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목회자 자녀들의 기독교정체성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대학생의 자아정체성과 영적정체성을 중심으로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christian identity of pastor's kids : focusing on the ego-identity and spiritual identity of college students

    • 저자

      박영수

    • 발행사항

      서울 : 서울기독대학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신학과 기독교상담학전공 2020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235.35 판사항(6)

    • DDC

      253.5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 277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오화철
      권말부록: 연구참여 동의서 ; 인터뷰 질문지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본 연구의 목적은 목회자 자녀들의 기독교 정체성의 변화와 구성과정의 연구이다. 연구자는 목회자 자녀들을 이해하기 위해서 먼저, 목회자 자녀들의 특성에 대한 심리사회적 특성과 성경에 나타난 특성들을 살펴보았다. 이론적 배경의 이론적 틀로서 Erikson과 Marcia의 정체성의 심리학적인 이론과 기독교 정체성의 이해를 돕기 위해 Fowler의 신앙발달 이론을 채택했고, Cahalan과 Miller-McLemore 소명 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본 논문의 연구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접근을 했다. 연구 대상자로는 기독교 대학에 재학 중인 10명의 목회자 자녀들이 참여했다.
    현상학적 텍스트는 연구 참여자들과의 일대일 심층면담을 통해 구성했다. 자료는 Giorgi가 제안한 분석 절차를 따랐다. 첫 단계에서는 연구 참여자의 구술 중 의미가 있거나, 의미의 전환이 일어나는 부분, 연구 참여자들이 중요시하는 부분을 맥락을 고려하여 분절했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의미 있는 진술을 분절하고 여기에 이름을 붙여 335개의 주제를 명명했다. 세 번째 단계는 연구 참여자들의 개별적 경험의 구조를 기술했다. 중심의미 기술에서는 연구 참여자별로 나타난 335개의 주제를 구성했다. 네 번째 일반구조 기술에서는 335개의 개별적 주제들을 76개의 주제로 재결집 했고, 이를 다시 15개의 본질적 주제로 구성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드러난 15개의 본질적 주제는 “1. 영적저항 2. 지식으로 만난 하나님 3. 아버지의 십자가 지기 4. 평범한 보통 사람들의 염원 5. 세상 바라봄 6. 성스러운 가족 구현 7. 성장의 발판 교회공동체 8. 하나님 법안에서의 절제와 편안함 9. 하나님 방패로 담대해지기 10. 실낙원의 복원 11. 하나님의 사람을 롤 모델 12. 아버지와의 화해 13. 거듭난 자의 새로운 삶 14. 하나님과의 인격적인 만남 15. 하나님의 형상 드러내기”였다.
    이 15개의 본질적 주제는 주제1군 원인(1.2.3.4), 주제2군 현상(5), 주제3군 조건(6.7), 주제4군 맥락(8.9), 주제5군 공분산(12), 주제6군 정황(10.11), 주제7군 결과(13.14.15)로서 7개의 군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7개의 주제 군에서 나타난 15개의 본질적 주제들 간의 관계와 그 구조를 드러내기 위해 사회과학 6C를 이용하여 도식으로 나타냈고, 이에 대한 현상학적 기술을 했다. 연구 참여자들의 기독교 정체성의 드러남과 은폐의 구조는 원인과 조건, 현상, 맥락, 정황, 공분산, 결과로 나눌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구 참여자들의 정체성의 여행은 누가복음 15장 11절에서 32절에 나타난 탕자의 비유(Parable of the prodigal son)와도 상통한다. 연구 참여자들의 기독교 정체성 혼란과 세상을 향한 욕망은 아버지의 집을 떠나 세상의 욕망과 쾌락을 탐닉했던 탕자의 존재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은 자기의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탕자의 형과 같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마음속으로는 답답한 교회를 벗어나고자하는 ‘상상적 탕자의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육신의 아버지와 화해를 하고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존재로 돌아왔다. 아버지는 기꺼이 아들과 입 맞추고 받아들였다. 하지만 아버지는 아들을 찾으러 떠나지 않았다. 아버지는 법과 질서를 지켜야만 했기에 떠날 수 없었다. 우리는 여기서 목회자 자녀의 고민과 함께 목회자 아버지의 고독함과 무거운 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목회자이기에 자기의 자녀에게는 마음속으로 사랑을 할뿐 겉으로는 엄격해야만 했다. 후일 연구 참여자들은 아버지의 이와 같은 고독한 번민을 이해했고 그 아버지와 화해를 했다. 그리고 목사 아버지와의 화해는 하나님과의 화해로 이어졌다. 결국 연구 참여자들의 기독교 정체성은 세상을 탈출했다가 다시 귀환하는 구조이며 귀환의 결과는 소명(calling)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자는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와 결론에 근거하여 기독(목회)상담 차원에서의 논의를 전개했다. 논의는 먼저, 본질적 주제로 드러난 15개의 주제들을 중심으로 그 의의와 이론적 함의를 기술했고, 기독(목회)상담의 방향을 제시했다. Cahalan과 Miller-McLemore의 소명이론을 중심으로 기독(목회)상담 차원에서 목회자 자녀들의 기독교 정체성과 소명과의 관계를 논의했다. 결론에서는 연구의 요약과 결론을, 연구의 의의와 기대 효과를 기술하였다. 기독(목회)상담 차원에서 4가지로 제언을 했고, 후속연구의 제언은 6가지 정도로 제시를 했다.
