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생태학적 체계 모형에 기반한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관련 요인에 대한 메타구조방정식 다집단 분석 = A Multiple Group Analysis of Meta-Analyti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Factors Related to Peer Harassment Defending Behavior Based on Ecological Systems Model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학적 체계 모형과 3요인 상호성 모형을 통합하여 사회·정서역량이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에 영향을 미칠 때, 개인이 인지한 학교문화 및 또래관계와 같은 미시체계 요인들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종합적이고 일반화된 모형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또한 초·중등 집단의 데이터에 기반을 둔 다집단 메타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학교급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년부터 2021년 6월까지 국내 초·중등 학생들을 대상으로 방어행동 및 방어행동 관련 변인 간의 상관계수가 있는 연구물 68편을 선정하였다. 관련 변인들은 다시 개인(사회·정서역량), 또래(또래관계), 학교(교사학생관계, 비폭력학교문화, 학교공동체의식), 방어행동으로 이루어진 4개의 요인군과 6개의 하위요인으로 분류하였다. 6개의 하위요인간의 상관계수를 효과크기로 하여 동질성 검증을 한 후 정해진 랜덤효과모형을 이용하여 합동상관행렬을 구한 뒤 모형의 직·간접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때 신뢰구간에 0이 포함되지 않으면 유의한 결과로 판단하였다. 그 결과 방어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직접효과는 학교문화와 사회·정서역량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또래관계가 학교문화에 미치는 영향은 모든 직접 효과크기 중에서 가장 컸으며, 사회·정서역량이 학교문화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이었고, 사회·정서역량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마지막이었다. 전체와 중등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낸 경로는 다음과 같다. 학교문화는 사회·정서역량과 방어행동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는 사회·정서역량이 높은 학생은 학교문화를 비폭력적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아 이것이 방어행동으로 연결됨을 알 수 있다. 학교문화는 또래관계와 방어행동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는 자신의 또래관계가 긍정적이라고 인식하는 학생은 학교문화를 비폭력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고, 이런 인식은 방어행동의 빈도를 높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래관계는 사회·정서역량과 학교문화와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는 사회·정서역량이 높은 학생은 스스로 긍적적이고 바람직한 또래관계를 갖고 있다고 여기며, 이는 비폭력적인 학교문화의 인식으로 연결되었다. 마지막으로 또래관계와 학교문화는 사회·정서역량과 방어행동과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즉, 사회·정서역량이 높은 학생은 또래 사이에서 지위가 높고 지지도 많이 받으며, 이런 학생들이 학교문화가 비폭력적이어야 한다고 인식하면, 주도적으로 방어행동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초등은 사회·정서역량이 학교문화를 거쳐 방어행동으로 이어지는 경로와, 또래관계가 학교문화를 거쳐 방어행동으로 이어지는 경로만 유의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에서는 비폭력적인 학교문화 인식이 방어행동을 일으키는데 매우 중요한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또래괴롭힘이 줄어들지 않고 있는 일선 학교현장에 대한 문제의식과 사회·정서역량 및 방어행동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한 학문적 현실을 반영하여, 국내외 처음으로 단일 연구로는 측정하기 힘든 생태체계적 모형에 근거한 가설적 이론을 검증하기에 적합한 메타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개인의 사회·정서역량이 방어행동으로 연결되는데, 또래관계와 학교문화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는 통합적인 모형을 제시하는데 그치지 않고, 초·중등의 모형을 비교하여 학교급의 차이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synthesized and generalized model by integrating ecological system model with triadic reciprocity one how factors recognized by individual in the micro-system such as school culture and peer relationships play roles when individual social-emotional competence influences peer harassment defending behavior. Indeed, it is validated using a multi-group analysis of MASEM(Meta-Analyti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tilizing data from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using the theory of triadic reciprocity as the theoretical model. To do this, 68 domestic articles are chosen which have correlation coefficients about defending behavior and related variables for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from 2009 to June, 2021. After proving homogeneity by utiliz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six sub-factors as the effect size, the fixed random effect model was used to create the pooled correlation matrix, and the model's direct and indirect effects were assessed. At this time, if zero was not included from the confidence interval, the result was deemed significant. In addition, the structural path was analyzed with the model using a pooled correlation matrix, which was produced based 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six sub factors via a random effect model. As a result, the direct effect of defending behavior was in a descending order of the school culture and the social-emotional competence. In addition, the most influential component on school culture was the peer relationship aspect (anti-bullying climate). The social-emotional competence component was the second most influential, and was the last element in terms of demonstrating the effect size. The following routes have substantial mediating effects at both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s. The school culture fact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defending behavior and the social-emotional competence, implying students with high social-emotional competence recognize the school culture as non-violent, and thus are more likely to demonstrate their defending behavior naturally. Additionally, the school culture factor has the same positiv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etween peer relationship and defending behavior, which indicates students who perceived a positive connection with their peers tend to recognize the school culture as non-violent and thus are predicted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defending behavior. Additionally, the peer relationship showed a significant effect between the social-emotional competence and the defending behavior indicating that students with high social-emotional competence are more likely to get along with their peers for themselves and it leads to connect recognition of the anti-bullying school culture. Lastly, the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cultur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between the social-emotional competence and the defending behavior.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students with a high level of social-emotional competence tend to demonstrate a high level of likability and popularity and receive more support from their peers. This may cause the students to actively show defending behavior when they are bullied because they interpret the school culture as anti-bullying. Finally, the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culture factors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emotional competence and defending behavior in a substantial manner. In elementary school, only the route whereby social emotional competence leads to defending behavior via school culture and the path whereby peer interactions lead to defensive behavior through school culture were established. It was found that perceiving a nonviolent school culture in elementary school is a crucial step in inducing defending behavio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ll the gap in research regarding the recent rise in anti-bullying incidents in schools by employing the analysis of MASEM, which had never been used before in a study of defending behavior, and by examining complicated and broad hypothetical theories of social-emotional competence, peer relationship, school culture, and defending behavior. This study's "synthetic model" not only suggests that a school culture that discourages bullying is important for a person's social-emotional skills and how they act when they feel threatened but also finds out the implications by comparing models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and then analyzing the differences at the school level.

