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공립유치원 고경력 교사의 삶과 정체성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A human being is existence within the world that always exists amidst a relationship with anything. Thus, how the person is established inside the world needs to be understood in its relationship given grasping a specific per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 teacher's life and identity through exploring a narrative of a teacher's life experience in order to grasp a public kindergarten teacher from the existential perspective.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focus on the aspect of life philosophy and identity in a public kindergarten teacher, on the practical image in life philosophy and identity, and on what about the elements of having influenced life philosophy, identity formation & practice.

    The question of this study was set to be what about a teacher's life and identity that were examined through the life experience in a highly experienced teacher at a public kindergarten?

    For understanding the life and identity of a highly experienced teacher in a public kindergarten, it purposefully sampled one research participant who has the 26-year teaching experience and the experience of diverse forms in a public kindergarten. An exploration method in this study was composed of a narrative inquiry available for reading out social value, ideology and social discourse of forming an individual's identity, and a structural frame in society, which had effect on forming identity. To increase the inter-textuality of a field text in the narrative inquiry, a variety of materials were collected.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ere made focusing on how the participant's experience and change exchange a mutual relationship in the three dimensions of temporality, sociality and place.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comprised the process of contextually compiling the theme, which was revealed in relation to the teacher's life and identity, to the practical image in the actual field, and to the elements of having affected this life, identity and practice. This process was the time of being continuously reinterpreted with being overlapped the life experiences in a researcher as a children educator.
    The writing in this study aimed to disclose a meaning through reconstructing the participant's experience at the point of the three-dimensional exploration. The writing was supported that can three-dimensionally show the formation of life philosophy and identity, the field practice of life philosophy & identity, and the elements of having affected this practice and the formation & a change in life and identity as for understanding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life and identity. Through the researcher's continuously writing a reflective journal, the research process was aimed to demonstrate how the researcher's experience functioned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participant's life and identity through introspecting life and identity in the researcher who have lived as a children educator.
    The justification in a research was aimed to be secured by clearly suggesting personal justification, actual justification, and social justification, which are the plans of obtaining justification in the narrative inquiry.

    A meaning of being possessed by the narrative of life and identity in the highly experienced teacher at a public kindergarten, which was elici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consisted of four Chapters. First of all, in the Chapter of 'spreading and showing off Su-jeong's life,' it divided the central philosophy of life in Su-jeong, who have lived as a public kindergarten teacher, into the life of Sisyphus, the life of coexistence with other people, and the life of Ubermensch, and then weaved and formed a meaning & a change in each life, and the factors of having influenced this life. Focusing on a subtitle of represent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life, it is showing that Su-jeong's life is the one of having made like Sisyphus, but needs a slight rest and comfort now, and that we must respect a mutual difference, and that life can be truly beautiful when a difference coexists. And Su-jeong is proceeding with managing life in a happy teacher who practices the education of focusing on young children with having own subjectivity even in the difficult educational reality.

    In the Chapter of digging out Su-jeong's identity, Su-jeong's identity was aimed to be understood through how the life philosophy is linked to the philosoph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rough how Su-jeong's educational philosophy is indicated in a class-room instruction, centering on Su-jeong's philosophy and cla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erms of the teacher's identity that appeared in Su-jeong's life story. Su-jeong was practicing the existential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ch is gradually getting more easy-going and deeper in the teacher's initially pas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Also, in the initially unilateral teaching of focusing on a role of teaching, a teacher's role recognition and practice could be seen to be expanded by the listening of gradually understanding young children's mind. Su-jeong was seeking for a hope of de-territorialization, which is winning through the reality with own method even in the reality of poor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ch cannot practice the esse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long with the educational philosophy. This outcome is suggesting that Su-jeong is proceeding with making own philosoph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ccording to the accumulation of the experience as a teacher. Su-jeong's class was practicing diverse aesthetic lessons of soothing young children's mind in a show-off class to parents with being changed into a class of fostering the energy of young children who will proceed with living in the future in the initially framed class. This implies a change into a class of practicing own philosophy from the lesson with the absence of philosophy. Su-jeong's change in philosophy and cla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leads to being able to know that Su-jeong's teacher identity is getting deeper and harder.

    In the Chapter of 'Su-jeong's life and identity echo,' which reverberation the story of Su-jeong's life and identity can give to our educational reality was presented with being divided into living with introspecting oneself, becoming the main agent of life, making a true meeting, and crossing a boundary between learning and teaching. In living with introspecting oneself, how the meaning that the teacher is living with reflecting on oneself, and how the life of introspection are being shown in the actual classroom. In proceeding with becoming the main agent of life, it is showing the reason why we need to be the principal of life, the meaning of living initiatively, and the practice of independent life. In proceeding with making a real meeting, it is showing how a true meeting can be made in a meeting with nature, young children, colleague, and teacher, the effect of being caused by the real meeting, and the image of the practice. In crossing a boundary between learning and teaching, the thought and the practice of learning in Su-jeong, who proceeds with making ideology through encountering, is being indicated. Su-jeong's teaching was being made through making a place(場) of mutually exchanging with young children. The philosophy and identity of life that Su-jeong shows can be considered to have a great significance of being given to us in the aspect of showing the life image in a teacher who pursues the public goodness(善) even without being buried in the tough educational reality while being faithful in the esse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re cannot be one structured desirable standard in understanding other people's life. Still, other people' life should be watched from the perspective of whether the life seeks the public truth without being buried in reality. The significance in this study, which explored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identity, can be found in a point of showing the changing aspect in identity, and the elements of having influenced a change, through the thought and the practical image on a cla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hilosophy, which appeared in the participant's life story. This result can be considered to demonstrate a little more how the teacher's life philosophy and identity appear in the classroom practice unlike previous researches. In addition, it leads to feeling why a teacher's identity is important, and to the necessity of paying attention to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identity and class, to a support for forming a teacher's identity, and to the teacher education. The inquiry process into Su-jeong's life and identity, which was made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the research, was ultimately the understanding process of the researcher's life and identity.

    더보기

    인간은 늘 무엇과의 관계 속에 존재하는 세계 내 존재여서 특정한 사람을 이해하려면 세계 안에서 그 사람이 어떻게 정립되어 있는지 그 관계성 안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 교사를 실존적 관점에서 이해하기 위해 교사의 생애 경험의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교사의 삶과 정체성을 이해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 교사의 삶의 철학과 정체성의 양상, 삶의 철학과 정체성의 실천적 모습, 삶의 철학과 정체성 형성 및 실천에 영향을 준 요소들은 무엇인가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질문은 공립유치원 고경력 교사의 생애 경험을 통해 살펴본 교사의 삶과 정체성은 어떠한가? 로 설정하였다.