    연구자는 본 논문에서 목회자 자녀들의 자아정체감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했다. 그러나 선행연구를 검토해 본 결과 자아정체감에 대한 연구가 많이 나와 있는 반면, 기독교정체성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가 없음을 발견하고, 이를 본 논문의 주제로 채택을 했다. 연구자가 연구함에 있어서 신학과 심리학의 담론을 통한 통합적 관점에서 연구물을 도출하고자 했으나, 학제간의 기독교정체성에 대한 연구와 기독(목회)상담학적 관점에서의 연구가 거의 없었기에 보다 학제간의 논의가 더 이루어진 후에 통합적인 연구 결과들이 나오기를 제안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독(목회)상담의 방향을 제시했고, 사회적정체성과 영적정체성의 통합을 통한 기독교 정체성의 발현과 발달 그리고 변화과정에서 나타난 결과물의 구조만을 제시했다. 연구자는 다차원적이고 역동적인 연구 결과물을 기대하고 강도표집과 눈덩이 표집으로 연구 참여자들을 모집하였으나, 1명을 제외한 9명이 농어촌이나 미자립 교회의 목회자 자녀들이었다. 그 연구결과, ‘기독교 정체성의 변화과정의 결과모형이 단조로운 탕자모형의 구조’로 이루어졌기에 보다 다양한 내용을 도출해 내지 못한 아쉬움을 남기며, 본 논문의 한계점을 밝힌다. 이후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기독(목회)상담학 분야는 물론 학제간의 다양한 연구의 결과물들이 제시되기를 기대해 본다.

    더보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hristian identity and development of pastor’s kids (children/PK). To help understand PKs, the researcher first explores psychosocial and biblical aspects of PKs’ characteristic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research employs the practical framework set by Erikson and Marcia’s work on identity theory, Fowler’s development of faith theory, and Cahalan and Miller-McLemore’s calling theory. As for the methodology used for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utiliz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based on Giorgi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in Psychology. Participants of the study included 10 PKs attending Christian universities.
    The phenomenological text used for the study was organized through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ith study participants—following the analysis procedure proposed by Giorgi.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 splited the text up sections that they considered to be orally meaningful, saw a shift in meaning, or considered important. Second, the researcher divided the study participants’ meaningful statements into 355 themes. Third, the researcher described the structure of the participants’ individual experiences. In the describing of the central meaning, 335 themes were composed by each participant. Fourth, the 355 individual themes were grouped into 76 themes, then finalized into 15 central themes. The 15 themes that refle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Spiritual resistance 2. God who have met through knowledge 3. Carrying the cross of my father 4. Aspirations of ordinary people 5. Greed for the world 6. The realization of a holy family 7. The Church community as a stage for growth 8. Restraint and peace under God’s authority 9. Becoming brave with God as a shield 10. Restoration of a lost paradise 11. A Godly person as a role model 12. Reconciliation with one's father 13. A new life of the reborn 14. Spiritual encounter with God 15. Revealing God’s nature. The 15 central themes can be organized into 7 categories: cause (1, 2, 3, 4), phenomenon (5), condition (6, 7), context (8, 9), covariance (12), circumstance (10, 11), and result (13, 14, 15).
    The 6C of social science was used as a schematic diagram to categorize the 15 central themes into 7 categories and the study provides a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The manifestation and concealment of the participants’ Christian identity can be divided into cause and condition, phenomenon, context, circumstance, covariance, and results.
