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중국소설 과목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 환경에 대한 연구 = Research about the Capstone Design Class Environment in the Chinese Novel Class - From the Result of Different Class Member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주제어
KDC
823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67-282(16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On this thesis, it is about Capstone Design course that analyze how Chinese novel’s classroom circumstance influence on result of the class. Primarily, Capstone design was meant to be used in engineering course study, yet when it imposed on literature, all of the related courses on literature make an attempt on connecting two different kinds of area. Among the area of Capstone Design course, the meeting with Chinese novel makes the students to present a problem and deducting solution in order to produce an output based on Chinese novel.
The classroom circumstance based on Capstone Design is affected by Shared mental model, Mutual performance monitoring and Individual creativity. Also, Chinese Novel Class composed of only Korean students and mixed team with Chinese shows different classroom circumstance. Between two teams, the only Korean students team shows comparatively high result in Shared mental model, Mutual performance monitoring and Individual creativity, which directly connected to bigger satisfaction and output. On the other hand, mixed team with Chinese shows comparatively low result in Shared mental model, Mutual performance monitoring and Individual creativity. Although, mixed team shows low result, when the professor is subject to an involvement, the moment of the students proves their real worth in creativity, satisfaction and the result are much higher than single organization of Korean students. This means that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culture and even beyond the way of utilization ability in Chinese are highly influenced in the process of creating Capstone Design. Therefore, on the basis of the Capstone Design education course, manage the Chinese novel is needed to organize students from many different areas.
In conclusion, Korean and foreign students team or students from different major make the class circumstance more diverse and creating significant output. Yet, constructing wholesome class circumstance, involvement by the instructor in Charge of Capstone Design is inevitable.
본 논문에서는 캡스톤 디자인 과정으로 운영되는 중국소설 과목의 수업환경이 수업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한다. 본래 캡스톤 디자인은 공학 교육과정에서 사용되는 개념이었으나 이 개념이 인문학에 도입된 후, 인문학 관련 각 수업들에서는 서로 이질적인 두 층위를 접합시키는 시도를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그 중 캡스톤 디자인 교육과정과 중국소설 과목의 만남은 중국소설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문제를 제기하고 스스로 해답을 도출해 내며, 나아가 중국소설 기반의 산출물을 생산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캡스톤 디자인 교육과정에 근간한 중국소설 과목의 수업 환경은 공유정신 모형과 상호수행 모니터링, 그리고 개인의 창의성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 또한 중국소설 과목의 수업 환경은 우리나라 학생들만으로 구성된 단일 팀의 경우와 우리나라 및 중국인 학생의 혼합 팀의 경우에 따라 서로 상이한 조건으로 조성된다. 이 가운데 우리나라 학생들로만 구성된 중국소설 과목에서는 공유정신모형, 상호수행 모니터링, 개인의 창의성 면에서 모두 평균 이상의 수업환경이 구성되고 이에 따른 캡스톤 디자인 수업 결과물도 평균을 웃도는 성과를 산출해 낼 수 있다. 이에 비해 중국인 학생과의 혼합 팀으로 구성된 중국소설 과목에서는 공유정신모형, 상호수행 모니터링의 단계에서 교수자의 개입이 없는 경우 평균 이하의 결과치를 도출해 낸다. 그러나 교수자의 개입을 전제로 할 경우, 개인의 창의성을 발휘하는 단계에서 중국인 학생과의 혼합 팀 수업환경은 우리나라 학생들로만 이루어진 단일 팀 구성의 수업환경에 비해 훨씬 큰 만족도와 결과물을 산출해 낼 수 있다. 이는 중국학생 자체가 지닌 중국소설과 중국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 나아가 모국어로서의 중국어 활용능력이 캡스톤 디자인 결과물 창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캡스톤 디자인 교육 과정에 의거하여 효과적으로 중국소설 과목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수업의 구성원을 이질적인 집단으로 구성했을 때, 예를 들어 내외국인 학생의 혼합 팀, 또는 서로 다른 전공의 혼합 팀 등으로 수업환경을 조성했을 때 가장 다양하고 의미있는 산출물이 나온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다만 이 과정에서 수업 환경 조성을 위한 교수자의 개입은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해야만 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 | 0.4 | 0.3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2 | 0.29 | 0.686 | 0.1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