    공립유치원 고경력 교사의 삶과 정체성을 이해하기 위해 26년의 교직 경험과 공립유치원의 다양한 형태를 경험한 연구 참여자 1인을 유목적적으로 표집 하였다. 본 연구의 탐구 방식은 개인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사회적 가치, 이념, 이데올로기, 사회적 담론 등과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준 사회의 구조적 틀을 읽어낼 수 있는 내러티브 탐구로 이루어졌다. 내러티브 탐구의 현장 텍스트의 상호텍스트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자료의 분석과 해석은 참여자의 경험과 변화가 시간성, 사회성, 장소의 3차원적 차원에서 어떻게 서로 관계를 주고받는가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분석과 해석 과정은 교사의 삶 및 정체성과 관련하여 드러난 주제와 실제 현장에서의 실천 모습, 이러한 삶과 정체성 및 실천에 영향을 준 요소들을 맥락적으로 엮어보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이 과정은 연구자의 유아교육자로서의 삶의 경험들이 중첩되어 끊임없이 재해석되는 시간이었다.
    본 연구의 글쓰기는 3차원적인 탐구지점에서 참여자의 경험을 재구성하여 의미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공립유치원 교사의 삶과 정체성을 이해함에 있어 삶의 철학과 정체성의 형성, 삶의 철학과 정체성의 현장에서 실천, 이러한 실천 및 삶과 정체성의 형성, 변화에 영향을 준 요소들을 3차원적 맥락에서 보여줄 수 있는 글쓰기를 지향하였다. 연구과정에서 연구자의 지속적인 성찰적 저널 쓰기를 통해 유아교육자로 살아온 연구자의 삶과 정체성에 대한 성찰을 통해 연구자의 경험이 참여자의 삶과 정체성을 이해하는 과정에 어떻게 작용하였는지도 보여주고자 하였다.
    연구의 정당성은 내러티브 탐구의 정당성 확보 방안인 개인적 정당성, 실제적 정당성, 사회적 정당성을 명확하게 제시하여 확보하고자 하였다.

    위의 과정을 통해 이끌어낸 공립유치원 고경력 교사의 삶과 정체성의 내러티브가 갖는 의미는 네 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수정의 삶 펼쳐 보이기’ 장에서는 공립유치원 교사로 살아온 수정의 삶의 중심 철학을 시지프스의 삶, 타인과의 공존의 삶, 위버멘쉬의 삶으로 나누어 각 삶의 의미와 변화, 이러한 삶에 영향을 준 요인들을 3차원으로 엮어 구성하였다. 연구 참여자 삶을 표상하는 부제를 중심으로 한 수정의 삶은 시지프스처럼 살아온 삶이지만 이제는 조금 쉼과 위로가 필요하며, 우리는 서로 다름을 존중해야 하며 다름이 공존할 때 삶이 진정으로 아름다울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수정은 어려운 교육 현실에서도 자신의 주체성을 가지고 유아를 중심에 두고 교육을 실천하는 행복한 교사의 삶을 영위해가고 있다.

    ‘수정의 정체성 들춰 보이기’ 장에서는 수정의 삶의 이야기에 나타난 교사의 정체성을 수정의 유아교육 철학과 수업을 중심으로 삶의 철학이 어떻게 유아교육 철학으로 연결되며, 수정의 교육 철학이 교실 수업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통해 수정의 정체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수정은 교사 초기 수동적 유아교육에서 점차 느긋해지고 깊어져가는 실존적 유아교육을 실천하고 있었다. 또한 가르치는 역할에 초점을 둔 초기 일방적 가르침에서 점차 유아의 마음을 헤아리는 귀기울임으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와 실천이 확장됨을 볼 수 있었다. 수정은 교사의 교육철학과 유아교육의 본질을 실천할 수 없는 열악한 유아교육 현실에서도 자신만의 방식으로 현실을 헤쳐 나가는 탈영토화의 희망을 찾아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정이 교사로서의 경험이 쌓여감에 따라 자신의 유아교육 철학을 만들어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수정의 수업은 초기 틀에 갇힌 수업에서 미래를 살아갈 유아들의 힘을 길러주는 수업으로 변화되며, 부모에게 보여주기식 수업에서 유아들의 마음을 어루만지는 다양한 심미적 수업을 실천하고 있었다. 이것은 수정이 철학 부재의 수업에서 자신의 철학을 실천하는 수업으로 변화해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수정의 유아교육 철학과 수업의 변화를 통해 수정의 교사 정체성이 보다 깊어지고 단단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정의 삶과 정체성의 울림’ 장에서는 수정의 삶과 정체성의 이야기가 우리 교육 현실에 어떠한 울림을 줄 수 있는가의 의미를 자신을 성찰하며 살아가기, 삶의 주체가 되어가기, 진정한 만남 만들어가기, 배움과 가르침의 경계 넘나들기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자신을 성찰하며 살아가기에서는 교사가 자신을 성찰하며 살아간다는 것의 의미와 성찰의 삶은 실제 교실에서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삶의 주체가 되어가기에서는 왜 우리가 삶의 주체가 되어야 하며,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간다는 것의 의미와 주체적 삶의 실천을 보여주고 있다. 진정한 만남 만들어가기에서는 자연, 유아, 동료 교사와의 만남에서 어떻게 진정한 만남을 만들어갈 수 있으며, 진정한 만남이 가져오는 효과와 실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배움과 가르침의 경계 넘나들기에서는 마주침을 통한 이념을 만들어가는 수정의 배움에 대한 생각과 실천을 보여주고 있다. 수정의 가르침은 유아들과 서로 주고받는 장(場)만들기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수정이 보여주는 삶의 철학과 정체성은 유아교육의 본질에 충실한, 각박한 교육현실에 매몰되지 않으면서 공공의 선(善)을 추구하는 한 교사의 삶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면에서 우리에게 주는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타인의 삶을 이해함에 있어 하나의 정형화된 바람직한 기준은 있을 수 없다. 다만 그 삶이 현실에 매몰되지 않으면서 공공의 선을 추구하고 있는가의 관점에서 타인의 삶을 바라봐야 한다. 공립유치원 교사의 정체성을 탐색한 본 연구의 의의는 참여자의 삶의 이야기에 나타난 유아교육철학, 수업에 대한 생각과 실천적 모습을 통해 정체성의 변화 양상과 변화에 영향을 준 요소들을 함께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좀 더 교사의 삶의 철학과 정체성이 교실 실천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교사의 정체성이 왜 중요하며, 교사의 정체성과 수업과의 관계, 교사 정체성 형성의 지원과 교사교육에 관심을 가져야 함을 느끼게 한다. 연구의 전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 수정의 삶과 정체성의 탐구과정은 결국 연구자의 삶과 정체성의 이해과정이었다.