    The development of the participants’ identities is similar to the parable of the prodigal son as ween in Luke chapter 15, verses 11 through 32.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fusion of their Christian identities and worldly desires is similar to the actions of the prodigal son. Most of the participants kept their place, similar to the prodigal son’s older brother. Internally, however, they wanted to escape from the frustrating aspects of the church and therefore internalized characteristics of the prodigal son. The research participants reconciled with the father and returned as a child of God. The father gladly welcomed the son with a kiss. Nonetheless, the fathers of the participants couldn't leave to search for the son because they had to obey the law and the rule. Here is where we must understand the struggle of PKs and the heavy, solitary burden of the pastor/father. Due to his role as a pastor, the father can only love his child through his heart and externally had to be strict. Later, the study participants understood their father’s lonely burden and experienced reconciliation. Moreover, reconciliation with their pastor/father led to reconciliation with God.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Christian identity is one that escapes the world and returns to the world; the result of their return is their call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developed the discussion section based on Christian counseling. The discussion first describes the significance and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15 central themes previously listed, in addition to presenting the direction of Christian counseling. It further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ristian identity of PKs and their calling utilizing the framework of Cahalan and Miller-McLemore’s calling theory. The conclusion includes a summary of results as well as the significance and the expected effects of the study. There are 4 suggestions for Christian counseling and 6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In this thesis, the researcher wanted to study the self-identity of PKs but upon reviewing the literature, found many existing studies on self-identity.
    However, finding that there was a lack of phenomenological studies on Christian identity and thus, it was adopted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hoped to derive the research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in the discourse of theology and psychology but found few studies of Christian identity among academic institutions and Christian consultanc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of Christian (pastoral) counseling and suggested only the structure of the result of the process of expression, Develop and change of Christian identity through the integration of social identity and spiritual identity. With anticipation of multidimensional and dynamic findings the researcher did her best to recruit study participants, but 9 of the 10 participants were PKs from rural farming or fishing villages. Limitations of this paper include a failure to produce more diverse content. In the future, the researcher hopes that diverse research in Christian counseling and also interdisciplinary research would be produced on the basis of this study.

