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SCOPUS
당뇨 환자에서 발생한 비전형적인 허혈성 뇌신경마비 = Atypical Ischemic Cranial Nerve Palsy in a Diabetic Patient
Purpose: We report an atypical case of ischemic oculomotor palsy occurring sequentially in both eyes and then improving, followed by a new abducens palsy in a diabetic patient with poor blood sugar control.
Case summary: A 51-year-old woman presented with diplopia, dizziness, and pain in the right eye and was diagnosed with oculomotor palsy in the right eye.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her brain was normal but glycated hemoglobin concentration was 13.4%. After 2 months, the third nerve palsy in the right eye had recovered completely but a new third nerve palsy occurred in the left eye. 1 month later, the symptoms had improved, and the patient did not return to our clinic until 18 months later, when she returned with new diplopia. This time, she was diagnosed with a sixth nerve palsy in the left eye and was observed while controlling her blood sugar. She recovered after 4 months.
Conclusions: Generally, cranial nerve palsies occur unilaterally in situations that can cause ischemia, such as diabetes, high blood pressure, and hyperlipidemia. Rarely, they occur bilaterally, or two or more cranial nerve palsies occur simultaneously.
However, it is very rare that cranial nerve palsy occurs sequentially in both eyes under the same systemic blood sugar control.
Diabetic patients with poor blood sugar control require long-term monitoring,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symptoms developing in both eyes with a time lag or other forms of ischemic cranial nerve palsy.
목적: 혈당 조절이 불량한 당뇨 환자에서 양안에 순차적 허혈성 동안신경마비가 발생하고 호전된 후 새롭게 단안 외전신경마비가발생한 비전형적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51세 여환이 우안 통증, 어지럼증, 복시를 주소로 본원 안과에 내원해 우안 동안신경마비로 진단하였다. 당화혈색소가13.4%로 높아 내분비내과 협진 하에 경과 관찰하여 2개월 뒤 우안 동안신경마비는 회복되었으나 새롭게 좌안 동안신경마비가 발생하였고 한달 후 증상이 나아져 환자는 내원하지 않았다. 18개월 후 새로운 복시 증상을 주소로 재내원하여, 좌안 외전신경마비로 진단및 혈당 관찰하여 4개월 후 증상 소실되었다.
결론: 당뇨는 허혈성 뇌신경마비의 중요 원인이며 대부분 편측성이지만 간혹 양측성으로 나타나거나 편측으로 여러 뇌신경마비가일어나기도 한다. 하지만 비슷한 전신 상태에서 양안에 순차적으로 발생후 회복 시기가 다르며 뇌신경마비가 완전 회복되고 1년이넘는 기간 후 새로운 뇌신경마비가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이렇듯 혈당 조절이 불량한 당뇨 환자에서는 시간차를 두고 양안으로발현되거나, 뇌신경마비가 회복된 후 다른 양상의 뇌신경마비의 발생 가능성을 염두하고 장기적 경과 관찰이 필요하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