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중동평화협상과 미국의 역할 = The Middle East Peace Negotiations and the US
저자
신성호 (서울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97-134(38쪽)
KCI 피인용횟수
3
제공처
소장기관
The Israel-Palestine conflict has evolved around many actors. It includes neighboring arab countries, the general arab world, and Israeli settlers in the occupied territories as well. The complex dynamics of interaction among and within these various actors creates fundamental challenges for the efforts for the Middle East peace. And the challenges are even more complicated by a myriad of issues involving territorial, national, ethnic, religious, and socio-political conflict among those actors. After three major wars between Israel and neighboring Egypt, Jordan, and Syria, there have been efforts to make a peace in this region. The United States has led the difficult peace negotiations since the 1978 Camp David Talks initiated by President Jimmy Carter. Since then Israel made a peace agreement with Egypt and Jordan, and agreed to a two state solution acknowledging the Palestinian authority. Yet, each agreement had to experience a set back and the challenge of implementing the deal. In particular, the Israeli settlers inside supposedly Palestinian territory of the West Bank has become a major obstacle to the two state solution as they refuse to evacuate from the land they claim their home after decades of settlement. The division among the moderates and the conservatives in Israeli domestic politics makes the issue very much contentious. Add to that, the infight over Palestine leadership between Hamas in Gaza Strip and the Palestine Authority led by President Mahmoud Abbas in the West Bank further acerbate the conflict. The involvement of foreign influence, in particular, by the Syrian and the Iranian government makes the situation even more complicated. As a result, the US role in peace negotiations has been limited at best.
더보기흔히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간의 갈등으로 알려진 중동분쟁은 보다 복잡한 주체와 갈등의 요소들이 난마처럼 얽혀있다. 갈등의 주체인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을 둘러싸고 다양한 입장의 주변 아랍국과 팔레스타인 자치지역 내 이스라엘 정착민이 또다른 갈등의 축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들 각기의 주체 역시 내부적으로 강온파를 비롯한 다양한 세력으로 나뉘어 복잡한 역학관계를 형성한다. 여기에 영토나 종교문제 등 근본적으로 타결하기 힘든 상황에 덧붙여 각 이해 당사자들 간 혹은 자체내부의 다양한 국내정치, 경제, 사회문제를 둘러싼 세력다툼까지 얽히면서 이 지역을 평화는 여전히 요원해 보인다. 문제는 이 지역의 문제가 석유, 종교, 테러등과 결부되어 국제정치의 핵심으로 등장하면서 미국을 포함한 세계가 더 이상 이들의 분쟁을 외면할 수 없다는 것이다. 당사자들 역시 피의 보복과 갈등의 악순환을 더 이상 계속할 수 없다는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평화를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국제사회가 중재자의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미국은 국제정치의 주도국으로 1978년 캠프데이비드 협상을 시발로 이스라엘과 주변 아랍국 및 팔레스타인사이의 평화협상에 적극적으로 나서왔다. 그 결과 여러 어려움 속에서도 이스라엘과 이집트, 요르단 간에 평화협정이 체결되었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이에도 두 국가 평화적 상호공존을 원칙적으로 합의하는 선까지 진전이 이루어졌다. 문제는 이러한 원칙적 합의에도 불구하고 그 실행이 여전히 어렵다는 현실이다. 특히 양자내부의 강경파가 득세하면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간의 폭력과 보복의 갈등은 지속되고 있다. 9/11 이후 테러와의 전쟁 속에 중동에 널리 퍼진 반미감정을 순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중동평화에 대한 미국 정부의 새로운 노력이 시도 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이 원래 분쟁의 원인 제공자가 아닌 제3자적 입장, 협상의 실천이 당사자에 의해 결정될 수밖에 없는 구조, 그리고 분쟁의 뿌리가 수천 년에 걸쳐 형성된 종교적, 인종적, 민족적 갈등에 있다는 점 등에서 미국의 중재노력은 많은 한계를 가진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 | 0.37 | 0.67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