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 활동을 강조한 수학학습이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의 연산능력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mathematics learning emphasis on pair-activity play on operation ability
저자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2004. 2
발행연도
2003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KDC
375.2 판사항(4)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viii, 134p. : 삽도 ; 26cm.
일반주기명
부록수록
참고문헌: p. 77-84
소장기관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의 수학학습에 있어서 다양한 놀이 학습 방안을 모색하고 놀이 활동을 강조한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인지적 측면에서 연산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는 고학년 아동들의 수학학습에 대한 어려움의 원인을 설명식·주입식 수학교육, 과정보다 결과를 중시하는 단순 문제풀이식 수학교육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놀이를 통해 수학에 대한 동기와 호기심을 유지하고 짝활동 중심으로 하여 짝끼리 연산상의 오류를 서로 교정해주어 상호작용학습이 가능하게 하며 수학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는 학습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초등학교 수학교육에서 놀이 활동이 가능한 여러 가지 놀이 요소를 분석하고 놀이를 강조한 활동 중심의 학습 방안을 개발하였고,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하고 적용하여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의 연산능력을 향상시키는지 분석해 봄으로써 본 학습 방안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 문제는 놀이 활동을 강조한 수학학습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수학학습을 실시한 비교집단간의 연산능력이 단원별(소수의 곱셈, 분수의 나눗셈, 소수의 나눗셈)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또 학업성취 상, 하 집단별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서초구 B초등학교 5학년 중 2개 학급을 연구 대상으로 선택하고 한 반은 실험집단으로, 다른 한 반은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6주간 13차시에 걸쳐 실험집단은 놀이 활동을 강조한 수학학습을 짝활동 중심으로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제7차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의한 일반적인 수학학습이 이루어졌다. 놀이 활동을 강조한 수학학습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두 집단을 대상으로 동질성 검사를 실시한 후 통계적으로 동질하다고 판단하였고, 놀이 활동을 강조한 수학학습을 실시하고 사후에 연산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교사의 관찰일지와 아동의 소감문, 평가지에 기록된 내용과 실험집단의 면담을 통해 구체적인 사례를 수집·분석하였다.
그 결과 놀이 활동을 강조한 수학학습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경우 연산능력에서 평균 점수가 비교집단보다 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수와 연산 영역의 단원별(소수의 곱셈, 분수의 나눗셈, 소수의 나눗셈) 연산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학업성취 상, 하 집단별 연산능력은 상위(약 30%)집단과 하위(약 30%)집단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놀이 활동을 강조한 수학학습은 인지적 영역에서 연산능력을 향상시키는 학습 방법으로서 효과가 있었다. 이는 놀이를 통해 수학적 사실과 개념 및 원리를 활용하여 기능을 숙달하고 수학에 대한 동기와 흥미를 유지하며 짝끼리 연산상의 오류를 서로 교정해주는 상호작용학습이 가능한 교수-학습 방법의 결과라고 보여진다. 또한 관찰 및 면담 자료를 통해 고찰했을 때 놀이 활동을 강조한 수학학습으로 학습동기 유발, 동료애 향상, 적절한 경쟁심 유지, 자신감 증가로 학습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하겠다.
그러나 이상의 연구결과는 단기간 실시하였고, 초등학교 5학년 아동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와 연산영역에만 국한하여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으므로 이를 일반화시키는데 있어 한계가 있다. 따라서 놀이 학습 프로그램이 교육과정에 좀 더 체계적으로 반영될 수 있고 타 학년에 대해서도 많은 놀이 활동이 개발되어 놀이 학습의 효과를 다양한 측면에서 검증할 수 있도록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일선에 있는 교사들이 아동의 수준에 맞는 놀이 활동을 개발하고 놀이를 활용한 수업이 수학교과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지속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연구·연찬해야 하며, 동학년 단위나 학교 단위 나아가 시도 교육청 단위의 놀이 자료 개발 지원이 필요하다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improve operation ability in the cognitional aspects through the emphasis of pair-activity play in mathematics learning. Mathematics education which is based on explaining, cramming and simply solving to attach greater importance result than process makes high grade students feel difficulties about mathematics learning.
In this thesis, I analyzed various play factor which can be act with a pair-activity and made a activity learning program with games which stress the pair-activity play. This learning method was applied for fif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o analyze know the effects on operation ability.
This study was to designed to know differences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operation ability (multiplication of decimal, division of fraction, division of decimal).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I selected two classes of fifth grade classes where is at B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cho-Gu,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mathematics learning by pair-activity play of 13th times for 6 weeks and the control group was given mathematics learning with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s. Both groups took tests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 group in operation ability were compared.
As a result, the averag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better than control group and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However, there was not a meaningful difference when I compared average in each unit. A meaningful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high(about 30%) group and low(about 30%) group.
In conclusion, mathematics learning emphasis on pair-activity play improved operation ability in the cognitional aspect. As well as, in definite aspect, mathematics learning emphasis on pair-activity play is effective method to improve learning attitudes because it increased a learning motivation, a fellow feeling, desire for success, self-confidence decreased fear about failure.
However, this test was limited to short time, only fifth grade student and operation part. Finally this study will suggest more studies to apply mathematics learning emphasis on pair-activity play at oth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은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제14조(추가적 이용·제공 판단기준)
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
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학술데이터본부 정광훈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