    더보기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2절 연구 문제 9
    • 제2장 이론적 배경 10
    • 제1절 교사의 정체성 11
    • 1. 교사의 삶 이해하기 11
    • 2. 교사의 정체성 이해하기 16
    • 3. 교사의 삶과 정체성에 관한 선행연구 25
    • 제2절 공립유치원의 이해 33
    • 1. 공립유치원 현황 33
    • 2. 유아교육 현장의 변화와 교직문화 39
    • 3. 공립유치원 교사에 관한 선행연구 51
    • 제3장 연구 방법 및 절차 57
    • 제1절 연구자 및 연구 참여자 57
    • 1. 연구자 57
    • 2. 연구 참여자 61
    • 제2절 연구 절차 65
    • 1. 내러티브 탐구 65
    • 2. 자료수집 69
    • 3. 자료 분석 및 해석 75
    • 4. 글쓰기 82
    • 5. 연구의 타당성 85
    • 6. 연구 윤리 88
    • 제4장 수정의 삶 펼쳐 보이기 90
    • 제1절 시지프스의 삶: 이제는 쉼과 위로가 필요해 91
    • 제2절 공존의 삶: 다름이 있어 아름답다 103
    • 제3절 위버멘쉬의 삶: 아이들하고 있는 거 자체가 행복이야! 114
    • 제5장 수정의 교사 정체성 들춰 보이기 124
    • 제1절 수정의 유아교육 철학 만들어가기 125
    • 1. 수동적 유아교육에서 실존적 유아교육으로 125
    • 2. 일방적 가르침에서 유아의 마음을 헤아리는 귀기울임으로 136
    • 3. 영토화된 유아교육 현실에서 탈영토화의 희망 찾아가기 140
    • 제2절 철학 부재의 수업에서 철학 실천의 수업으로 150
    • 1. 틀에 갇힌 수업에서 유아의 힘을 기르는 수업으로 150
    • 2. 보여주기식 수업에서 유아의 마음을 어루만지는 수업으로 158
    • 제6장 수정의 삶과 교사 정체성의 울림 166
    • 제1절 자신을 성찰하며 살아가기 167
    • 제2절 삶의 주체가 되어가기 176
    • 제3절 진정한 만남 만들어가기 185
    • 제4절 배움과 가르침의 경계 넘나들기 193
    • 1. 수정의 배움: 마주침을 통한 이념 만들어가기 196
    • 2. 수정의 가르침: 유아와 교사가 서로 주고받는 가르침의
    • 장(場) 만들기 201
    • 제7장 연구를 마치며 205
    • 제1절 타인의 삶을 이해한다는 것은 205
    • 제2절 수정의 삶 이해 과정, 나의 삶을 이해하는 과정 210
    • 참고문헌 216
    • 부록 239
    • Abstract 263
    더보기
    • 1 김정한, "장학론", 교육과학사, 서울: 학지사, 2002
    • 2 강상중, "고민하는 힘", 사계절, 파주: 사계절출판사, 2009
    • 3 조용환, "문화와 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6
    • 4 이정우, "개념 뿌리들2", 서울: 철학아카데미, 2004
    • 5 김현섭, "수업을 바꾸다", 군포: 한국협동학습센터, 2013
    • 6 이진경, "『노마디즘Ⅰ』", 서울: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2002
    • 7 교육부, "사회과교육과정",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 분석 자료집-유 초 중등 교육 통계 편, 2016
    • 8 이홍후, "대승기신론 통석", 서울: 김영사, 2006
    • 9 박아청, "아이덴티티의 세계", 교육과학사, 서울: 교육과학사, 1993
    • 10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Ⅰ", 서울: 문음사, 2006
    • 11 조용환, "질적 기술, 분석, 해석",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2(2), 27-56, 1999
    • 12 박혜경, "한국 현대 유아교육사", 량서원, 서울: 양서원, 1995
    • 13 김동원, "한 교사의 소외와 실존", 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학 연구, 19(2), 1-29, 2012
    • 14 조용환, "평생교육과 교육생애사", 평생교육연구, 3(1), 91-99, 1997
    • 15 서근원, "수업에서의 소외와 실존", 파주: 교육과학사, 2007
    • 16 조광제, "『예술인문학과 통하다』", 웅진지식하우스, 서울: 웅진지식하우스, 2008
    • 17 황기우, "교사문화의 생성과정 분석",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연구, 17, 213-228, 2002
    • 18 홍영숙, "내러티브 탐구에 대한 이해",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내러티브 탐구와 교육연구, 3(1), 6-21, 2015
    • 19 김대군, "교육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 한국교육현상해석학회, 현상 ‧ 해석학적 교육 연구, 8 (2), 53-72, 2011
    • 20 김정숙, 최은영, 송신영, "유아교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3-29, 2013
    • 21 홍영기, "학교문화의 형성과 작용과정",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4(2), 41-58, 2001
    • 22 김영옥, "한국 유치원의 조직문화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3(1), 261-291, 2003
    • 23 조용환, "문화와 교육의 갈등-상생 관계",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4(2), 1-27, 2001
    • 24 정혜손, "한국 국공립유치원의 변천과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08
    • 25 민정원, 이진화, 엄지원, "혼합연령학급 효율적 운영방안", 육아정책연구 소 연구보고, 2014-04, 2014
    • 26 곽영순, "구성주의 인식론과 교수 학습론", 질적연구 -철학과 예술 그리고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2009
    • 27 유은혜, "유아교사 발달과정에서의 삶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13
    • 28 노상우 ( Sang Woo Ro ), 송혜린 ( Hye Rin Song ), ""노마디즘에 나타난 ""감응""의 교육"",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연구, 36 (4), 143-164, 2014
    • 29 서경숙, "보육교사직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07
    • 30 조용환, "텍스트와 상호텍스트성의 질적 구현", 한국교육인류학회 추계 학술대회 기조강연, 5-29, 2017
    • 31 김현자, "공립유치원 교사의 직무에 대한 이해",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8(2), 3 1-55, 2005
    • 32 임현숙, "두 초등교사의 평생학습 생애사 연구",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8
    • 33 박상현, "수업에 대한 현상학적 성찰의 필요성", 한국인격교육학회, 인격교육, 7(2), 27-43, 2013
    • 34 이완희, "영아반 초임교사의 정체성 형성 과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05
    • 35 윤희경, "유치원 교직문화의 현황과 발전 방향",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 대회자료집, 47, 3-27, 2006
    • 36 정혜정, "초등 사회과 교사 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37 이가형, 정선아, "'돌봄'의 관점에서 유아교사 삶의 특성", 한국교원교육연 구, 32(4), 307-326, 2015
    • 38 이재용,이종연, "초등교사의 자기성찰에 대한 체험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39 이순자,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직문화의 특질",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01
    • 40 이순자,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직문화의 특질",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6(1), 173-203, 2002
    • 41 이상현 ( Sang Hyun Lee ), "마르틴 부버 "만남" 철학의 교육적 함의", 한국교육철학회, 교육철학, 34, 301-324, 2008
    • 42 임민정, "시를 이용한 질적 연구 경험으로의 초대",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34(4), 35-54, 2014
    • 43 양옥승, "보살핌의 텍스트로서 유아교육과정 이해",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4(4), 249-264, 2004
    • 44 조인숙, "보육서비스의 질과 조직문화의 관계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05
    • 45 최은영, "공립유치원 설치·운영 현황 및 개선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육 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2-20, 2012
    • 46 배지현, "들뢰즈 철학에서의 ‘배움’의 의미 탐색",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2
    • 47 이경제, "미술교사의 정체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48 서현 ( Hyun Seo ), 윤혜란 ( Hea Ran Youn ), "부설유치원장들의 삶과 경험의 의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 학회지, 18(1), 53-76, 2011
    • 49 이신주, 손원경, "유아교육기관장 다면적 리더십 척도 개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50 염지숙, "유아교육실습: 예비교사들의 경험 이야기", 한국교원교육연구, 20(2), 223-248, 2003
