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SCOPUS
기업분할 방법의 선택 요인과 분할 공시효과에 관한 연구 : 인적분할 vs. 물적분할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25
등재정보
KCI등재,SCOPUS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36(36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국내 기업이 어떤 요인에 의해 인적분할과 물적분할을 선택하는지와 분할에 따른 공시효과를 분석한다. 1999년부터 2022년까지 기업분할 공시자료를 사용하여 로짓분석을 통해 분할방법의 선택요인을 분석한 결과, 분할 전 기업이 소속 산업에 비해 고평가될수록 또는 분할신설회사가 속한 산업이 고평가될수록 물적분할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성장성이 높고 수익성이 낮아 자금조달의 필요성 이 큰 기업일수록 물적분할을 선택하는 결과를 제시한다. 이는 저평가된 주식은 인적분 할을 통해 기존주주에게 지급하는 반면, 고평가된 주식은 물적분할을 통해 향후 매각이 나 상장을 통해 자금조달에 활용하려는 유인이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를 지지하는 결과로써, 인적분할의 공시 전후 누적비정상수익률(CAR)이 물적분할보다 유의하게 크며, 분할 전 저평가된 상황에서 인적분할을 수행한 부분표본의 CAR가 가장 높다. 또한 저평가 시 인적분할한 경우 분할존속회사 대비 분할신설기업의 규모비율이 낮을수 록 CAR가 높고, 고평가 시 물적분할한 경우 이 규모비율이 낮을수록 CAR가 낮게 나타난다. 물적분할에 대한 부정적 관점으로 자주 거론되어 온 분할신설회사에 대한 주주권 상실이라는 기존의 주장에 더해, 본 연구의 결과는 정보비대칭에 기인한 시장의 오평가(misvaluation)가 기업분할을 유도하고 분할방법의 선택이 신호역할을 한다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더보기We examine a firm’s decision to choose between an equity spin-off and a captive spin-off and the decision’s announcement effect. A captive spin-off, which is a unique form of corporate divestiture in Korea and a few other countries, differs from an equity spin-off in that the spun-off entity remains a wholly owned subsidiary of the parent company and shareholders cannot directly hold ownership stakes in the subsidiary even after the spin-off.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equity spin-off, which is prevalent in many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S., incumbent shareholders receive proportional ownership in the spun-off entity, which typically becomes a publicly listed company after the spin-off. It is well-documented that corporate spin-offs can be beneficial to shareholders because they are likely to reduce negative synergies via refocusing, mitigate information asymmetry, and address relevant agency issues. However, many practitioners in Korea have criticized captive spin-offs, arguing that they can be detrimental to minority shareholders because the controlling owner can decide the spun-off entity’s eventual disposal without shareholder intervention. Despite the notabl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spin-off methods, little has been examined regarding the determinants of firms’ spin-off method choices. We examine a large sample of Korean spin-offs, including both equity and captive spin-offs, from 1998 to 2022. Note that, in our sample, captive spin-offs account for 75.6% (704 spin-offs) of all spin-off activities in Korea, whereas equity spin-offs account for only 24.4% (227 spin-offs). This prevalence of captive spin-off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our study examining what motivates a firm to choose such a controversial spin-off method. Examining simple mean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ypes of spin-offs, we find that captive spin-offs are preferred to equity spin-offs by firms that are smaller, less profitable, younger, investing more, and paying out less. These differences suggest that a firm’s choice of spin-off method can be driven by factors other than agency issues. In our multivariate analysis, we find evidence that a firm’s decision to choose between the two spin-off methods can be affected by market valuations. Specifically, an average parent firm is more likely to choose captive spin-off when it is overvalued relative to its industry peers, whereas it is more likely to choose equity spin-off when it is undervalued relative to its peers. Similarly, firms in overvalued industries are more likely to choose captive spin-offs, while those in undervalued industries are more likely to choose equity spin-offs. Moreover, firms with high growth rates and low cash flows, i.e., those likely in need of capital infusion, are more likely to choose captive spin-offs. Examining market reactions to spin-off announcements, we find that equity spin-off announcements, on average, attract more favorable market reactions in terms of announcement period cumulative abnormal returns than those of captive spin-offs. Further analysis reveals that the average announcement return is highest among undervalued parent firms that chose equity spin-offs, and the return is lowest among overvalued firms that chose captive spin-offs. Also, in the case of the former, announcement returns are on average higher when the spun-off entity is smaller relative to the parent, whereas in the case of the latter, announcement returns a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pun-off’s relative size. We also examine the effects of a firm’s ownership structure on its choice of spin-off method, focusing on controlling family ownership, affiliated firm ownership, and blockholder ownership. Although we find that blockholder ownership concentration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likelihood of captive spin-offs, we do not obtain consistent results regarding the other ownership variables. Note, however, that these results should be interpreted with caution because these ownership variables may not fully capture the complex ownership structure of Korean firms. Overall, our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notion that firms may strategically choose the method of their spin-offs to exploit market misvaluation, and such a choice can signal the market regarding their valuations. That is, equity spin-offs can be chosen to allocate undervalued shares to incumbent shareholders, which will attract positive market reactions, whereas captive spin-offs can be used as a means of raising capital using overvalued equities, which will result in less favorable market reactions. Adding to the prevailing view that captive spin-offs are used as a means of minority shareholder expropriation, this study offers another perspective that a firm’s choice between equity and captive spin-offs can be driven by a rational reaction to market misvaluation that is not necessarily disadvantageous to minority shareholders. That is, market reactions to corporate spin-offs in Korea can partly be driven by the signaling effect of firms’ spin-off method choices. Therefore, an assessment of whether a spin-off is detrimental to minority shareholders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parent firm’s agency issues but also the market valuations leading up to the firm’s spin-off decision.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