    더보기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2절 연구문제 12
    • 제2장 이론적 배경 14
    • 제1절 생태학적 체계 모형 및 3요인 상호성 모형 14
    • 1. 생태학적 체계 모형 14
    • 2. 3요인 상호성 모형 17
    • 제2절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19
    • 1. 또래괴롭힘 19
    • 2.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21
    • 3. 또래괴롭힘 주변인 24
    • 4. 정신화와 삼자적 관점 26
    • 제3절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관련 변인 29
    • 1. 개인특성 30
    • 2. 미시체계 요인-또래 37
    • 3. 미시체계 요인-학교 40
    • 4. 변인 간 관계 48
    • 제3절 학교 급 차이 57
    • 1. 초·중등 발달 차이 58
    • 2. 초·중등 교육환경의 차이 59
    • 제4절 메타구조방정식모형 분석 59
    • 1. 메타구조방정식모형 59
    • 2. 효과크기 계산, 합동상관행렬 추정 61
    • 3. 효과크기의 해석 62
    • 4. 고정효과 모형과 랜덤효과 모형 63
    • 5. 독립성 66
    • 제3장 연구방법 68
    • 제1절 메타구조방정식모형 자료 선정 68
    • 1. 연구물 선정 68
    • 2. 연구 결과의 보고 기준 77
    • 제2절 코딩 및 신뢰도 78
    • 1. 데이터 코딩 79
    • 2. 평가자간 신뢰도 80
    • 3. 요인 선정 및 선정 기준 81
    • 제3절 메타구조방정식모형 설계 82
    • 1. 연구모형 83
    • 2. 자료 분석 86
    • 제4장 연구 결과 89
    • 제1절 메타구조방정식모형 분석 89
    • 1. 합동상관행렬 산출 89
    • 2. 경로분석 97
    • 제5장 논의 및 결론 102
    • 제1절 요약 및 결론 102
    • 제2절 제한점 107
    • 제3절 교육적 의의와 실천적 시사점 110
    • 참고문헌 117
    • 부 록 166
    • ABSTRACT 188
    더보기
    • 1 권지웅, 최은영, 임재연, 이선숙, 박종효, "학교폭력", 서울: 학지사, 2022
    • 2 박병량, "학급경영", 서울: 학지사, 1997
    • 3 Hoover , J. H. , & Hazler , R. J ., "Bullies and victims .", 25 , 212-220 ., 1994
    • 4 Dymond , R. F., "Personality and empathy", 14 ( 5 ) , 343-350 ., 1950
    • 5 황성동, "R을 이용한 메타분석", 서울: 학지사(2판), 2020
    • 6 유성모, "R 메타분석 쉽게 배우기", 서울: 황소걸음아카데미, 2019
    • 7 Holland , P. W., "Statistics and causal inference", 81 ( 396 ) , 945-960 ., 1986
    • 8 김아영, "학업동기 (제1판, pp. 274)", 서울: 학지사, 2010
    • 9 Tangney , J. P. , Stuewig , J. , & Mashek , D. J ., "Moral emotions and moral behavior", 58 , 345-372 ., 2007
    • 10 Thapa , A. , Cohen , J. , Guffey , S. , & Higgins-D ’ Alessandro , A ., "A review of school climate research", 83 ( 3 ) , 357-385 ., 2013
    • 11 Bateman , A. W. , & Fonagy , P., "Mentalization-based treatment of BPD", 18 ( 1 ) , 36-51 ., 2004
    • 12 Salmivalli , C. , Huttunen , A. , & Lagerspetz , K. M., "Peer networks and bullying in schools", 38 ( 4 ) , 305-312 ., 1997
    • 13 Bacchini , D. , Esposito , G. , & Affuso , G., "Social experience and school bullying", 19 ( 1 ) , 17-32 ., 2009
    • 14 Salmivalli , C., "Bullying and the peer group : A review", 15 ( 2 ) , 112-120 ., 2010
    • 15 Shin , I. S., "Recent research trends in meta-analysis", 11 ( 2 ) , 79-83 ., 2017
    • 16 Higgins JP , Thompson SG , Deeks JJ , Altman DG, "Measuring inconsistency in meta-analyses", 327 ( 7414 ) , 557-560, 2003
    • 17 Rigby , K. , & Johnson , B, "Student bystanders in Australian schools", 23 ( 2 ) , 10-16 ., 2005
    • 18 김명찬, 문혜리, "정신화 연구 동향 및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22(4), 785-807, 2022
    • 19 김명숙, "아동의 사회적지지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3(4), 37-47, 1995
    • 20 Cillessen , A. H. , & Rose , A. J ., "Understanding popularity in the peer system", 14 ( 2 ) , 102-105 ., 2005
    • 21 윤미선, 황수영, "연령과 성별에 따른 공감의 차이", 교육심리연구, 33(2), 193-210, 2019
    • 22 Eisenberg , N., "Emotion , regulation , and moral development", 51 ( 1 ) , 665-697, 2000
    • 23 Guzzo , R. A. , Yost , P. R. , Campbell , R. J. , & Shea , G. P., "Potency in groups : Articulating a construct", 32 ( 1 ) , 87-106 ., 1993
    • 24 McMillan , D. W. , & Chavis , D. M., "Sense of community : A definition and theory", 14 ( 1 ) , 6-23 ., 1986
    • 25 Cobb , S.,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38 ( 5 ) , 300-314 ., 1976
    • 26 문수백,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2010
    • 27 교육부, "2021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서울: 교육부, 2021
    • 28 Hartup , W. W. , & Stevens , N., "Friendships and adaptation in the life course", 121 ( 3 ) , 355-370 ., 1997
    • 29 Lease , A. M. , Kennedy , C. A. , & Axelrod , J. L., "Children 's social constructions of popularity", 11 ( 1 ) , 87-109 ., 2002
    • 30 Greener , M., "Understanding the long-term effects of bullying", 11 ( 1 ) , 36-39 ., 2016
    • 31 김정흔, 이승연, "또래괴롭힘 방관자 하위유형의 탐색", 상담학연구, 17(5), 377-398, 2016
    • 32 Sainio , M. , Veenstra , R. , Huitsing , G. , & Salmivalli , C., "Victims and their defenders : A dyadic approach .", 35 ( 2 ) , 144-151 ., 2011
    • 33 김아름, 김혜리, "또래지위에 따른 마음읽기 능력의 차", 한국심리학 회지: 학교, 6(2), 149-169, 2009
    • 34 남영옥, 최지훈, "학교폭력과 주변인 역할에 관한 연구", 복지상담교 육연구, 6(2), 275-297, 2017
    • 35 White , R., "Motivation reconsidered : The concept of competence", 66 , 279-333 ., 1959
    • 36 Bagozzi , R. P. & Yi , Y ., "Multitrait-Multimethod Matrices in Consumer Research", 17 ( 4 ) , 426-439, 1991
    • 37 신인수, 최지은, 제미영, "중학생 우울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청소년상담연구, 20(2), 361-385, 2012
    • 38 Kennedy , J. H. , & Kennedy , C. E., "Attachment theory : Implications for school psychology", 41 ( 2 ) , 247-259, 2004
    • 39 이훈구, "교실이야기2-때리는 아이들, 맞는 아이들", 서울: 법문사, 2001
    • 40 강윤경, 홍세희, 조기현, 이현정, 윤미리, 손수경, 김효진, "청소년 회복탄력성에 대한 메타경로분석", 청소년문화포럼, 63, 109-134, 2020
    • 41 문경호, "도덕적 의사결정에서 직관과 추론의 역할", 윤리교육연구, 44, 85-115, 2017
    • 42 Lazarus RS, "Coping theory and research : past , present , and future", 55 , 234-247, 1993
    • 43 Cheung , M. W. L., "Multivariate meta-analysis as structural equation models", 20 ( 3 ) , 429-454 ., 2013
    • 44 Slaughter , V. , Denis , M. J. , & Pritchard , M., "Theory of mind and peer acceptance in preschool children", 20 ( 4 ) , 545-564, 2002
    • 45 권지웅, 박종효, "국내외 방어행동 관련 변인 메타분석 비교", 인간 발달연구, 29(1), 2022
    • 46 Bandura , A, "Moral disengagement in the perpetration of inhumanities .", 3 ( 3 ) , 193-209 ., 1999
    • 47 Tversky , A. , & Gati , I ., "Similarity , separability , and the triangle inequality .", 89 ( 2 ) , 123-154 ., 1982
    • 48 Goetz , J. L. , Keltner , D. , & Simon-Thomas , E., "Compassion : An evolutionary analysis and empirical review", 136 ( 3 ) , 351-374 ., 2010
    • 49 Eisenberg , N. & Miller , P. A, "The relation of empathy to prosocial and related behaviors", 101 ( 1 ) , 91-119, 1987