    • 51 이혜정, "유치원 교육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 52 김한별, 안아라, "초등학교 교직에서 남교사의 정체성 탐색",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연 구, 48, 81-108, 2013
    • 53 김현자, "공립유치원 교사의 직무에 관한 질적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54 이연승, 조미나, "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실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 교육연구, 10(1), 41-67, 2005
    • 55 곽현주 ( Hyun Joo Kwak ), 나성식 ( Sung Sig La ), 구수연 ( Su Yeon Gu ), "사립 유치원 교직문화의 특질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 아교육학논집, 10(4), 103-124, 2006
    • 56 김진희(Kim, Jin-Hee), "생애사를 통해 본 수석교사의 삶과 정체성",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문화연구, 20 (4), 35-59, 2014
    • 57 신옥순, "유치원 아동의 초기 교육경험에 대한 이해",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17, 63-77, 1987
    • 58 김형효, "포스트모더니즘과 무(無)를 닮으려는 사유", 철학과 현실, 64, 2 1-33, 2005
    • 59 홍선영, "공립단설유치원 초임교사의 어려움과 바램", 배재대학교 대학원,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60 김재권, "행위에 대한 이해: 규범성과 행위자의 관점",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철학사상, 23, 3-29, 2006
    • 61 전복희, "공립유치원 경력교사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62 강민정, 차영숙, 장미정, 곽정인, "유아교사로 살아가기에 대한 교사들의 소리", 한국육아지원학회, 육아지원연구, 1(1), 177-208, 2006
    • 63 최은영, "“한국 유아교육의 최근 동향과 정책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육아정책연구, 10(1), 221-240, 2016
    • 64 이정우, "『천하나의 고원: 소수자 윤리학을 위하여』", 돌베개, 서울: 돌베개, 2008
    • 65 윤은자, "간호사의 전문 간호이미지 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 간호행정학회, 간호행정학회지, 2(2), 17-42, 1996
    • 66 김경애, 임부연, "고경력 유아교사의 삶: 교사실존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 교육연구, 33(1), 267-296, 2016
    • 67 유혜령, "아동교육연구의 현상학적 접근: 역사와 과제",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8(1), 57-90, 2005
    • 68 최월순, "중등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사회화 과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69 김영천, 이동성, "질적 연구에서의 대안적 글쓰기 이론화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열린교육 연구, 21(1), 59-76, 2013
    • 70 남상준, 정혜정, "“초등 사회과 교사 정체성 형성 과정 연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사회과교육연 구, 19(4), 143-158, 2012
    • 71 김희연, 김은숙, "어린이집 교사의 생애사 연구: 김교사 이야기", 교육인 류학연구, 16(1), 25-63, 2013
    • 72 이명순, "유치원 교사가 되어 가는 과정에 관한 이야기", 중앙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 73 최연주, "예비교사교육에서의 자서전적 방법 적용 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건국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74 김신영,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 75 한광웅, 김영천, "질적 연구방법으로 생애사연구의 성격과 의의", 교육문 화연구, 18(3), 5-43, 2012
    • 76 최영신, "질적 자료 수집: 생애사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2(2), 55-77, 1999
    • 77 이나영, "‘과정’으로서의 구술사, 긴장과 도전의 여정", 한국여성학, 28(3), 181-218, 2012
    • 78 곽영순, "『교사 그리고 질적 연구 –앎에서 삶으로–』", 서울: 교육과학사, 2014
    • 79 김정오, "『한국 사회의 정체성과 글로벌 표준의 수용』",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 80 강현석, 추갑식, "내러티브 인식론에 비추어 본 수업비평의 탐구", 교육종 합연구, 10(2), 1-23, 2011
    • 81 한재영, "사범대학교 예비교사의 삶과 정체성 변화 연구", 교사교육연구, 51(1), 75-89, 2012
    • 82 서혜정, "유치원의 질에 따른 유아의 유아교육경험 인식",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83 김경철, 김안나, "현행 교원평가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 유아교육연구, 15(2), 323-344, 2010
    • 84 조연오, "근거이론에 입각한 특수교사의 직업정체성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85 김영천, "별이 빛나는 밤 1: 한국 교사의 삶과 그들의 세계", 서울: 문 음사, 2005
    • 86 백은주 ( Eun-joo Baik ), "영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아정체성 측정도구 개발",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 구, 36(6), 77-96, 2016
    • 87 오선민,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한 작가의 배움과 수련", 작은길, 서울: 작은 길, 2014
    • 88 이경화, 심은주, "쿠레레를 통해 본 두 명의 사립유치원 교사의 삶",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 교원교육연구, 32(3), 327-355, 2015
    • 89 이은영, "‘성찰적 전환’을 통한 미술교사의 정체성 형성", 한국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 총, 31, 23-48, 2012
    • 90 박선홍, 조형숙, "공립유치원 단일학급의 특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유아 교육학논집, 16(3), 319-340, 2012
    • 91 강상이, "공립유치원 초임교사가 겪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한국유아교 육연구, 5, 25-55, 2003
    • 92 류소영, "빈곤한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화여자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93 위수정, "유치원에서의 어머니-교사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94 고미숙, "정체성 교육의 새로운 접근:서사적 정체성 교육", 한국교육, 30 (1), 5-32, 2003
    • 95 최은아, "초등 예비교사의 음악 수업비평관점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 육연구, 29(3), 173-194, 2012
    • 96 조덕주, "교사의 반성적 교육실천을 위한 이론적 기초 탐구",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44(2), 105-133, 2006
    • 97 고병권, "니체의 위험한 책,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서울: 그 린비, 2015
    • 98 홍용희, 정미라, 장영희, 이기숙, "유치원에서의 특별활동 실시 현황 및 교사의 인식",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23(4), 137-152, 2002
    • 99 정혜정, "초등 사회과 전문교사의 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한국사회교 과교육학회 학술대회지, 2, 363-385, 2009
    • 100 김경철 ( Kyung Chul Kim ), 장연주 ( Youn Ju Chang ), "병설 유치원 교사의 방학 중 종일제 운영의 어려움",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 아교육학논집, 14(4), 209-235, 2010
    • 101 김병찬, "사범대생들의 사범대학 진학동기와 적응과정 연구", 韓國敎師敎育學會, 한국교원교 육연구, 20(1), 57-83, 2003
    • 102 여태전, "교사의 삶에 대한 생애사적 연구. 연구 동향과 예들", 한국열린교육학회, 열린교육 연구, 12(2), 79-105, 2004
    • 103 연세희(Yeon SeHee), 염지숙(Yeom JiSook), "예비유아교사의 양성과정 경험: 유아교사 되어가기",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유 아교육 보육복지연구, 20(2), 35-60, 2016