    더보기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 질문 4
    • 3. 용어의 정의 5
    • 4. 선행연구 11
    • Ⅱ. 이론적 배경 19
    • 1. 목회자 자녀에 대한 이해 19
    • 1) 심리사회적 특성 19
    • 2) 성경적인 특성 23
    • 2. 정체성의 심리학적 이해 28
    • 1) 에릭슨(Erikson)의 정체성 이론 28
    • 2) 마르시아(James Marcia)의 정체성 이론 36
    • 3. 정체성의 기독교적 이해 40
    • 1) James. W. Fowler의 신앙발달 이론 40
    • 2) Cahalan. K. A.과 Miller-McLemore의 소명 이론
    • : 기독교 정체성 발달을 중심으로 44
    • Ⅲ. 연구방법 48
    • 1. Giorgi현상학에대한이해: Husserl과 Heidegger를 중심으로 48
    • 2.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적 연구의 과정과 절차 51
    • 3. 연구설계 52
    • 1) 연구 참여자 52
    • 2) 연구의 자료수집 54
    • 3) 연구의 자료분석 54
    • 4) 연구의 엄격성과 윤리문제 55
    • Ⅳ. 연구결과 57
    • 1. 상황적 구조진술 57
    • 1) 연구 참여자들의 개별적 특성과 주제화과정, 중심의미기술 57
    • 2. 일반적 구조진술 169
    • 1) 목회자 자녀들의 정체성 경험의 주제 분석목적 169
    • 2) 목회자 자녀들의 정체성 경험의 일반적 구조기술 170
    • 3. 현상학적 주제들의 관계와 구조 187
    • 1) 목회자 자녀들의 정체성 변화경험의 현상학적 도식 187
    • 2) 목회자 자녀들의 정체성 변화경험의 현상학적 기술 188
    • Ⅴ. 결과논의 및 모형제시 211
    • 1. 논의; 연구 결과의 재맥락화 211
    • 2. 연구 결과모형 제시 237
    • Ⅵ. 기독(목회)상담적 논의 240
    • Ⅵ. 결론 및 제언 246
    • 1. 연구의 요약과 결론 246
    • 1) 연구의 요약 246
    • 2) 연구의 결론 248
    • 2. 연구의 의의 250
    • 1) 연구의 의의 250
    • 2) 연구의 기대효과 250
    • 3. 연구의 한계와 제언 251
    • 1) 기독(목회)상담 차원에서의 제언 251
    • 2)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252
    • 참고 문헌 254
    • ABSTRACT 271
    • 부록 275
    • 〈부록1〉연구참여 동의서 275
    • 〈부록2〉인터뷰 질문지 276
    더보기
    • 1 Carlson, D. X., "『자존감』", 이관직역. 서울: 두란노, 1995
    • 2 김춘경, "상담학 사전", 서울: 학지사, 2016
    • 3 김득성, "『가족치료』",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3
    • 4 Cobb, J., Griffin, D., "『과정신학』", 류기종역. 서울: 열림, 1993
    • 5 박준서, "『구약개론』", 서울: 기독교방송출판부, 1984
    • 6 김용태, "가족치료이론", 서울: 학지사, 2009
    • 7 박아청, "정체감과 교육", 경기: 교육과학사, 2015
    • 8 제자원, "『그랜드주석』", 서울: 성서아카데미. 15: 788-789, 2000
    • 9 Calvin, J., "『기독교강요』", 김종흡외 역. 서울: 생명의말씀사, 1992
    • 10 정옥분,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2011
    • 11 성은현,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2019
    • 12 김운삼, "『영유아발달』", 경기: 양서원, 2017
    • 13 조현숙, "『영유아발달』", 경기: 파워북, 2017
    • 14 김혜수, 허혜경, "청년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6
    • 15 오화철, "“꿈치료와신앙”",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8(4): 107-128, 2013
    • 16 김선권, "“칼뱅의 소명론”", 『조직신학논총』. 5(2): 85-132, 2018
    • 17 박아청, "에릭슨의 인간이해", 경기: 교육과학사, 2010
    • 18 임창복, "『기독교 영성교육』", 서울: 한국기독교교육연구원, 2006
    • 19 김창민, "『대학생과 리더십』", 서울 공감북스, 2016
    • 20 Jordan, M. R., "『신들과 씨름하다』", 권수역외 서울: 학지사, 2011
    • 21 김선애, "『청년발달과 이해』", 서울: 창지사, 2014
    • 22 이남인, "『현상학과 해석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 23 교육부, "“대학생 정책 연구”", 세종시: 교육부, 2019
    • 24 홍인종,, "『목회자와 그 가정』",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16
    • 25 정정숙, "『인간 발달과 상담』", 경기: 양서원, 2006
    • 26 김홍전, "『혼인, 가정과 교회』", 서울: 성약, 2014
    • 27 김해숙, "가족치료; 이론과 기법", 서울: 학지사, 2016
    • 28 McMinn, M. R., Phillips, T. R., "『영혼돌봄의 상담학』", 전요섭 외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06
    • 29 Habermas, J., "『의사소통행위이론1』", 장춘익역. 서울: 나남, 2006
    • 30 Collins, G. R., "『크리스천 카운슬링』", 피현희․이혜련 공역. 서울: 두란노, 2000
    • 31 이신건, "『인간의 본질과 운명』", 서울: 신앙과지성사, 2010
    • 32 신상형, "“말씀의 의미론적 해석”", 『신학논총』. 95(1): 141-159, 2019
