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일본의 영업비밀보호제도의 개정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9-101(33쪽)
KCI 피인용횟수
3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일본에서는 “부정경쟁방지법”에서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들이 규정되어 있어 우리나라의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체계와 매우 유사하다. 일본도 영업비밀보호제도의 개정이 많이 이루어져 왔는데, 최근의 일본의 부정경쟁방지법상의 개정 내용이 오히려 우리나라의 부정경쟁방지법상의 영업비밀보호제도에 관한 일부 내용들을 벤치마킹하고 있는 모습도 보이지만, 전체적인 개정의 동향을 검토하여 보면, 일본 정부는 우리나라의 영업비밀보호제도상의 내용보다 더욱 강력한 제도의 도입을 통해 영업비밀에 관한 부정경쟁행위(우리나라에서의 “영업비밀 침해행위”에 해당)의 강력한 근절과 영업비밀보호의 실질적인 강화를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일본의 2015년 개정 부정경쟁방지법에서 도입된 내용으로서 영업비밀 침해에 의하여 생산된 물건의 유통에 대해서도 영업비밀 침해행위의 한 유형으로 신설한 것, 영업비밀의 침해에 대한 벌금형의 한도를 상향한 것, 영업비밀 침해에 의해서 얻은 범죄 수익을 임의적으로 몰수할 수 있도록 한 것, 영업비밀의 사용에 의한 생산 등의 추정을 적용하여 영업비밀 보유자의 침해행위에 대한 입증책임을 완화시키려고 한 것 및 영업비밀의 부정사용에 대한 금지청구권의 제척기간을 2배로 상향한 것 등은 우리나라의 부정경쟁방지법에서도 도입한다면 영업비밀의 실질적인 보호에 상당한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영업비밀에 대한 침해소송을 통해 사후적으로 영업비밀에 관한 분쟁을 해결하기 보다는 일본의 경우처럼 영업비밀의 사전적인 관리에 의해서 그러한 분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영업비밀관리지침”을 제정하는 것도 필요하다. 결국 일본의 영업비밀보호제도의 개정 내용들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영업비밀의 보호에도 도움이 되는 개정 내용들은 적극적으로 우리나라의 부정경쟁방지법에서도 입법화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Provisions for the protection of trade secret is contained within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in Japan and is very similar to Korean legal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trade secret. Trade secret protection system in Japan revised many times and on the one hand contents on the latest revision of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have benchmarked partial contents of Trade secret protection system in Korean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But on the other hand, reviewing the overall trends, Japanese government has pushed actively policies for preventing powerfully acts of unfair competition against trade secret(“acts of the infringement of trade secret” in Korea) and strengthening the protection of trade secret substantially by accepting more powerful system than that of Korea. Especially, Japanes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revised in 2015 includes setting the distribution of things produced by the infringement of trade secret as a category of the infringement of trade secret, raising the maximum limit of monetary penalty applied by the infringement of trade secret, confiscating randomly criminal proceeds acquired by the infringement of trade secret, relaxing the burden of proof of owners of trade secret in the infringement of trade secret by applying presumption of production, etc. through the use of trade secret and doubling the period of exclusion of the right to request prohibition of the infringement of trade secret against the unfair use of trade secret. And it will be considerably effective for the substantial protection of trade secret in Korea that Korean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accepts the above contents of Japan. And it is also necessary that Korean government makes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Trade Secret, which will not settle disputes afterhand by the infringement lawsuit of trade secret but prevent disputes about trade secret beforehand as the case of Japan.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hat Korean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accepts actively those of japanese system that can help the protection of trade secret in Korea by analyzing the revised contents of the trade secret protection system in Japan.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4 | 0.34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1 | 0.31 | 0.412 | 0.2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