    • 104 류태호, "체육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에 관한 생애사적 연구", 서울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 105 박미리, "공립유치원 교사의 수업외적 업무 부담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106 강미화, 이미숙, "공립유치원 교사의 장애이해교육 운영 실제 및 인식",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발전논총, 36(2), 27-47, 2015
    • 107 김필성,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경북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108 김현주, "보육기관의 질이 유아의 행동과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 109 윤혜란, "부설유치원 원장들의 삶의 애환과 보람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110 정순경, "유치원 교사의 이야기를 통한 교사의 발달과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한국교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111 이성희, 박은혜, "유치원 교사의 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정서경험 탐색",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유아교육 보육행정연구, 14(1), 167-188, 2010
    • 112 설윤희, "자서전적 글쓰기를 통한 한 보육교사의 생애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숙명여자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113 한기석, "초등학교 고경력 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한 질적 연구", 서울교육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114 강현석, "박재의 교실 수업활동과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중등교육 연구, 55(3), 377-413, 2007
    • 115 송유진, "보육교사교육에서의 교수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배재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116 김현주, 조형숙, "사립유치원 교사문화의 특질: 교사 관계를 중심으 로",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6(1), 43-68, 2006
    • 117 김경철, 김안나, "세 명의 초임교사가 경험한 공립유치원의 3월 이야기",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생태유아교육연구, 9(3), 109-129, 2010
    • 118 김현자, "초기 공립유치원 교원의 생애 발달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어린이 미디어연구, 11(3), 335-365, 2012
    • 119 이현주,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 개념을 통해 본 어린이-교사론", 영남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120 김민희, 서현정, "공립유치원 교사의 수업컨설팅 경험과 변화과정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한국유아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548, 2015
    • 121 박성희, 이경민, "병설유치원 교사의 일일교육계획안 작성에 대한 인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17(5), 95-115, 2013
    • 122 서성미, "유아교육기관의 질과 유아의 자아개념간의 관계 연구", 한국교 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 123 강희연 ( Hee Yun Kang ), "장애통합학급 유아교사의 체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 육연구, 31(3), 151-177, 2011
    • 124 김선희, 박련옥,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가야대학교, 가야대학교 논문집, 15, 43-58, 2007
    • 125 안형숙, "통합학급 유아교사의 통합교육 전문성 내러티브 탐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단국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126 이순자,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교직문화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 아교육연구, 14(3), 1-50, 2009
    • 127 서현,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사의 “2월의 교직문화”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 육학회지, 16(4), 523-551, 2009
    • 128 이화도, "Lacan의 주체형성에 대한 사유와 유아교육의 접점가능성",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 유아교육연구, 19(6), 1-20, 2014
    • 129 문정애, "Levinas의 타자윤리와 정의론 관점에 기초한 교육적 함의", 한국인격교육학회, 인 격교육, 10(3), 35-53, 2016
    • 130 정현주 ( Hyun Ju Jeung ), "초등학교 고령 여교사의 정체성 형성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 교육연구, 24(4), 375-395, 2011
    • 131 Hall, E. T., "침묵의 언어. (최효선 역, The Silent Language) 서울: 한 길사", (원전은 1959년 출판), 2013
    • 132 김경철, 김안나, "공립유치원 소인수 학급 교사의 교직 생활에 관한 연 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5(1), 1-34, 2010
    • 133 염지숙, "유아교사교육자의 교수실천 개선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유아 교육학논집, 21(3), 5-31, 2017
    • 134 최혜림, 임부연, "유아교사의 여성성 탐구: 돌봄과 해방 담론의 아이 러니",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6(5), 119-144, 2006
    • 135 정순경 ( Joung Soon-kyoung ), "유아교육자의 삶과 정체성의 변화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 유아교육연구, 21(6), 155-184, 2016
    • 136 조용환,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수업했다. 교육인류학의 눈으로", 교육인 류학연구, 17(4), 35-74, 2014
    • 137 강근화, "공 사립 유치원 교사의 역할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138 김희연, 오문자, "유아 교실에서의 교사 협력: 2교사제 교사들의 내러티 브",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4(4), 277-296, 2009
    • 139 최남정, "유아교사 학습공동체에 관한 연구: 심미교육을 중심으로", 부산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140 이혜상,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 유아교육연구, 10(1), 153-168, 2005
    • 141 김세영, 정광순, "초등교사의 입장에서 본 초등 교과교육과정의 내용구 조", 초등교육연구, 27(2), 27-51, 2014
    • 142 김도헌, "교육 분야 질적연구의 도구로서 사진에 관한 시론적 고찰",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 인류학연구, 19(2), 1-35, 2016
    • 143 임정원, 최기영,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의 역할 갈 등",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한국유아교육연구, 1, 125-150, 1998
    • 144 장명림, 서현, 최윤정, 조형숙, 이화룡, 신은수, 박은혜, 문미옥, 문무경, 김진영, 김은영, 우명 숙, 김영옥, 정미라, 이기숙, 조부경, "유아교육발 전 5개년 계획수립 정책연구. 교육과학기술부", 광주광역시교육청, 2013
    • 145 최진선, "유치원 교육에 관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인식과 기대 비교", 인 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146 조혜선, "유치원 교직문화 분석 -경력교사 10인의 인식을 중 심으로",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147 조용환, "학교 구성원의 삶과 문화: 교사와 학생. 그들은 행복한가?", 교육 학연구, 33(4), 77-91, 1995
    • 148 조선경, "대화모임에서 영아보육교사들의 삶과 정체성에 관한 탐구", 숙 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149 김경철, 김안나, "유아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이야 기",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한국초등교육, 21(1), 67-83, 2011
    • 150 이진화, 엄지원, "유치원 혼합연령학급 운영 실태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2), 253-261, 2016
    • 151 곽현주, 조형숙, 이원영, 박찬옥, 김정미, 구수연, "이승아 유치원 교사 의 지위향상과 위상강화에 대한 연구", 서울: 정민사, 2004