    • 33 권희영, "“정체성의 한계를 넘어”", 서울: 경인문화사. p.257, 2012
    • 34 강준민, "『자아발견과 영적 성숙』", 서울: 두란노, 2001
    • 35 이근무, "『현상학적 연구 방법론』", 서울: HA연구소, 2019
    • 36 이남인, "후설의 현상학과 현대철학", 서울: 풀빛미디어, 2006
    • 37 김현숙, "『탈인습성과 기독교교육』",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4
    • 38 구인회, "『경제위기와 청소년 발달』", 서울: 집문당, 2015
    • 39 김영선, "『존 웨슬리와 감리교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2
    • 40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Ⅱ:Method』",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14
    • 41 이혁구, "“단도박자의 감각회복체험”", 『사회복지연구』. 47(4): 5-32, 2016
    • 42 Collins, G. R., "『심리학과 신학의 통합전망』", 이종일역. 서울: 솔 로몬, 2003
    • 43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편, ".『기독(목회)상담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null
    • 44 가요한, "“종교적 경험의 발달적 이해”", 『한국기독교 상담학회』. 28(2): 9-43, 2017
    • 45 최주혜, "“한국 목회자 자녀의 수치심”", 『신학과 실천』. 3: 389-415, 2013
    • 46 Anthony, H. A., "『성경이 가르치는 자아정체성』", 정정숙역. 서울: 도서출판 베다니, 2002
    • 47 Dick, K. M., "『인간의 자아와 하나님의 형상』", 서울: 아가페, 1994
    • 48 이기상, "『철학과 상담3: 철학상담방법론』", 서울: 한국철학상담치료 학회, 2015
    • 49 윤종훈, "청교도의 직업 소명론에 관한 고찰", 『한국개혁신학』. 65: 147-181, 2017
    • 50 송하나, "“질풍노도와 청소년기 정신건강”", 『아동학회지』. 한국아동 학회. 38(2): 1-3, 2017
    • 51 박진우, "“목회자의 소명 경험에 관한연구”", 『신학과 실천』. 59: 217-245, 2018
    • 52 김상겸, "“청소년을 위한 기독교교육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2007
    • 53 박승억, "“학문 분류의 문제와 후설현상학”", 『철학과 현상학 연구』. 54: 27-50, 2012
    • 54 임경수, "『심리학과 신학에서 본 인간이해』", 서울: 학지사, 2009
    • 55 박대영, "“목회자 자녀의 갈등에 대한 연구”", 계명대학교 신학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01
    • 56 허찬, "“개혁교회를 위한 설교의 공동체성”", 『교회와 문화』. 38: 151-166, 2017
    • 57 박행렬, "“테오포스틱 기도사역에 관한 연구”",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6
    • 58 김은실, "『대학생과의 소통을 위한 상담기법』", 서울: 학지사, 2014
    • 59 예현숙, "“영적의미 추구로서의 사별애도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60 박종철, "“”.『바람직한 존중의 실천방안 고찰』", 『경찰복지연구』. 6(2): 14-30, 2018
    • 61 김세승, "“목회자 자녀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한신대학교 신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62 최영실, "“신약 성서적 관점에서 본 영성과 여성”", 『영성과 여성신 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9
    • 63 반성택, "“후설의 현상학 입문-내적 역사의 제시”", 『철학과 현상학 연구』. 51: 87-113, 2011
    • 64 박진우, "목회자가정 자녀의 갈등 경험에 관한 연구", 『신학과 실 천』. 61: 473-502, 2018
    • 65 박아청, "“한국형 자아정체감검사와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17(3): 373-392, 2003
    • 66 황대영, "“목회자 자녀의 심리적 갈등과 해결방안”", 칼빈대학교 신 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67 이희철, "“저항은 참여다: 레지스턴스의 목회상담”", 『한국기독교신 학논총』. 104: 291-308), 2017
    • 68 김종환, "“PK를 더 이상 목회의 희생자로 보지 말자”", 『목회와 신 학』. 192: 138-139, 2010
    • 69 신나라, "“여성의 일과 소명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기 독교상담학회지』. 30(3): 145-178, 2018
    • 70 김한옥, "“목회와 치유: 목회자 자녀의 문제와 극복”", 『기독문화연 구』. 2(1): 2: 41-60, 2005
    • 71 황헌영, "“사이코드라마의 잉여현실과 종교적 은유”", 『기독(목회)상 담 총서』. 5: 263-289, 2018
    • 72 Weber, M.,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김덕 영역. 서울: 길, 2010
    • 73 송기정, "“목회자 자녀들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분석”", 『복음과 실 천신학』. 45: 37-72, 2017
    • 74 이유경, "“선교사 부부갈등 형험과 극복 경험의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75 우지연, "“고통과 열정을 통합하는 기독교 청소년교육”", 『기독교교 육논총』. 54: 85-120, 2018