    • 50 Hawkins , D. L. , Pepler , D. J. , & Craig , W. M., "Naturalistic observations of peer interventions in bullying", 10 ( 4 ) , 512-527 ., 2001
    • 51 Olweus , D., "School bullying : Development and some important challenges", 9 , 751-780, 2013
    • 52 남미애, 홍봉선, "학교폭력 주변인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 국아동복지학(50), 109-144, 2015
    • 53 Jolliffe , D. , & Farrington , D. P., "Empathy and offending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9 ( 5 ) , 441-476 ., 2004
    • 54 Hymel , S. , & Swearer , S. M., "Four decades of research on school bullying : An introduction", 70 ( 4 ) , 293-299 ., 2015
    • 55 Craig , W. M. , & Pepler , D. J, "Observations of bullying and victimization in the school yard", 13 ( 2 ) , 41-59 ., 1998
    • 56 Bandura , A, "Selective moral disengagement in the exercise of moral agency", 31 ( 2 ) , 101-119, 2002
    • 57 배성우, 진혜민, "청소년비행 관련 요인들에 관한 메타경로분석", 학 교사회복지, 38, 149-172, 2017
    • 58 Batson , C. D. , & Shaw , L. L., "Evidence for altruism : Toward a pluralism of prosocial motives", 2 ( 2 ) , 107-122 ., 1991
    • 59 Wasserstein , R. L. , & Lazar , N. A ., "The ASA statement on p-values : context , process , and purpose", 70 ( 2 ) , 129-133 ., 2016
    • 60 Wright , S., "The theory of path coefficients a reply to Niles 's criticism .", 8 ( 3 ) , 239-255 ., 1923
    • 61 손강숙, 이규미, "학교폭력의 방어자 역할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2(3), 317-348, 2015
    • 62 McCullough , M. E. , Emmons , R. A. , & Tsang , J ., "The grateful disposition : A conceptual and empirical topology .", 82 ( 1 ) , 112-127 ., 2002
    • 63 Cheung , M. W. L. , & Chan , W., "Meta-analyti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a two-stage approach", 10 ( 1 ) , 40-64 ., 2005
    • 64 김현진, 한미영, 박효정, "어울림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의 적용효 과 분석", 교육학연구, 54(3), 121-150, 2016
    • 65 Cudeck , R., "Analysis of correlation matrices using covariance structure models", 105 ( 2 ) , 317-327, 1989
    • 66 Gergely , G. , Fonagy , P. , Jurist , E. , & Target , M., "Affect regulation , mentalization , and the development of the self", 77 , 217-234, 2002
    • 67 Nickerson , A . B. , Singleton , D. , Schnurr , B. , & Collen , M. H., "Perceptions of school climate as a function of bullying involvement", 30 ( 2 ) , 157-181 ., 2014
    • 68 Jenkins , L. N. , Demaray , M. K. , & Tennant , J ., "Social , emotional , and cognitive factors associated with bullying", 46 ( 1 ) , 42-64 ., 2017
    • 69 신인수, 장덕호, "교육학 연구방법으로서 메타분석의 발전과정 고찰", 교육과정평가연구, 14(3). 309-332, 2011
    • 70 Smith , B. H. , & Low , S., "The role of social-emotional learning in bullying prevention efforts", 52 ( 4 ) , 280-287 ., 2013
    • 71 Hymel , S. , McClure , R. , Miller , M. , Shumka , E. , & Trach , J ., "Addressing school bullying : Insights from theories of group processes", 37 , 16-24 ., 2015
    • 72 Huesmann , L. R. , & Guerra , N. G., "Children 's normative beliefs about aggression and aggressive behavior", 72 ( 2 ) , 408-419 ., 1997
    • 73 Carlson , K. T., "Poverty and youth violence exposure : Experiences in rural communities", 28 ( 2 ) , 87-96 ., 2006
    • 74 Pasch , L. A. , & Bradbury , T. N., "Social support , conflict , and the development of marital dysfunction", 66 ( 2 ) , 219-230 ., 1998
    • 75 Pillemer , D. , & Light , R., "Synthesizing outcomes : How to use research evidence from many studies", 50 ( 2 ) , 176-195 ., 1980
    • 76 Yu , L. , Chiu , C. H. , Lin , Y. S. , Wang , H. H. , & Chen , J. W., "Testing a model of stress and health using meta-analytic path analysis", 15 ( 3 ) , 202-214 ., 2007
    • 77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 국심리학회, 19(1), 161-177, 2000
    • 78 D'Zurilla , T.J. , & Maydeu-Olivares , A ., "Concept : An methodological issues in social problem-solving assessment", 26 ( 3 ) , 409-432 ., 1995
    • 79 O'connell , P. A. U. L. , Pepler , D. , & Craig , W., "Peer involvement in bullying : Insights and challenges for intervention", 22 ( 4 ) , 437-452 ., 1999
    • 80 Williams , K. R. , & Guerra , N. G., "Perceptions of collective efficacy and bullying perpetration in schools", 58 , 126-143 ., 2011
    • 81 Closson , L. M. , & Hymel , S., "Status differences in target-specific prosocial behavior and aggression", 45 ( 9 ) , 1836-1848 ., 2016
    • 82 Low , S. , & Van Ryzin , M., "The moderating effects of school climate on bullying prevention efforts", 29 ( 3 ) , 306-319, 2014
    • 83 김태한, 전영욱, "생태학적 체계이론을 적용한 청소년학 연구동향 분석", 미래청소년학회지, 18(1), 75-93, 2021
    • 84 Juvonen , J. , & Graham , S., "Bullying in schools : The power of bullies and the plight of victims ”", 65 , 159-185 ., 2014
    • 85 Menesini , E. , & Salmivalli , C., "Bullying in schools : the state of knowledge and effective interventions", 22 , 240-253 ., 2017
    • 86 Yun , H. Y. , & Graham , S., "Defending victims of bullying in early adolescence : A multilevel analysis", 47 ( 9 ) , 1926-1937 ., 2018
    • 87 Causey , D.L. , & Dubow , E.F., "Development of a Self-Report Coping Measur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21 ( 1 ) , 47-59 ., 1992
    • 88 오인수, 한하나, "괴롭힘 주변인의 행동과 감사, 공감, 학교소속감의 관계", 교육문제연구, 27(4), 53-75, 2014
    • 89 Cornell , D. , Shukla , K. , & Konold , T., "Peer victimization and authoritative school climate : A multilevel approach", 107 ( 4 ) , 1186-1201 ., 2015
    • 90 Sutton , J. , & Smith , P. K., "Bullying as a group process : An adaptation of the participant role approach", 25 ( 2 ) , 97-111, 1999
    • 91 Gresham , F. , & Elliott , S. N., "Social skills improvement system ( SSIS ) rating scales . SSIS Rating Scales", 29 ( 3 ) , 292-296 ., 2008
    • 92 김경래, 이수진, "청소년의 신뢰와 자기효능감이 방어 행동에 미치 는 영향", 법교육연구, 13(2), 83-110, 2018
    • 93 Salmivalli , C., "Participant role approach to school bullying :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s", 22 ( 4 ) , 453-459 ., 1999
    • 94 강지헌, 유금란, "중학생의 수치심, 죄책감과 또래 괴롭힘 방어행동 의 관계", 청소년상담연구. 27(1), 1-18, 2019
    • 95 Espelage , D. L., "Ecological theory : Preventing youth bullying , aggression , and victimization", 53 ( 4 ) , 257-264 ., 2014