    • 152 오세경, "자연놀이를 통한 만 4세 유아의 사회적 행동변화 사례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 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153 Deleuze, G., "차이와 반복. (김삼환 역, Diff rence et R p tition) 서울: 민음사", (원전은 1968년 출판), 2015
    • 154 황해익,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변화",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생 태유아교육연구, 8(3), 29-50, 2009
    • 155 김현주, 이유진, "단일학급 병설유치원 교사의 직무수행 어려움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한국교육문제연구, 28(2), 13-33, 2010
    • 156 이승연, 유주연, "영아교사들이 경험하는 전문적 정체성의 혼란과 극복의 힘",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연구, 32(2), 257-288, 2015
    • 157 이점우, "한 60대 초등학교 여교사의 삶과 가르침-생애사적 사례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158 박정순,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교직 적응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159 이미경, 배지현, "자기성찰과정에서 나타난 햇빛어린이집 교사의 정체성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21(3), 281-313, 2016
    • 160 노진아, 류영지, "통합교육 연수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지 원요구", 한국특수아동학회, 특수아동교육연구, 18(2), 229-250, 2016
    • 161 김대훈(DaeHoon Kim), "상황학습이론에 근거한 지리교사의 성장과 정체성 형성 과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3(3), 115-126, 2015
    • 162 김명자, "유아교육기관의 질과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 163 김희선, "유아교육기관의 질적 수준이 유아의 인지활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 164 백은주, "유치원 초임교사의 어려움과 자아개념 및 조직풍토와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6(2), 27-46, 2006
    • 165 김정화, "유치원과 어린이집 원장의 생애사를 통해본 유아교육자의 삶",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166 Barthes, R., "텍스트의 즐거움. (김희영 역, (Le) Plaisir du Texte) 서 울: 동문사", (원전은 1978 출판), 1997
    • 167 김정인, 신창옥, "‘교사인가 도우미인가?’ 영어 비정규직 교사의 정체성 연구", Foreign Language Education, 21(4), 83-110, 2014
    • 168 박세원, "“교사의 교육 활동에서 내러티브 탐구 과정이 가지는 의미”",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 인류학연구, 10(1), 37-62, 2007
    • 169 손효영, 염지숙, "병설유치원 종일반교사의 딜레마 경험에 관한 내러 티브 탐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8(4), 101-126, 2013
    • 170 김화순, "유아교육기관 운영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기대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171 김우식,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교사의 직무성과의 관계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172 유은정, "전공의 벽을 넘어 온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의 정체성 형성과정", 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173 권진옥,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 과정: 근거이론적 접근",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174 김성희, 신현기, "Bollnow의 ‘교육자의 미덕’의 관점에서 교직의 삶에 관 한 연구", 열린교육연구, 24(4), 23-48, 2016
    • 175 유혜령, 이현주,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개념을 통해 본 어린이-교사 관 계론", 열린유아교육연구, 8(4), 293-315, 2004
    • 176 손원경, 정순경, "경력교사의 정체성 형성요소와 형성과정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열린부모교육연구, 8(3), 181-202, 2016
    • 177 김신영, "유아교육 현장에서 예비 유아교사들이 인식한 교사들의 어려움",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3(2), 27-45, 2003
    • 178 최남정(Choi Nam-Jung), 남다현(Nam, Da-Heun), 임부연(Lim Boo-Yeun),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어려움에 대한 유아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유아특수교육연구, 9(4), 1-24, 2009
    • 179 김대욱, "생애과정관점에서 본 한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직생애와 정 체성",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180 박남정, "자전적 이해로서의 교사 내러티브와 미술비평교육에 대한 재 고", 미술교육논총, 27(1), 261-292, 2013
    • 181 신교남, 이병승, "Heidegger의 존재론에 나타난 ‘본래성’의 의미와 그 교 육적 함의", 교육사상연구, 28(1), 233-259, 2015
    • 182 류해경, 황해익, "공립유치원 고경력 교사가 인식한 교직 갈등의 요인 및 갈등정도", 부산대학교 보육종합센터 영유아보육연구소, 영유아보육연구, 14, 1-18, 2008
    • 183 신주은, 이대균, "공립유치원 저경력 교사의 어려움과 그 어려움을 이겨 내는 과정",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1), 23-56, 2014
    • 184 김현주, "사립유치원 교사문화의 특질: 어느 사립유치원 교사들의 이야 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185 안현수, "「푸코 후기 철학에서 "주체성(subjectivite)"과 "진실(verite)"의 문제」", 한국동서철학회, 동서철학연구, 62, 191-209, 2011
    • 186 류미향 ( Mi-hyang Ryu ), "니체의 "어린이의 정신"을 통해 본 놀이중심 유아교육의 방향 탐구",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36(3), 538-559, 2016
    • 187 김희연, "실행연구자로서의 유아교사: 유아교사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일고", 유아교육연구, 24(6), 235-256, 2004
    • 188 신은경, "유아교육기관 경력교사 지원체제로서의 집단 멘토링의 의미 탐 색",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189 이정희, "생애이야기 속에 드러난 초등학교 중년 여교사의 삶의 고뇌와 성장",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190 오수진, 장영숙, "공립유치원교사의 교직 선택동기와 직무만족도 및 직무능력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1-24, 2011
    • 191 김지혜, "단일학급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에 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192 이소영, 임재택, "병설유치원 교사의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천 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생태유아교육연구, 8(1), 27-44, 2009
    • 193 주재홍, 김영천, "질적 연구의 지적 전통으로서의 포스트모더니즘: 그 방 법적 이슈들", 교육인류학연구, 15(3), 29-61, 2012
    • 194 김회용, 박선영,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구성방법:대화(Conversation)와 내러 티브(Narrative)", 한국교육철학학회, 교육철학연구, 49, 49-75, 2010
    • 195 이순자,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사의 교직생활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4), 77-106, 2000
    • 196 손지현 ( Ji Hyun Sohn ), 윤지영 ( Ji Young Yun ), "발도르프 습식수채화의 경험을 통한 초등교사 정체성 내러티브 탐구", 한국예술교육학회, 예술교육연구, 13(1), 55-76, 2015
    • 197 강재태, 정경애, "유아교육정책 변화에 따른 공립유치원교사의 교직생애에 대 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33(4), 169-195, 2013
    • 198 박세원, 장정임, 신은순, 신귀연, "이해의 선물: 인간이해․존재구성․관계 맺기를 위한 존재론적 탐구", 교육과학사, 파주: 교육과학사, 2013
    • 199 하은옥 ( Eun Ok Ha ), "유아교육기관의 조직 유효성 향상을 위한 감성역량 활용 가능성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8(2), 217-243, 2008
