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근대 이전 한국과 동남아시아간 접촉에 대한 역사적 고찰 = A HISTORICAL SURVEY OF CONTACTS BETWEEN KOREA AND SOUTHEAST ASIA IN THE PRE-MODERN TIM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9
작성언어
Korean
KDC
349.0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3-46(24쪽)
제공처
소장기관
근대 이전 한국과 동남아간의 역사적 관계는 우르수 비테를리가 말하는 문화관계로 발전치 못하고 문화접촉의 차원에 머물렀다. 본 연구는 한국과 동남아간의 접촉이 오늘날 갈수록 다변화되고 증대되는 상황에서 양 지역간의 역사적인 문화적 교류를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행해진 것이다. 본고는 무엇보다도 사료의 제한성으로 6세기 백제-동남아간 교류 가능성과 14세기 말-17세기 한국과 태국, 자바 및 베트남간의 접축들을 연구대상에 두었다. 주로 『日本書紀』를 바탕으로 분석된 백제-동남아 관계는 충분한 전거가 뒷받침되지 않은 추측의 차원에 머물러 있다. 이에 비해 14세기 말-17세기 한국과 태국, 자바 및 베트남간의 접촉들은 『高歷史』, 『朝鮮王朝實錄』, 『明史』, 李 光의 『芝峰集』,鄭東愈의 『書氷編』등 여러 사료들의 구체적인 기록들을 바탕으로 재구성된 것이다. 사료에 대한 비판적 태도를 근저에 두는 문헌학적 방법론에 입각한 본 연구는 『高歷史』와 『朝鮮王朝實錄』에 나타나 있는 14세기 말-15세기 초 한국과 태국 및 자바간의 관계를 사료의 기록을 그대로 받아들여 어떤 외교적 관계의 발전으로 해석하지 않고, 태국 및 중국의 다양한 사료들과의 비교를 통해 당시 태국과 자바를 근거지로 남중국해와 동중국해에서 활동하던 중국상인들의 무역이 한반도까지 확대된 것으로 본다. 한편 위의 접촉들이 그후 지속적인 무역관계나, 나아가서는 외교적 관계로 발전하지 못한 것은 당시 왜구들의 위험성과 무역적 수익성에 대한 기대의 결여라는 두 가지 요인에 기인시킨다. 주로 『朝鮮王朝實錄』의 기록을 바탕으로 조사한 16세기 말 임진왜란시 태국의 출병 의도는 남중국해 및 동중국해에서의 무역적 이해관계가 관련하여 해석되었다. 끝으로 17세기 조선-베트남 접촉들은 당시 두 나라가 각각 얼마나 "세계화"되어 있었는지를 보여준다.
Compared with the commercial and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Southeast Asia, or Japan and southeast Asia on which much has been written, historical contacts between Korea and Southeast Asia have attracter little attention of historians. It is thus found necessary to view early interaction between Korea and Southeast Asia in its own light, particularly now that contacts between Korea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have recently diversified and greatly increased. This study has been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 interaction between the kingdom of Baekje and Southeast Asian in the sixth century and historical contacts between Korea, Thailand, Java and Vietnam from the end of the fourteenth to the seventeenth century. The reason for these temporal and thematic limitations is mostly related to the problem of availability of relevant primary sources. Relations between the kingdom of Baekje and Southeast Asian, which are analysed mainly on the basis of some records in the Japanese Nihon Shoki, remain an assumption not supported by sufficient historical documentation. Historical contacts between Korea, Thailand, Java and Vietnam from the end of the fourteenth to the seventeenth century are, on the contrary, reconstructed on the basis of concrete records from various sources such as Koryosa, Choson wangio shillok, Ming shi, Chibong jip of Yi Su-kwang, and Chuyoun phyon of Chong Tong-yu. This study, which atempts to subject the relevant historical sources to a philological analysis, does not interpret contacts between Korea, thailand and Java from the end of the fourteenth to the betinning of the fifteenth century (recorded in the Koryosa and the Choson wangio shillok) as having developed into diplomatic relations. Rather, it examines the possibility of the "envoys, " who came to Koryo and Chosun from the end of the fourteenth to the beginning of the fifteenthe century, having been not diplomatic delegates dispatched by the Thai court and the Java court but Ayutthaya - and Java -based overseas Chinese merchants who passed themselves as such, and the possibility of the party of envoys sent to Thailand by the Chosun government having not been given audience by the Thai court. Two reasons are suggested to explain why the contacts did not develop into a long-lasting commercial or diplomatic relations. Firstly, there was the danger of Japanese pirates on the sea route from Nanyang to Korea. Secondly, Chinese merchants may not have found any profitability in a trade venture to Korea. This study also analyzes the suggestion of the Ayutthaya government to the Ming court that the Thai should attack from behind with naval forces the Japanese, who invaded Chosun and threatened Chinal in the late sixteenth century, and attributes it to the commercial interest of Thailand in the South China Sea and the East China Sea. Finally, contacts between Korea and Vietnam during the seventeenth centruy are examined. In particular, it compares the stories of the Vietnamese merchants who were deprived of their cargoes and killed by Chosun officials after they had drifted to Cheju Island in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with those of over 20 people from Cheju Island who came back to their home through the courtesy of the vietnamese after they had drifted to Vietnam because of a storm.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