    • 76 김보혜, "“목회자자녀의 스트레스에 대한 성경적 상담”", 총신대학 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77 이윤주, "“목회자 자녀의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78 이희철, "“네가 낫고자 하느냐?: 사회폭력과 기독교상담”", 『한국기독 교상담학회지』. 16: 127-147, 2008
    • 79 정은호, "“목회자 자녀의 착한 아이 콤플렉스와 그 극복”", 협성대학 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80 김애란, 류혜옥, "교회 부교역자 아내의 역할갈등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4(2): 35-74, 2013
    • 81 엄혜진, "여성의 자기계발, 소명의 고안과 여성성의 잔여화", 『페미 니즘 연구』. 16(2): 215-265, 2016
    • 82 신영재, "“기독청소년의 정체성 상실과 회복에 관한 연구”", 총신대 학교 선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83 손영우, 하유진, 최예은, "“한국판 다차원적 소명척도(MCM-K)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7(1): 191-220, 2014
    • 84 오화철, "“나의 여신 앤 울라노프: 기독(목회) 상담 방법론”", 『2019 가을공동학술대회 자료집』. 71-83, 2019
    • 85 이정관, "“성경적 기준의 삶을 위한 부모의 자녀양육 태도”", 『ㄴ학 과 실천』. 42: 639-661, 2014
    • 86 강연정, "목회자 자녀의 건강한 자아형성을 위한 상담의 과제", 『기독교상담학회지』. 9: 113-144, 2005
    • 87 박준기, "“예배를 통한 기독교 영성 훈련 강화에 관한 연구”", 서울신 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88 채기화, "“지체장애 청소년의 정체성발달과 신체와의 대면”", 『지체. 중복.건강장애연구』. 58(2): 253-275, 2015
    • 89 이남인,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몇 가지 측면에 대한 해명”", 『철학 연구』. 109: 111-131, 2015
    • 90 송기정, "“목회자 자녀들의 심리적 문제점과 목회적 대응책”", 『가족 과 상담』. 6(1): 43-59, 2016
    • 91 홍인종, "“목회자 자녀의 독특성에 대한 연구”.『장신논단』", 장로회 신학대학교. 17: 362-406, 2001
    • 92 김원규, "“포스트모던 시대의 기독교 부모교육에 관한 연구”", 장로 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93 김정우, "“하나님 자녀의 정체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총신 대학교 선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94 송기정, "“목회자 자녀들의 분노표출 변화 과정에 관한 연구”", 숭실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95 권오현, 한재희, "여성기독상담자의 소명의식에 대한 실존적 특성 연 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8(1): 9-42, 2017
    • 96 김균진, "“구원의 영성과 창조적 영성: 영성신학을 위한 제언”", 『신 학논단』. 39: 185-212, 2005
    • 97 장신근, "“통전적 신앙 양육을 위한 가정-교회 연계 격대교육”", 『장 신논단』. 50(1): 291-322, 2018
    • 98 권수영, 성기정, "“경력단절 육아전업주부의 정체성위기에 관한 연 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7(1): 163-195, 2016
    • 99 오상영, "“파울러의 구조주의적 신앙발달 모형의 한계와 수정”", 『기독교교육논총』. 17: 249-277, 2018
    • 100 강문규, "“파울러의 신앙발달단계에 대한 고찰과 문제점 연구”", 『기독교교육논총』. 18: 49-70, 2008
    • 101 Hamilton, N., "Gregory『심리치료에서 대상관계와 자아기능』. 김 진숙외", 서울: 학지사, 2008
    • 102 최경숙, "“부모화 경험을 한 목회자자녀의 대인관계 특성 연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103 홍인종, "“목회자 자녀의 독특성에 대한 연구(Ⅱ)”『장신논단』.", 장로회신학대학교. 18: 533-67, 2002
    • 104 Donald Harvey, "Gene Williams.『목회자 가정, 그들만의 스트 레스』. 김재덕역", 서울: 생명의말씀사, 2004
    • 105 박지숭, "“암 경험자들의 긍정적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사례연구”", 『생명연구』. 42: 227-285, 2016
    • 106 이은미, "“기독청년의 직업소명에 관한 고찰: 교회의 역할과 과제”", 『신앙과 학문』. 24(2): 137-157, 2019
    • 107 양준이, 현안나, 조인주, "“대학신입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아정체 감의 매개효과”", 『인문사회 21』. 10(4): 1637-1650, 2019
    • 108 김태형, "“윤동주의 신앙공동체의 성장과 교회에게 던지는 메시지”", 『신학과 실천』. 57: 577-599, 2017
    • 109 김영수, "“소도시 소형교회 사모들의 사역과 역할에 대한 질적연 구”", 51: 223-250, 2016
    • 110 박나실, "“한국 목회자자녀 PK(Pastor's Kids)의 회복탄력성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111 고미희, "“기독 청년의 자아정체감 발달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 개 발”", 한남대학교 학제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112 강에스더, 이혜주, 민지현, "“소명의식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소 명실행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0(4): 491-516, 2017