    • 96 오승연, "괴롭힘 상황에서 자기주장성과 주변인의 행동유형의 관 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97 박병선, 배성우, "메타경로분석을 이용한 청소년 비행의 일반 긴장이론 검증", 보건사회연구, 36(3), 270-302, 2016
    • 98 박지연, 백예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척도 개발 및 타당화", 정서 행동장애연구, 36(3), 185-210, 2020
    • 99 Gini , G. , Pozzoli , T. , Borghi , F. , & Franzoni , L., "The role of bystanders in students ' perception of bullying and sense of safety", 46 ( 6 ) , 617-638 ., 2008
    • 100 박애선,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 인", 한국웰니스학회지, 12(1), 93-106, 2017
    • 101 Hodges , E. V. , & Perry , D. G., "Personal and interpersonal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victimization by peers", 76 ( 4 ) , 677-685 ., 1999
    • 102 신인수, "박은영. 특수교육 및 관련 분야의 메타분석 논문에 대한 고찰",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4(4), 157-176, 2011
    • 103 Salmivalli , C. , & Voeten , M., "Connections between attitudes , group norms , and behaviour in bullying situations", 28 ( 3 ) , 246-258 ., 2004
    • 104 Caravita , S. C. , Gini , G. , & Pozzoli , T., "Main and moderated effects of moral cognition and status on bullying and defending", 38 ( 6 ) , 456-468 ., 2012
    • 105 Tudge , J. R. H. , Mokrova , I. L. , Hatfield , B. E. , & Karnik , R. B ., "Uses and misuses of Bronfenbrenner ’ s bioecological theory of human development", 1 ( 4 ) , 198-210 ., 2009
    • 106 안효영, "진영은. 또래괴롭힘 상황에서의 주변인 역할연구동향 및 과제", 열린교육연구, 22(4), 95-117, 2014
    • 107 김이경, 한유경, 민수빈, "학교문화가 학생들의 학교폭력 대응행동 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4(2), 97-118, 2016
    • 108 이문희, 이수림, "한국판 정신화 척도(Korean Version of The Mentalization Scale)의 타당화", 상담학연구, 19(5), 117-135, 2018
    • 109 김연화, "또래괴롭힘 참여유형에 관련된 변인 탐색. 충북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110 김광수, 우서희, "성격강점과 괴롭힘 방어행동의 관계에서 학급규준 의 조절효과", 한국초등교육, 26(4), 555-578, 2015
    • 111 임주현, "집단따돌림에서 이타행동과 방어자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112 Davis , M. H.,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Evidence for a multidimensional approach", 44 ( 1 ) , 113-126, 1983
    • 113 LaFontana , K. M. , & Cillessen , A. H., "Developmental changes in the priority of perceived statu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19 ( 1 ) , 130-147 ., 2010
    • 114 Batson , C. D. , Turk , C. L. , Shaw , L. L. , & Klein , T. R., "Information function of empathic emotion : Learning that we value the other 's welfare", 68 , 300-313 ., 1995
    • 115 Caravita , S. C. , Di Blasio , P. , & Salmivalli , C., "Unique and interactive effects of empathy and social status on involvement in bullying", 18 ( 1 ) , 140-163 ., 2009
    • 116 지혜영, 홍종관, "사회적 기술 훈련이 초등학교 아동의 학급응집력 에 미치는 효과", 초등상담연구, 8(1), 95-107, 2009
    • 117 Elgar , F. J. , Craig , W. , Boyce , W. , Morgan , A. , & Vella-Zarb , R., "Income inequality and school bullying : multilevel study of adolescents in 37 countries", 45 ( 4 ) , 351-359 ., 2009
    • 118 Fox , C. L. , & Boulton , M. J, "The social skills problems of victims of bullying : Self , peer and teacher perceptions", 75 ( 2 ) , 313-328 ., 2005
    • 119 Salmivalli , C. , & Poskiparta , E., "Making bullying prevention a priority in Finnish schools : The KiVa antibullying program", 2012 ( 133 ) , 41-53 ., 2012
    • 120 Ha , C. , Sharp , C . , Ensink , K . , Fonagy , P . , & Cirino , P., "The measurement of reflective function in adolescents with and without borderline traits", 36 ( 6 ) , 1215-1223, 2013
    • 121 김소영, 이상수, 김현지, "사회정서역량과 회복탄력성이 학교 적응과 부적응에 미치 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8), 477-494, 2018
    • 122 민문경, 이나빈, 안현의, "공감 능력이 사회 정의 실천에 미치는 영 향: 사회 인지적 관점에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4), 575-594, 2015
    • 123 오인수, "초등학생 온라인 괴롭힘의 실태 및 오프라인 괴롭힘 과의 비교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2(3), 75-98, 2011
    • 124 Cameron , C. D. , & Payne , B. K., "Escaping affect : how motivated emotion regulation creates insensitivity to mass suffering", 100 ( 1 ) , 1-15 ., 2011
    • 125 Beeson , P. M. , & Robey , R. R., "Evaluating Single-Subject Treatment Research : Lessons Learned from the Aphasia Literature", 16 ( 4 ) , 161-169 ., 2006
    • 126 Evans , C. B. , & Smokowski , P. R., "Prosocial bystander behavior in bullying dynamics : Assessing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44 ( 12 ) , 2289-2307 ., 2015
    • 127 Bandura , A. , Caprara , G. V. , Barbaranelli , C. , Gerbino , M. , & Pastorelli , C., "Role of affective self-regulatory efficacy in diverse spheres of psychological functioning", 74 , 769-782, 2003
    • 128 김경은, 한성열, 정옥분, 정순화, 이천희, 이숙자, 엄세진, "아동의 또래지위에 따른 사회적 능력, 정서적 능력과 우정관계의 질", 인간 발달연구, 15(2), 17-52, 2008
    • 129 문성원, "한국판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 (K-SSRS: 대학생용) 의 타 당도와 유용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3), 655-679, 2002
    • 130 김과현, 허영희, 정규형, 우종훈, 김성은, "한번에 통과하는 논문 : AMOS 구조방정식 활용과 SPSS 고급분석 (pp. 367)", 서울: 한빛 아카데미, 2018
    • 131 Akiba , M., "Student victimization : National and school system effects on school violence in 37 nations", 39 ( 4 ) , 829-853, 2002
    • 132 Kendrick , K. , Jutengren , G. , & Stattin , H., "The protective role of supportive friends against bullying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 35 ( 4 ) , 1069-1080 ., 2012
    • 133 유계숙, 이혜미, 이승출, "집단따돌림 참여자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학교 관련변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3), 63-89, 2013
    • 134 Killer , B. , Bussey , K. , Hawes , D. J. , & Hunt , C.,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disengagement and bullying roles in youth .", 45 ( 4 ) , 450-462 ., 2019
    • 135 Gini , G. , Albiero , P. , Benelli , B. , & Altoe , G., "Determinants of adolescents ’ active defending and passive bystanding behavior in bullying", 31 ( 1 ) , 93-105 ., 2008
    • 136 Pronk , J. , Olthof , T. , Goossens , F. A. , & Krabbendam , L., "Differences in adolescents ’ motivations for indirect , direct , and hybrid peer defending", 28 ( 2 ) , 414-429 ., 2019