    • 200 이순자, "공립유치원 교사의 유치원 조직구조 유형에 따른 교직생활 특 성 탐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1-45, 2008
    • 201 김초윤, "미술과 수업비평 능력 발달에 관한 수석교사의 자전적 내러티 브 탐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202 이혜영,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지도성 지각에 관한 연구: 전북지역을 중 심으로", 이화여자대학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 203 황영미,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한국과 일본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 204 박세원, "존재론적 탐구로서의 저널 쓰기: 예비 교사의 자기 정체성형성 이야기",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23(2), 149-171, 2012
    • 205 김지현(Ji-Hyeon, Kim), 하정혜(Jung-Hye, Ha), "중년여성 한부모의 성역할갈등과 외상 후 성장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성연구, 90(1), 163-217, 2016
    • 206 전영국, 정현주, "초상화법으로 탐구한 중학교 교사의 정체성 및 비전에 관 한 인물 사례",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53(1), 127-142, 2014
    • 207 임민정 ( Min Jung Lim ), "포스트모던 텍스트로서의 질적 연구: 세 가지 이론을 통한 해체적 읽기",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36(2), 147-167, 2016
    • 208 김윤희, 황해익, "누리과정 이해와 실행에서 나타난 공립유치원 교사의 실천적 지식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19(4), 339-364, 2015
    • 209 조희수,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슈퍼리더십과 교사의 셀프리더십 의 관계",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210 최재섭(Jae Sub Choi), "한 은퇴 운동선수의 경력전환에 따른 정체성 변화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17(1), 63-102, 2014
    • 211 김나현, 신미선, "일반인이 지각하는 간호사 이미지- 주관적 이미지와 대중매체적 이미지-", 한국자료분석학회,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 4(2), 937-948, 2012
    • 212 임헤림, 이옥선,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로 살아가기: 한 여교사의 교육적 성장과 그 의미",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19(4), 115-143, 2016
    • 213 염지숙, "교육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6(1), 119-140, 2003
    • 214 소경희, 김정희, "교육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의의와 예술기반 연구로서 의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32(2), 21-40, 2014
    • 215 김희경, 이나래, "예비과학교사들의 직업적 정체성에 대한 탐색: 교육실습 과정을 중심으로",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교원교육, 30(2), 171-201, 2014
    • 216 나경희, "예비영어교사의 참관실습 경험을 통한 교사로서의 정체성 형성 과정 분석", 한국중원언어학회, 언어학연구, 38, 167-187, 2016
    • 217 강종구, "일반 중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이 인식하는 특수교사 정체성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4(3), 1-23, 2015
    • 218 하미용, "장애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가족생활경험에 관한 내러 티브 탐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219 염지숙, "내러티브 탐구에서 현장 텍스트, 중간 연구 텍스트, 연구 텍스 트 구성하기", 한국교육인류학회 하계워크숍, 24-25, 2017
    • 220 김상학, "들뢰즈의 ‘잠재적인 것’과 데이비드 카슨 작품의 창작 근원에 관한 연구", 조형미디어학, 19(3), 35-46, 2016
    • 221 Deleuze, G., Guattari, F., "천개의 고원. (김재인 역, Mille Plateaux: Capitalisme et Schizophr nie 2) 서울: 새물결", (원전은 1980년 출판), 2001
    • 222 유혜령, 정지숙, "Otto F. Bollnow의 교육 사상에 나타난 아동-교사 간 실존적 관계론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5(1), 78-89, 1996
    • 223 박세원, "왜 존재론적 탐구인가?: 탐구의 존재론적 자리매김과 탐구론적 전경 재구축", 한국교육인류학회 제 152차 월례발표회, 49-73, 2014
    • 224 오숙현, 이순자, "공립유치원 교사의 순환 전보제에 따른 근무지 이동 및 선택 관련 변인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2(2), 1-26, 2007
    • 225 이연선, "레지오유아교육기관과 생태유아교육기관의 교사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34(3), 85-110, 2014
    • 226 이윤경,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물리적 근무환경과 조직 헌신성과의 관계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18(1), 223-241, 1998
    • 227 장연주, 김경철,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사로 살아가기: 물리적 환경과 인적 환경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4(6), 511-537, 2009
    • 228 윤재흥, "타자 철학의 관점에서 본 Bollnow의 만남의 교육론 : 홀리스틱 교육과 관련해서",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홀리스틱교육연구, 12(3), 55-72, 2008
    • 229 김성숙 ( Sung Sook Kim ), 임부연 ( Boo Yeun Lim ), ""심미적 수업컨설팅을 통한 유아교사의 존재론적 ""되어가기(becoming)""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35(4), 397-424, 2015
    • 230 채선기, "십오통활 집단상담에 참여한 남자 중학생들의 삶의 경험에 대 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상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231 정혜승, "예비 초등교사의 정체성 딜레마: 국어과 심화 학생의 교육실습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한국초등국어교육, 45, 303-332, 2011
    • 232 김성숙, "차라투스트라의 시선으로 바라본 내러티브중심 이야기나누기 수업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1(5), 619-647, 2016
    • 233 홍영숙, "한국초등학교에서 비원어민 영어교사로 살아가기: 교사정체성 형성을 중심으로",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영어어문교육, 19(4), 427-453, 2013
    • 234 윤지혜, "‘훌륭한’ 교사의 삶에 관한 탐구: 한 중등 미술교사의 학습생애 사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19(3), 185-225, 2016
    • 235 강현석, "「교사의 실천적 지식으로서의 내러티브에 의한 수업비평의 지평과 가치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5(2), 2-35, 2007
    • 236 이승연, 장윤경, "경기도 1학급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운영 현황과 개 선방안에 대한 교사의 인식", 육아지원연구, 2(2), 113-136, 2007
    • 237 박민정, "내러티브란 무엇인가?: 이야기 만들기, 의미구성, 커뮤니케이션 의 해석학적 순환", 아시아교육연구, 7(4), 27-47, 2006
    • 238 권미경, "신자유주의 교육에 따른 학부모의 수요자 중심적 권리인식과 교사의 정체성 변화",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239 Fullan, M. G., Hargreaves, A., "학교를 개선하는 교사. (최의창 역, What's Worth Fighting for in Your School) 서울: 무지개사", (원전은 1996년 출판), 2006
    • 240 강기수, "O.F.Bollnow의 교육인간학에서의 교육자의 미덕에 관한 연구: 신뢰와 인내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연구, 20(3), 5-22, 2003
    • 241 김자영, "초등 교사의 수업 속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해- 초등 수학수업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16(1), 141-159, 2003
    • 242 심은주, "“쿠레레적 접근의 교사공동체를 통해 본 유아교사의 삶의 의미와 일터 영성의 변화.”", 부경대학교 대학원, 부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243 김찬종, 이선경, 유은정, "과학교사교육: 금O교사06B; 전공의 벽을 넘어 온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의 정체성 형성과정",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 학술 발표 및 세미나집, 50, 2009
