업무 과부하, 동료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로 구성된 총 27문항이다. 각 문항은 Likert 5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1점), 그렇지 않다(2점), 보통이다(3점), 그렇다(4점), 매우 그렇다(5점)으로 구성되어 있고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근무환경의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유희정, 이미화(2004)와 박영희(2010)의 설문지를 기반으로 이점자(2012)가 수
정·보완한 척도를 원영미(2015)와 김미애(2020)가 사용한 도구를 활용하였다. 근무환경 측정 도구의 하위영역은 세 개의 하위범주로 물리적 환경, 인적 환경, 업무 지원성 환경으로 구성된 총27개 문항이다. 각 문항은 Likert 5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1점), 그렇지 않다(2점), 보통이다(3점), 그렇다(4점), 매우 그렇다(5점)으로 구성되어 있고 점수가 높을수록 근무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분석방법으로는 먼저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r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근무환경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One-way ANOVA 분석을 하였고 사후검정으로는 Scheffe검정을 실시하였다.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근무환경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통제하고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근무환경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regressio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자녀양육 여부, 경력, 학력, 연령이 직무스트레스와 근무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둘째,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했으나, 직무스트레스와 근무환경의 하위요인을 동시에 회귀분석에 투입했을 경우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은 유의미하지 않았고, 근무환경의 하위요인만 유의미했다. 따라서, 직무스트레스보다는 근무환경의 만족도가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근무환경에 더욱 중점을 둔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ve influence of job stress and working environment of childcare teachers at workplace daycare centers on the implementation of childcare that respects the righ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5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workplace daycare centers located in Jeonnam area. The tool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ool developed by Kim Jin-sook (2009) was used to measure the degree of childcare practice respecting infant rights. This tool consists of a total of 40
questions in two subcategories, 20 questions for daily work and respect, and 20 questions for the best interests of children. Each question is composed of a 5-point Likert scale(1 = not at all, 2 = a little bit, 3 = moderately, 4 = quite a bit, 5 = extremely). Higher scores indicated higher level of childcare respect for infant rights.
Second, in order to find out the degree of job stress, Shin Hye-young (2004) reconstructed the 'job stress' of the teacher, based on the 'Modified Teacher Occupational Stress Factor Questionaire' (MTOSFQ) and Kim Jung-hwi (1991) develop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paper. The sub-area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are are four sub-categories, with a total of 27 questions consisting of the director's lack of leadership and administrative support, work overload,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nd relationships with parents. Each
question is on the Likert 5-point scale(1 = not at all, 2 = a little bit, 3 = moderately, 4 = quite a bit, 5 = extremely). Higher scores indicated higher levels of job stress.
Third, in order to measure the satisfaction of the working environment, the tools used by Won Young-mi (2015) and Kim Mi-ae (2020) were us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of Yoo Hee-jung, Lee Mi-hwa (2004) and Park Young-hee (2010).
The sub-area of the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tool is a total of 27 questions consisting of a physical environment, a human environment, and a work supportive environment in three sub-categories. Each question is on the Likert 5-point scale(1 = not at all, 2 = a little bit, 3 = moderately, 4 = quite a bit, 5 = extremely). Higher scores indicated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the working environments.
This study conducted several statistical analyses. First of all,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o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variables of the study subjects. Next, the Cronbar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tool. In addi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childcare performance, job stress, and work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variables of the study subjects, and the Scheffe test was conducted as a post-test. Correlat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rights respective childcare, job stress, and working environment of daycare centers. Finally, multi-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work stress and working environment affected infant rights respective childcare controlling for several control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predicted that the child rearing status,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age of childcare teachers at work daycare centers had effects on job stress and satisfaction with the working environment. Second, the effects of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on infant and child rights respect child care practice was significant, but when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and work environment were simultaneously put into regression analysis, only the sub-factors of work environment were significant.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of theworking environment had a greater relative influence on the implementation of childcare with respect to the rights of infants and toddlers than job stress. Based on these studies, improvement measures that focus more on the working environment are needed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childcare implementation for infants and children's rights of childcare teachers at work daycare center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