    • 137 Parkhurst , J. T. , & Hopmeyer , A ., "Sociometric popularity and peer-perceived popularity : Two distinct dimensions of peer status", 18 ( 2 ) , 125-144 ., 1998
    • 138 김원희, 이동형, 이경아, "남녀 초등학생의 공감 및 지각된 학급풍 토와 괴롭힘 참여역할의 관계", 교육문제연구, 28(3), 21-47, 2015
    • 139 Pellegrini , A. D. , & Bartini , M., "An empirical comparison of methods of sampling aggression and victimization in school settings", 92 , 360-366 ., 2000
    • 140 Oh , I. , & Hazler , R. J, "Contributions of personal and situational factors to bystanders ' reactions to school bullying", 30 ( 3 ) , 291-310 ., 2009
    • 141 Band , E. B. , & Weisz , J. R., "How to feel better when it feels bad : Children 's perspectives on coping with everyday stress", 24 ( 2 ) , 247-253 ., 1988
    • 142 Langdon , S. W. , & Preble , W.,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s of perceived respect and bullying in 5th through 12th graders .", 43 ( 171 ) , 485-503 ., 2008
    • 143 Bosacki , S. , & Astington , J. W., "Theory of Mind in Preadolescence : Relations Between Social Understanding and Social Competence", 8 ( 2 ) , 237-255 ., 1999
    • 144 Grant , A. M. , & Gino , F. A ., "Little thanks goes a long way : Explaining why gratitude expressions motivate prosocial behavior", 98 ( 6 ) , 946-955, 2010
    • 145 Espelage , D. L. , Low , S. , Polanin , J. R. , & Brown , E. C., "The impact of a middle school program to reduce aggression , victimization , and sexual violence", 53 ( 2 ) , 180-186 ., 2013
    • 146 Ttofi , M. M. , & Farrington , D. P., "Effectiveness of school-based programs to reduce bullying : A systematic and meta-analytic review", 7 ( 1 ) , 27-56 ., 2011
    • 147 Barchia , K. , & Bussey , K., "Predictors of student defenders of peer aggression victims : Empathy and social cognitive factors", 35 ( 4 ) , 289-297, 2011
    • 148 Bensalah , L. , Stefaniak , N. , Carre , A. , & Besche-Richard , C., "The Basic Empathy Scale adapted to French middle childhood :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empathy", 48 ( 4 ) , 1410-1420 ., 2016
    • 149 안해정, 홍경화, 최지영, 최은영, 박종효, 문경숙, 김진구, "사회연결망 분석에 기초한 웹 기반 클래스넷 (ClassNet)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교육과학연구, 48(3), 107-137, 2017
    • 150 Nickerson , A . B. , Mele , D. , & Princiotta , D., "Attachment and empathy as predictors of roles as defenders or outsiders in bullying interactions .", 46 ( 6 ) , 687-703 ., 2008
    • 151 Reijntjes , A. , Kamphuis , J. H. , Prinzie , P. , & Telch , M. J ., "Peer victimization and internalizing problems in children : A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34 ( 4 ) , 244-252 ., 2010
    • 152 김혜리, 박찬옥, "초등 6 학년 아동의 성별과 또래지위에 따른 공감 하기 및 체계화하기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3(4), 127-148, 2010
    • 153 Torney-Purta , J, "The school 's role in developing civic engagement : A study of adolescents in twenty-eight countries", 6 ( 4 ) , 203-212, 2002
    • 154 권지웅, 박종효, "메타경로분석을 이용한 미시체계 내 방어행동 관 련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열린교육연구, 30(3), 247-271, 2022
    • 155 김동현, 이규미, "초등학생의 사회적 행동특성과 또래지위 관계에서 교사 선호도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9(1), 1-24, 2012
    • 156 Lambe , L. J. , Cioppa , V. D. , Hong , I. K. , & Craig , W. M., "Standing up to bullying : A social ecological review of peer defending in offline and online contexts", 45 , 51-74 ., 2019
    • 157 손수경, 이현정, "장유나, 홍세희. SEM 기반 메타분석의 이론 및 적용: Cheung 의 접근법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7(1), 127-152, 2018
    • 158 김소정, "년9월3일). 172cm 40kg 고1 아들, 학교 가기 싫다더니 10층 서 몸 던졌다. 조선일보", 2022년 5월 28일 인출, https://www.chosun.com/national/incident/2021/09/03/SFMN7X5SO BHRNNNN5ZIJMEQ4G4, 2021
    • 159 정혜정, "초등학생의 또래괴롭힘 주변인 역할 하위유형 연구. 성신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160 송경희, "중학생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의 개인 수준 메커니즘과 학 급 수준 특성의 효과", 청소년상담연구. 28(1). 389-410, 2020
    • 161 오지원, "학급 공동체의식이 집단 따돌림 관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162 Caprara , G. V. , & Steca , P., "Affective and social self-regulatory efficacy beliefs as determinants of positive thinking and happiness", 10 ( 4 ) , 275-286 ., 2005
    • 163 송지연, 이현진, 오인수, "또래괴롭힘 주변인 역할과 성격강점의 관 계에서 지각된 학급규준의 매개효과", 한국교육학연구, 25(1), 79-101, 2019
    • 164 김성현, 임성택, "스트레스자극-학교폭력의 관계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통제 및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8(2), 451-466, 2007
    • 165 장윤옥, "청소년의 학교폭력피해경험과 대처행동과의 관계에서 가족 건강성의 조절효과", 중등교육연구, 61(1), 231-260, 2013
    • 166 Stevens , V. , de Bourdeaudhuiij , I. , & Van Oost , P., "Bullying in Flemish schools : An evaluation of anti-bullying interven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70 , 195-210, 2000
    • 167 Barhight , L. R. , Hubbard , J . A. , & Hyde , C. T., "Children ’ s physiological and emotional reactions to witnessing bullying predict bystander intervention", 84 ( 1 ) , 375-390 ., 2013
    • 168 최현진, "공감과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의 관계 자기효능감과 자기통 제력의 이중매개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 169 공미정, 이동형, "남녀 중학생의 사회적 위축 하위유형 및 지각된 학급풍토와 괴롭힘 피해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4(2), 209-234, 2017
    • 170 김여선, "또래 괴롭힘에서 학급 환경과 주변인 역할의 관계. 한국 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171 Lambe , L. J. , & Craig , W. M., "Peer defending as a multidimensional behavior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defending behaviors scale", 78 , 38-53 ., 2020
    • 172 한하나, "괴롭힘 주변인의 행동과 감사, 공감, 학교소속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173 Cheung , M. W. L., "A model for integrating fixed- , random- , and mixed-effects meta-analyses in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3 ( 3 ) , 182-202 ., 2008
    • 174 Rigby , K. & Slee , P. T., "Dimensions of interpersonal relation among Australian children and implication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133 ( 1 ) , 33-42 ., 1993
    • 175 Garandeau , C. F. , & Cillessen , A. H., "From indirect aggression to invisible aggression : A conceptual view on bullying and peer group manipulation", 11 ( 6 ) , 612-625 ., 2006