    • 113 박봉희, "“예비목회자의 대인관계 갈등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 구.”", 박사학위논문,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8, 2018
    • 114 배창호, "“현대사회문화적 상황에 필요한 새로운 교회됨에 대한 고 찰”", 『기독문화연구』. 23: 147-177, 2018
    • 115 장은주, "“청소년 신앙발달에 관한 연구-영적 정체성 형성을 중심 으로”",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116 이상엽, "“기독청년의 자아정체성 형성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장로회신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117 박남숙,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수준이 이성교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17(1): 198, 2005
    • 118 이희철, "“사회심리학과 과정신학의 대화를 통한 기독(목회)상담 세 우기”", 『기독(목회)상담 연구방법론』. 5: 35-55, 2018
    • 119 이창호, "“하나님 사랑과 이웃사랑의 관계성에 대한 신학적․윤리적 탐구”", 『장신논단』. 48(1): 253-281, 2016
    • 120 이혁구, 하민정, "“농촌지역 여성 독거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현상학학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71(2): 148-174, 2019
    • 121 이동혁, "『대학생 사장님: 돈 없이 창업해서 졸업전에 1천만원 통장 만들기』", 서울: 이담북스, 2019
    • 122 손정위, "공교육 기독교사들의 기독교사로서의 정체성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기독교교육정보』. 49: 33-67, 2016
    • 123 가요한, "“제임스 W. 파울러의 신앙발달단계 이론의 기독(목회)상담 적 적용”",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24(4): 9-32, 2013
    • 124 박지영, "“상호주관적 명증의 현상학: 후설을 토대로, 그리고 후설을 넘어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125 심정연, "“기독 청소년의 정체성 형성에 대한 기독교교육과 상담에 대한 고찰”", 『기독교교육정보』. 60:179-210, 2019
    • 126 이명훈, "“기독교인 자살생존자의 애도과정에서 경험하는 심리 적 갈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2014
    • 127 양은화, "“목회자 자녀의 자아정체감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경험에 관한 연구”", 서울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128 김의철, 박영신, "“청소년과 부모의 인간관계를 통해 본 신뢰의식: 토착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10(2): 103-137, 2004
    • 129 김은영, "“흔들리는 목회자 자녀 자아정체감 향상을 돕기위한 프로 그램 개발”", 서울여자대학교 기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130 이명훈, "중년 목회자 아내의 자아정체성 발달과정 중 경험하는 심리적 갈등 연구", 『대학과 선교』. 35: 407-433, 2017
    • 131 최은경, "“기독청소년의 부모애착과 학업스트레스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학제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132 강연정, "“목회자 자녀의 건강한 자아형성을 위한 자기표현훈련 프 로그램 개발”", 『기독교교육연구소』. 3: 131-38, 2008
    • 133 최슬아, "“한국교회 목회자 자녀들의 억압된 자아와 감정 치료를 위 한 프로그램”", 서울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134 정병식, "“마르틴 루터와 존 웨슬리의 신학적 접점 연구-칭의와 성 화를 중심으로”", 『한국교회사학회지』. 49: 7-43, 2018
    • 135 김혜은, "“목회지 자녀 음악치료사의 자기정체성 확립과정에 관한 자문화 기술지”",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136 이정희, "“이용자의 경험을 통해 본 사례관리의 의미의 본질: Giorgi 현상학적 접근”", 삼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137 김현주, 이준석, "“경제적 자립전망과 자아정체성 유예가 대학생 직 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미래청소년학회지』. 13(1): 169-194, 2016
    • 138 강라현, "“비혼모의 출산 양육 체험에 나타난 여성의 주체성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여성학 연구』. 29(2): 205-23, 2019
    • 139 박미라, "“상담에서 부모교육을 통한 정서적 의사소통 및 공감기법 의 필요성 연구”", 『한국기독교신학논총』. 95(1): 263-288, 2015
    • 140 이혜주, 정숙희, "기독 대학생의 신앙성숙도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소명의식 의 매개효과", 『한국기독교상담학회』.27(2): 225-253, 2016
