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다자간 협정과 2국간 협정에 관한 비교연구 -일・ASEAN EPA와 일・태국 EPA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multilateral and bilateral agreements - Focused on AJCEP and Japan-Thailand EPA -
저자
후쿠다 신야 (공익재단법인 규슈경제조사협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27-246(20쪽)
제공처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on multilateral and bilateral agreements, taking AJCEP and the Japan-Thailand EPA as examples. Japan has concluded bilateral agreements with more than half of ASEAN member states, but the EPA with ASEAN as a whole has been under negotiation for about three years. In December 2008, the EPA finally came into effect between Japan and ASEAN as a whole, enabling Japan to benefit greatly through AJCEP.
Reading through the agreement between the two EPAs, it was confirmed that AJCEP recognizes regional origin as a major advantage. As a result, trade activities between Japan and ASEAN countries will become smoother and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business strategies of many Japanese companies, including Japanese companies operating in ASEAN countries. About 15 years have passed since the AJCEP came into effect, and new agreements are being concluded one after another with countries and regions around the world.
1990년대 이후, 전세계에서 다자간 협정이 활발히 체결되고 있다. 최근에는 2022년 1월에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10개국(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과 한국, 일본, 중국, 호주, 뉴질랜드의 총 15개국이 참여한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RCEP)이 발효되는 등 일본에서도 적극적으로 다자간 협정을 체결하고 있다.
일본은 그동안 세계무역기구(World Trade Agreement: WTO) 정책을 우선으로 생각해 왔다는 점에서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 FTA)을 체결하는 것에 대해 소극적인 입장을 취해 왔다. 그러나 WTO에서의 다자간 무역 협상이 정체되는 한편, 전세계에서 활발하게 FTA가 체결되고 있는 추세에 촉발되는 흐름 속에서 점차 경제동반자협정(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EPA) 체결 건수를 증가시켜 왔다. 2022년 2월 현재, 일본이 서명 및 발효한 협정은 21건이다. 2국간 협정뿐만 아니라 RCEP를 비롯한 일·ASEAN EPA(Agreement on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mong Japan and Member States of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JCEP)과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omprehensive and Progressive Agreement for Trans-Pacific Partnership: CPTPP, 통칭 TPP11), 일·EU EPA과 같은 다자간 협정도 적극적으로 체결하고 있다.
다른 국가와 지역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무역권이 형성되고 있다. 1992년에는 ASEAN 국가 간에서 ASEAN 자유무역협정(ASEAN Free Trade Area: AFTA)이 형성됨으로써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지역경제협력이 가속화되고, 1995년에는 남미에서 남미 공동 시장(MERCOSUR)이 발족됨으로써 남미 역내 무역권이 형성되어 더욱 경제성장을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1993년에 마스트리히트 조약에 의해 형성된 유럽연합(European Union: EU)은 점차 참가국을 확대시켜, 많은 국가 및 지역 간에서 FTA를 체결하고 있다. 또한, 1994년에는 북미에서 북미 자유무역협정(North America Free Trade Agreement: NAFTA)이 발효되어,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한 큰 경제권이 형성되었다. 2020년 7월에는 주로 환경 및 노동에 관한 법제를 강화하는 형태로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nited States-Mexico-Canada Agreement: USMCA)으로 대체되어 더욱 공고한 협정으로 거듭났다. 전세계에서는 그 이외에도 많은 FTA가 발효되고 있으며, 2023년 1월 현재, WTO에 통보된 FTA는 386건에 달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최근에는 전세계 각국・각 지역에서 활발히 FTA가 체결되고 있다. 일본이 AJCEP와 ASEAN 각국과의 2국간 협정을 체결한 것처럼, 전세계에는 한 국가와 2개 이상의 협정을 체결하고 있는 국가들이 많다. 이러한 경우, 해당 협정 간에서 품목에 따라 관세 철폐 시기와 관세 삭감률이 유동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 국가와 2개 이상의 협정을 체결하고 있는 국가가 상황에 따라 적절한 협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각 협정 내용들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AJCEP와 일·태국 EPA 협정문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연구를 수행하는데에 있어서는 관세율, 특혜세율, 원산지 규정에 대해서도 언급하도록 한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