    • 176 Adams , G. R., "Social competence during adolescence : Social sensitivity , locus of control , empathy , and peer popularity", 12 ( 3 ) , 203-211, 1983
    • 177 Fonagy , P., "Thinking about think : some clinical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in the treatment of a borderline patient", 72 , 639-656, 1991
    • 178 김명섭, 여태철, "인지적 정서적 공감 프로파일에 따른 또래 괴롭 힘 태도 및 주변인 참여 역할 차이", 아시아교육연구, 21(1). 21-40, 2020
    • 179 김서정, 임영은, 오인수, "초등학생의 반괴롭힘 태도와 주변인 행 동과의 관계: 지각된 교사개입의 조절효과", 한국초등교육, 30(1), 205-219, 2019
    • 180 Pepler , D. J. , & Craig , W. M., "A peek behind the fence : Naturalistic observations of aggressive children with remote audiovisual recording .", 31 ( 4 ) , 548-553 ., 1995
    • 181 Corrigan , M. W. , Klein , T. J. , & Isaacs , T., "Trust us : Documenting the relationship of students ' trust in teachers to cognition , character , and climate", 8 ( 2 ) , 61-73 ., 2010
    • 182 오승은, 이승연, "남녀 청소년의 마음읽기 능력과 또래괴롭힘의 관 계: 냉담-무정서 특성의 조절효과", 아시아교육연구, 12(3), 147-169, 2011
    • 183 안현의, 이나빈, "생태체계이론에 기반한 재난피해자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관련변인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4), 525-562, 2016
    • 184 이승연, "중학생의 공감, 사회적 자기효능감, 지각된 규준과 또래괴 롭힘 방어행동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7(3), 89-112, 2014
    • 185 Pouwels , J. L. , Salmivalli , C. , Saarento , S. , van den Berg , Y. H. , Lansu , T. A. , & Cillessen , A. H., "Predicting adolescents ’ bullying participation from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social status and behavior", 89 ( 4 ) , 1157-1176 ., 2018
    • 186 Jennings , P. A. , & Greenberg , M. T., "The prosocial classroom : Teacher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in relation to student and classroom outcomes", 79 ( 1 ) , 491-525, 2009
    • 187 박혜원, 진미경,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 동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복지연구, 13(3), 77-95, 2015
    • 188 Gregory , A. , Cornell , D. , Fan , X. , Sheras , P. , Shih , T. , & Huang , F., "Authoritative school discipline : High school practices associated with lower student bullying and victimization", 102 , 483-496 ., 2010
    • 189 Jenkins , L. N. , & Fredrick , S. S., "Social capital and bystander behavior in bullying : internalizing problems as a barrier to prosocial intervention", 46 ( 4 ) , 757-771 ., 2017
    • 190 Espelage , D. , Green , H. , & Polanin , J, "Willingness to intervene in bullying episod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Individual and peer-group influences", 32 ( 6 ) , 776-801, 2012
    • 191 서미정, "또래괴롭힘 완화요인의 탐색: 주변또래의 유형 분석을 중 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192 조유진, "지각된 인기도와 또래 괴롭힘 가해 및 방어 행동의 관계 에서 내외통제성의 매개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16(2), 23-42, 2019
    • 193 Dijkstra , J. K. , Lindenberg , S. , & Veenstra , R., "Beyond the class norm : Bullying behavior of popular adolescents and its relation to peer acceptance and rejection", 36 ( 8 ) , 1289-1299 ., 2008
    • 194 오인수, 임영은, "공격성과 사회적 유능감의 수준에 따른 또래 괴롭 힘 가해경험 및 문제해결방식의 차이", 교육문제연구, 29(2), 23-46, 2016
    • 195 김은정, 이상수, 김춘화, "교사-학습자의 상호작용에 기초한 과업집 중도 분석을 위한 모바일 앱 프로토타입 개발", 교육정보미디어연 구, 21(1), 41-63, 2015
    • 196 유성모, 허선희, 장희원, "메타분석적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중 년 여성의 우울과 관련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자료분석학회, 22(6), 2295-2310, 2020
    • 197 남궁미, 장재홍, "청소년의 불안, 회피애착과 학교폭력 방관 방어 행동 간의 관계에서 이타성의 매개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16(1), 87-104, 2019
    • 198 김윤희, 이정현, 이경순, "공감과 지각된 환경특성이 여중생의 또래 괴롭힘 방어, 방관 및 동조행동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9(1), 343-361, 2018
    • 199 김은아, 이승연, "남녀 중학생의 또래괴롭힘 방어행동과 공감, 자기 효능감, 학급규준에 대한 믿음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4(1), 59-77, 2011
    • 200 송지연, 오인수, "또래 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의 방어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경험적, 심리적, 상황적 요인", 청소년학연구, 23(5), 457-478, 2016
    • 201 이영호, 최정원, "보편적 가치와 집단따돌림 참여 행동과의 관계: 도덕적 정서 및 도덕적 이탈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8), 309-337, 2020
    • 202 Yu , N. S.,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practical reasoning instruction on student outcom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in Korea", 13 ( 4 ) , 649-664, 2012
    • 203 주지선, "청소년의 학교폭력 주변인 행동유형에 대한 생태체계적 요인의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204 권지웅, 박종효, "초 중등학생의 친사회성, 교사학생지지와 방어 행동 간의 관계에서 또래지위의 매개효과", 열린교육연구, 28(2), 115-134, 2020
    • 205 Mucherah , W. , Finch , H. , White , T. , & Thomas , K., "The relationship of school climate , teacher defending and friends on students ' perceptions of bullying in high school", 62 , 128-139, 2018
    • 206 김정민, 김지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도덕적 이탈이 또래 괴롭힘 참여자 역할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4(6), 13-29, 2013
    • 207 심은신, 이동훈, "여중생의 우정관계 질투와 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 계: 의도귀인과 또래동조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4(2), 21-42, 2011
    • 208 아영아, 아영아, "인권을 존중받은 경험과 청소년의 학교폭력 주변인역할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교정복지연구, 40, 75-98, 2016
    • 209 이동형, 정상호, "중학생의 또래동조성과 괴롭힘 주변인 역할행동의 관계에서 지각된 학급규준의 조절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 34(2), 27-45, 2016
    • 210 박미향, "청소년의 또래 괴롭힘 방어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 인 구조분석.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211 권지웅, 박종효, "초등학생의 공감, 친사회성 및 방어행동의 관계 에서 또래지위의 조절된 매개효과와 성차", 인간발달연구, 27(3), 1-21, 2020
    • 212 Salmivalli , C. , Voeten , M. , & Poskiparta , E., "Bystanders Matter : Associations between Reinforcing , Defending , and the Frequency of Bulling Behavior in Classrooms .", 40 ( 5 ) , 668-676 ., 2011
    • 213 오인수, "괴롭힘을 목격한 주변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공감 과 공격성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3(1), 45-63, 2010