    • 141 김동민, 김혜은, "“목회자 자료인 음악치료사의 자기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자문화 기술지”", 『질적탐구』. 3(2): 181-219, 2017
    • 142 조휴정, "“사회복지사의 실천의 의미와 본질탐구를 위한 자기 성찰 적 현상학적 연구”",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16(1): 115-161, 2019
    • 143 장형철, "“IMF 이후 경제위기 이후 초대형교회 목회자들의 설교에 나타난 부 담론 분석”", 『한국사회역사학회』. 17(1): 177-208, 2014
    • 144 신준희, "“신앙발달이론의 목회적 적용 방법에 관한 연구: 제 임스 파울러를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145 성창환, "“파울러의 결합적 신앙을 통한 포스트모더니즘의 주관적 상대주의 극복제언”", 『서울장신논단』. 27: 227-249, 2019
    • 146 최우석, "“후설의 현상학적 윤리학 : 전기와 후기 윤리학의 특징과 상관성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147 변철, "“작은교회 온 세대 목회 ‘삼보교회’ : 한몸을 이루는 공동체 를 지향하며…”", 『교육교회』. 462: 34-38, 2017
    • 148 이재관, "“중증 지체장애 및 뇌병변장애 성인들의 자립생활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장애와 고용』. 29(3): 91-117, 2019
    • 149 김희영, "“기독교인의 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자기 향상성, 자율 성, 자존감을 중심으로”", 『선교와 신학』. 44: 225-257, 2018
    • 150 장광진, "“한국 기독교 공동체의 고통 중에 함께 하시는 성령 하나 님의 일하심에 대한 숙고”", 『피어선 신학 논단』. 7(1): 105-122, 2018
    • 151 이현숙, "“목회자 자녀의 정서체계에 관한 연구:보웬 가족치료의 자 아분화 개념을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152 박승온, "“담임 목회자 아버지를 둔 아들이 청년기에 겪는 어려움과 극복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153 김아름, 박지연,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행동이 아동의 정서조절 방 략에 미치는 영향: 공감의 매개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31(4): 229-249, 2015
    • 154 김대인,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과 로더의 변형이론을 통한 기독교 교양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신학과 복음』. 7: 59-89, 2019
    • 155 오화철, "“한부모가정 자녀를 위한 기독(목회)상담적 접근: 감정억압 으로 인한 무력감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4(3). 185-205, 2017
    • 156 김종호, 백승철, "“목회자자녀의 건강한 경계선 형성과 자아정체성 향상을 위한 치유와 성장 프로그램 개발”", 『교류분석과 심리사회치 료 연구』. 5(1): 81-114, 2008
    • 157 정종화, 허수경, "“중증발달장애인 주 양육자의 성인기에 이르기까 지의 자녀 돌봄 구조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43(43): 181-212, 2019
    • 158 이종주, "“양극성 장애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과 치료-임상, 상담심 리학과 현상학적 방법 간의 학제 간 연구”", 『철학과 현상학 연구』. 79: 59-103, 2018
    • 159 김동기, "“Marcia의 청소년 자아정체성 발달 모형에 따른 가톨릭 청년의 종교적 자아정체성과 종교성 관계 연구”", 『종교교육학연 구』. 37: 89-109, 2011
    • 160 송슬기, "“자아정체성 교육의 철학적 접근: 찰스 테일러의 자기 (Chares Taylor)의 진실성(Authenticity) 개념을 중심으로”", 서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161 여종현, "“후설의 현상학적 제일철학과 보편적 이성사관: 인류 역사 의 이념과 목적 및 종말의 지향적․현상학적 해명”", 『철학과 현상 학 연구』. 39: 1-36, 2008
    • 162 민경림, "“목회자 부모와 청소년 자녀의 관계성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설계: 대한예수교 장로회 합동교단을 중심으로”", 총신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163 신호재, "“종교현상의 방법적 기초로서의 현상학적 환원: M. 엘리아 데의『성과 속』에서‘(俗) 의 이중적 의미를 중심으로”", 『철학사 상』. 73: 69-104, 2019
    • 164 이신철, 이현철, "“한국사회내 미조직 및 개척교회의 딜레마에 관한 질적연구: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의 도시지역 교회를 중심으로”", 『개혁논총』. 25: 215-244, 2013
    • 165 오현수, 최인화, 장혜진, "“교사들의 학생 소통 도구로써 마음일기 쓰기 지도 경험에 대한 연구 : 지오르지(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청소년상담연구』. 24(1): 221-244, 2016
    • 166 최성훈, "“신앙의 초월적 분별성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주관적 상대주 의: 제임스 파울러가 제시한 신앙발달론의 5단계: 결합신앙을 중심 으로”", 『기독교교육정보』. 58: 27-49,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