    • 244 윤민아, "공립유치원교사가 육아휴직 후 복직한 첫 학기에 경험하는 교사로서의 정체성 형성 과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교원교육, 32(4), 127-160, 2016
    • 245 김혜선,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유치원 초임교사들의 교직 생활 이해- 네 교사의 교직 첫해 이야기",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연구, 22(2), 277-305, 2005
    • 246 염지숙 ( Ji Sook Yeom ), "유아교육연구에서의 내러티브 탐구: "관계"와 "삼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에 주목하기",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13(6), 235-253, 2009
    • 247 강현석, "합리주의적 교육과정체제에서 배제된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가 능성과 전문성의 재개념화", 교육과정연구, 23(2), 83-115, 2005
    • 248 박수미, "유치원 교사의 생애에 관한 연구 - 한 교사의 생애를 통해 본 유치원 교사의 발달과정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249 김회배, "수업체계 설계에 기초한 교실수업과정의 혁신방안탐색: 문화기 술적 연구 방법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
    • 250 김은희, "교육실습학기 교사론 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수업과 실습관련 내러티브 경험의 의미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22(1), 59-93, 2017
    • 251 정정훈, "교육과정 탐구주제로서의 자기 배려(self-care): 쿠레레(currere) 를 통한 자기이해(self understanding)",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문화연구, 2(5), 257-281, 2015
    • 252 이근호, "질적연구방법으로서의 현상학- 독특성과 보편성 사이의 변증법 적 탐구 양식- 교육인류학연구", 10(2), 41-64, 2007
    • 253 김재춘, 배지현, "들뢰즈의 인식론의 교육학적 의미 탐색 -인식 능력의 차이 생성이론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5(2), 239-265, 2012
    • 254 이미경 ( Lee Mi Gyeong ), 이시자 ( Lee Si Ja ), "실천공동체를 통한 초임기 공립유치원교사의 수업전문성 성장기-이야기나누기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255 박대원, "‘체육교육론’ 수업에서 예비교사가 되새기는 교육적 질문과 교 과 정체성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2(3), 51-78, 2015
    • 256 김석례, "교직전문성은 교사들의 삶을 어떻게 조형하는가: 초등교사의 자기개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16
    • 257 김미화, "교사인가, 미술가인가? : 미술가로 활동하는 초등학교교사의 정체성과 전문성에 대한 생애사적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11
    • 258 Giddens, A., "현대성과 자아정체성. (권기돈 역, Modernity and Self I -dentity Self and Society in the Late Modern Age) 서울: 새물결", (원전은 1991년 출판), 1998
    • 259 김현정, "공립유치원 교사가 인식한 현장 문제에 관한 연구: 문제발생 빈도와 어려움 정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00
    • 260 박찬국, "니체와 하이데거의 진리개념의 비교 연구: 니체의 인식론에 대 한 포스트모던적 해석의 비판을 통해서", 현대유럽철학연구, 31, 69-102, 2013
    • 261 이현주, 정가윤, 김효정, "과학교사들의 교사모임에의 참여경험과 교사 정체성 형성과정에 대한 탐색-실천공동체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 학교육학회지, 33(2), 390-404, 2013
    • 262 김지영, "과학적 선택적 교수적합화를 통한 실험교육이 정신지체 아동의 수업 참여행동,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263 Bandura, A.,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의 자기 효능감. (윤운성, 정정옥, 가경신 공역, Self Efficacy in Changing Societies) 서울: 학지사", (원전 은 1995년 출판), 2004
    • 264 Van Manen, "M. 체험연구-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방법론. (신경림, 안규남 공역,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서울: 동녘", (원 전은 1990년 출판), 1994
    • 265 윤대선, "다문화 공동체 사회의 갈등문제에 대한 철학적 이해 - 레비나 스의 소통과 책임의 윤리를 중심으로- 동서철학연구", 78, 71-92, 2015
    • 266 배지현, "들뢰즈 철학에서 ‘배움’의 교육과정적 함의 :배움의 우연성에 기 초한 대안적 교육과정의 개념 모색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30 (4), 1-27, 2012
    • 267 Palmer, P. J., "가르칠 수 있는 용기. (이종인, 이은정 공역, (The) Cou -rage to Teach: Exploring the Inner Landscape of a Teacher's Life) 서울: 한문화", (원전은 1997년 출판), 2011
    • 268 Derrida, J., "목소리와 현상. (김상록 역, (La) Voix et le Phenomene: Introduction au Probleme du Signe dans la Phenomenologie de Hu -sserl) 서울: 인간사랑", (원전은 1967년 출판), 2006
    • 269 Clandinin, D. J., "내러티브 탐구의 이해와 실천. (염지숙, 강현석, 박세 원, 조덕주, 조인숙 공역, Engaging in Narrative Inquiry) 서울: 교육 과학사", (원전은 2013년 출판), 2015
    • 270 정경애, "유아교육정책 변천에 따른 공립유치원 교사의 교직 생애에 관 한 연구: 유아교육정책과 공립유치원 교사의 교직생애를 중심으로", 경 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271 Polkinghorne, D. E., "내러티브, 인문과학을 만나다 (강현석, 이영호, 최인자, 김소희, 홍은숙, 강웅경 공역, Narrative Knowing and the Hu -man Sciences)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88년 출판), 2009
    • 272 Olsson, L. M., "들뢰즈와 가타리를 통해 유아교육 읽기. (이연선, 이경 화, 손유진, 김영연 공역, Movement and Experimentation in Young Children's Learning) 서울: 살림터", (원전은 2009년 출판), 2017
    • 273 Seidman, I.,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의 면담. (박해준, 이승연 공역, Int -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for Researchers in E -ducation and Social science)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6년 출판), 2009
    • 274 Berk, L. E., "생애발달 Ⅰ: 영유아기에서 아동기까지. (이옥경, 박영신, 이현진, 김혜리, 정윤경, 김민희 공역, Development through the Lifes -pan)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1998년 출판), 2009
    • 275 박세원, "초등학교 교사의 교사됨의 의미 형성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교사는 스스로의 언어로 아동과의 대화적 삶을 이야기하고 살 아내는 만큼 존재한다",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8(1), 233-259, 2010
    • 276 Davies, B., "어린이에게 귀 기울이기 ‘이기’와 ‘되기’ (변윤희, 유혜령, 윤은주, 이경화, 이연선, 임부연 공역, Listening to Children: 'Being' and 'Becoming') 서울: 창지사", (원전은 2014년 출판), 2017
    • 277 Clandinin, D. J., Connelly, F. M., "교사와 교육과정- 교사들의 경 험에 대한 내러티브. (강현석, 박민정, 소경희, 조덕주, 홍은숙 공역, T -eachers as Curriculum Planners: Narratives of Experience) 서울: 양서원", (원전은 2000년 출판), 2007
    • 278 Corbin, J., Strauss, A., "근거이론의 이해: 간호학의 질적 연구 수 행을 위한 방법론. (김수지, 신경림 공역, Basics of Qualitative Res -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서울: 한울아 카데미", (원전은 1996년 출판), 2008
    • 279 Clandinin, D. J., Connelly, F. M., "내러티브 탐구: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의 경험과 사례. (소경희, 강현석, 조덕주, 강민정 공역. Nar -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서 울: 교육과학사", (원전은 2000년 출판),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