    • 214 박은주, "청소년의 개인적 공정세상신념이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 215 Keltner , D. , Kogan , A. , Piff , P. K. , & Saturn , S. R., "The sociocultural appraisals , values , and emotions ( SAVE ) framework of prosociality : Core processes from gene to meme", 65 , 425-460 ., 2014
    • 216 서수균, 이혜금, "중학생의 미시체계 변인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과 학업열의의 이중매개효과", 정서ㆍ행동장애연구, 37(4), 245-264, 2021
    • 217 김정현, 오인수, "청소년의 종교성향과 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 역할 의 관계: 친사회성과 도덕성의 매개효과", 청소년상담연구. 229(2), 337-361, 2014
    • 218 이준원, "Norm of Classroom and Teacher Influence on Defending and Passive Bystanding Behavior in Bullying.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 219 최기원, "남녀 중학생의 도덕적 정서와 또래괴롭힘 방어 및 방관 행동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220 오승화, 오인수,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개인, 또래, 교사, 학급 변인이 괴롭힘 참여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9(4), 1-26, 2018
    • 221 Ma , T.-L. , & Chen , W.-T., "The benefits of being defended : Perceived bystander participant roles and victims ’ emotional and psychosocial adjustment", 18 ( 1 ) , 77-91 ., 2017
    • 222 이정희, "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의 방어행동에 대한 개인변인과 학급변인의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223 김서정, 임영은, 오인수,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괴롭힘 주변인의 방어 및 동조 행동의 관계에서 집단효능감의 조절효과", 아시아교육 연구, 20(4), 943-960, 2019
    • 224 김영은, 오인수, 송지연, "전통적 괴롭힘과 사이버 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의 방어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교육과학연 구, 50(4), 31-55, 2019
    • 225 임여정, "초등학교의 친인권적 교실문화가 집단따돌림 주변인 행동 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226 Pozzoli , T. , & Gini , G., "Active defending and passive bystanding behavior in bullying : The rol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peer pressure", 38 ( 6 ) , 815-827 ., 2010
    • 227 윤소겸, "국내 기업 조직 구성원의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에 관한 메타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 228 Baron-Cohen , S. , & Wheelwright , S., "The empathy quotient : an investigation of adults with Asperger syndrome or high functioning autism , and normal sex differences", 34 ( 2 ) , 163-175 ., 2004
    • 229 김동주, "학교폭력 주변인의 방어 방관 행동과 관련 변인 간의 관 계에 대한 메타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 230 Schwartz , D. , Gorman , A. H. , Nakamoto , J. , & McKay , T., "Popularity , social acceptance , and aggression in adolescent peer groups : links with academic performance and school attendance", 42 ( 6 ) , 1116-1127 ., 2006
    • 231 권나윤, "청소년의 도덕적 정서인식이 또래괴롭힘의 방어 및 방관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232 신현숙, "교과수업과 연계한 학급단위의 사회정서학습: 사희정서적 유능성과 학교관련 성과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0(1), 83-110, 2013
    • 233 박진이, "초등학교 1 학년 학생의 사회적 행동과 지각된 인기의 관 계: 사회적 선호와 교사 선호의 영향효과", 한국유아교육연구, 20(4), 133-148, 2019
    • 234 Pellegrini , A. D. , & Long , J. D., "A longitudinal study of bullying , dominance , and victimization during the transition from primary school through secondary school", 20 ( 2 ) , 259-280, 2002
    • 235 Chang , L. , Liu , H. , Wen , Z. , Fung , K. Y. , Wang , Y. , & Xu , Y ., "Mediating teacher liking moderating authoritative teachering on Chinese adolescents ' perceptions of antisocial prosocial behaviors", 96 ( 2 ) , 369-380, 2004
    • 236 Taylor , A. R., "Predictors of peer rejection in early elementary grades : Roles of problem behavior , academic achievement , and teacher preference", 18 ( 4 ) , 360-365 ., 1989
    • 237 송경희, 이승연, "청소년의 마음읽기 능력과 또래괴롭힘의 관계: 도 덕적 이탈ㆍ도덕적 정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3(3), 105-124, 2010
    • 238 권지웅, 박종효, "초등학생의 또래 공동체 의식과 외현적 공격성 의 관계에서 친사회적 행동과 방어행동의 매개효과", 교육학연구, 58(4), 1-24, 2020
    • 239 Pronk , J. , Goossens , F. A. , Olthof , T. , De Mey , L. , & Willemen , A. M., "Children ’ s Intervention Strategies in Situations of Victimization by Bullying : Social Cognitions of Outsiders versus Defenders.", 51 ( 6 ) , 669-682 ., 2013
    • 240 서미정, 심미경, "또래괴롭힘에 대한 방관 및 방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학급 변인: 학급규범과 교사감독을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21(2), 225-246, 2013
    • 241 Troop-Gordon , W. , & Ladd , G. W., "Teachers ’ victimization-related beliefs and strategies : Associations with students ’ aggressive behavior and peer victimization", 43 ( 1 ) , 45-60, 2015
    • 242 최병호, "괴롭힘 목격상황에서 가해자의 인기와 사회적 성취목표지 향성이 주변인의 개입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7
    • 243 Zhang , X. , Pomerantz , E. M. , Qin , L. , Logis , H. , Ryan , A. M. , & Wang , M., "Characteristics of likability , perceived popularity , and admiration in the early adolescent peer system i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54 ( 8 ) , 1568-1581 ., 2018
    • 244 손연경, 이승연, 송경희, "중학생의 개인적 공정세상신념, 인지적 재 평가,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의 관계: 집단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심 리학회지: 학교, 15(3), 489-509, 2018
    • 245 김승천, 이준원, "중학생이 지각한 학급 내 지위가 또래괴롭힘 방어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방어자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17(1), 22-40, 2016
    • 246 노영천, 안태용,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가족기능과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및 방관행동의 관계에서 배려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3), 1663-1678, 2013
    • 247 이정순, "여중생의 공감능력과 지각된 학교환경이 괴롭힘 주변인의 역할유형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248 오인수, 정지혜, "청소년의 공감과 또래괴롭힘 주변인 행동의 관계 에서 또래관계의 질과 또래동조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중등교육연 구, 66(2), 575-605, 2018
    • 249 오승화, "초등학생의 개인, 또래, 교사, 학급 변인과 또래 괴롭힘 참 여 역할행동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250 임재연, "또래 괴롭힘 참여역할에 따른 긍정적 강점의 차이또래 괴롭힘 예방을 위한 피해방어자의 긍정적 강점", 학교사회복지, 24, 131152, 2013
    • 251 이승연, 최소영, "중학생의 방어행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집단효능 감,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간 관계에서 고정신념의 역할", 청소년학연 구, 26(4), 243-266, 2019
    • 252 백지현, "남녀 청소년의 또래괴롭힘 참여자 역할 유형에 따른 인지 적 정서적 사회적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253 박주희, 오지연, "중학생의 정서적 공감과 죄책감 경향성이 또래괴 롭힘 방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학급분위기의 조절효과",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7(3), 419-430, 2019
    • 254 박주희, 임승철, "초등학교 고학년의 공정성에 대한 믿음이 또래괴 롭힘 방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학급분위기의 조절효과", 아동학회 지, 41(2), 41-55, 2020
    • 255 이승연, 최은지, 최소영, "초등학생의 인지적, 정서적 공감과 또래괴 롭힘 방어행동의 관계: 성별에 따른 교사 개입정도의 조절효과", 청 소년학연구, 25(7), 93-117, 2018
    • 256 Appelbaum , M. , Cooper , H. , Kline , R. B. , Mayo-Wilson , E. , Nezu , A. M. , & Rao , S. M., "Journal article reporting standards for quant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 The APA Publications and Communications Board task force report", 73 ( 1 ) , 3-25 ., 2018
    • 257 신서란, "중학생의 공감적 관심, 개인적 고통, 도덕적 이탈과 또래 괴롭힘 방어행동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258 이승연, 정은지, 정세련, "남자 중학생의 또래괴롭힘 피해경험과 반응적 공격 성의 관계: 남성 성역할 갈등, 수치심,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2(3), 79-98, 2019
    • 259 김규리, 김장회, "청소년의 반사회적 또래 동조성과 또래 괴롭힘 방 관 및 방어 행동 간의 관계에서 도덕적 이탈의 매개 효과", 아시아 교육연구, 22(3), 567-590, 2021
    • 260 김영림, "청소년의 괴롭힘 참여자 행동과 심리사회적 부적응과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261 공윤정, 김명원, "초등학생의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또래괴롭힘 상황 에서 방어 및 방관행동의 관계에서 교사감독의 조절효과", 초등상담 연구, 19(2), 165-180, 2020
    • 262 송경희, 이승연, "남녀 중학생의 부/모 애착과 또래괴롭힘 방어, 방 관행동의 관계: 정서조절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심 리학회지: 학교, 9(2), 393-415, 2012
    • 263 김영미, 현안나, "지역사회의 집합적 효능감과 부모유대가 또래괴롭 힘 피해자방어 역할에 미치는 영향: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청소년복 지연구, 16(1), 129-153, 2014
    • 264 김은영, 차혜명, 박민주, 김흥주, "공유된 의식, 표상의 현실대 현실 의 표상: 정신화의 이론적, 경험적, 임상적 함의와 한국적 적용을 중 심으로",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Vol, 39(4), 633-666, 2020
    • 265 백인혜, 유순화, 심예지, "성별과 학교급에 따른 청소년의 도덕적 정체성과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도움행동의 심리적 경험의 매개효 과", 아시아교육연구, 21(2). 409-431, 2020
    • 266 이은영, 황혜원, "아동의 개인 및 환경요인이 또래괴롭힘 방어자 역할에 미치 는 영향: 아이젠버그의 친사회성이론을 중심으로.", 보건사 회연구, 39(4), 204-248, 2019
    • 267 양경선, 양경선, "Grace H Chung. 부모의 공감이 청소년의 또래괴롭힘피 해자 방어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 년학연구, 22(6), 233-261, 2015
    • 268 Olthof , T. , & Goossens , F. A ., "Bullying and the need to belong : Early adolescents ' bullyingrelated behavior and the acceptance they desire and receive from particular classmates", 17 ( 1 ) , 24-46 ., 2008
    • 269 조은영,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병사의 군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에 의한 공동체의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청소년학연 구, 27(6), 309-335, 2020
    • 270 이인희, "초등학생의 또래괴롭힘 참여자 역할에 따른 스트레스 대 처행동과 사회적 지지의 차이.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12
    • 271 임영은, "관계적 자기와 학급환경이 또래괴롭힘 주변인 행동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다층모형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20
    • 272 Meter , D. J. , Ma , T. L. , & Ehrenreich , S. E., "Telling , comforting , and retaliating : The roles of moral disengagement and perception of harm in defending college-aged victims of peer victimization .", 1 ( 2 ) , 124-135 ., 2019
    • 273 송경희, "초등학생, 중학생의 도덕 추론과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개 인 및 학급 수준 특성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7
    • 274 김경아, "또래 괴롭힘 참여자 역할 유형에 따른 아동의 정서적 능 력 및 아동이 지각한 부모 공감과의 관계.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1
    • 275 김지신, 오미경, 안지영, "아동의 또래괴롭힘 방어태도에 영향을 미 치는 변인: 어머니와의 의사소통, 아동 공감능력 및 자아탄력성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3(1), 99-127, 2016
    • 276 김승윤, 조규영,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 및 부모의 삶 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 및 또래관계의 이중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8(1), 23-47, 2021
    • 277 강지현, 이정아,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남녀 아동의 또래괴롭힘 방 어 및 방관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 으로", 생애학회지, 5(3), 81-96, 2015
    • 278 서유진, "초등학생의 공격성, 사회적 유능감, 불안 및 학급규준이 또래 괴롭힘 참여 역할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279 김희숙, "Child’s Empathy and Social Problem-solving Affecting Bystander’s Defending Behaviors against Bullying Mediated through Peer Acceptance.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280 옥재진, 정윤경, "학령전기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지각된 부모의 반응이 아동기 또래 괴롭힘에서 방어자 역할에 미치는 영향: 공감을 매개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2(1), 1-21, 2019
    • 281 이승연, 최은지,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부/모의 폭력 지지, 교사 개입, 학급규준과 가해행동 간의 관계: 또래괴롭힘에 반대하는 태도 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6(3), 117-141, 2019
    • 282 박주희, 오소정, "또래괴롭힘 피해경험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방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정서적 공감 및 사회적 지지의 다중가산 조절효과 검증", 아동학회지, 41(6), 81-93, 2020
    • 283 하인진, "학급응집력과 지각된 학급규준이 또래괴롭힘 참여행동, 학 교생활 만족도, 공감,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14
    • 284 Ma , T. L. , Meter , D. J. , Chen , W. T. , & Lee , Y ., "Defending behavior of peer victimization in school and cyber context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 A meta-analytic review of individual and peer-relational characteristics", 145 ( 9 ) , 891-928 ., 2019
    • 285 Evans , C. B. , Smokowski , P. R. , Rose , R. A. , Mercado , M. C. , & Marshall , K. J ., "Cumulative bullying experiences , adolescent behavioral and mental health , and academic achievement : An integrative model of perpetration , victimization , and bystander behavior", 28 ( 9 ) , 2415-2428 ., 2019
    • 286 권지웅, 박종효, "초 고등학생의 또래지위가 방어행동에 미치는 영향: 다층수준모형을 이용한 학교급 및 학급 수준의 괴롭힘대처집 단효능감의 조절효과", 교육심리연구, 34(2), 347-368, 2020
    • 287 김민지, "정서적 공감, 자기효능감, 사회적 책임감이 또래 괴롭힘 방어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지각된 인기도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288 김정민, 황인희, "박진선. 아동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따른 군집별 또래괴롭힘 상황에서의 참여자 역할행동의 차이-우울, 사회 불안, 공격성 및 공감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8(5), 59-83,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