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방과후학교 강사의 사회적 관계 연구 : ‘고용 불안과 저임금’의 노동 특성과 일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The Research of After-school Instructors’ Social Relations : Focusing on Labor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Insecurity and Low Wages’ and Perceptions of After-school Instructor’s Job
저자
문지선 (한국고용노동교육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03-146(44쪽)
제공처
소장기관
이 글은 2026년 돌봄과 교육을 통합한 초등 늘봄학교의 전 학년 시행을 앞둔 과도기인 현재, 방과후학교 강사들이 여러 사회적 관계에서 겪는 ‘고용 불안과 저임금’의 노동 특성을 분석하고, 이러한 노동 경험이 방과후강사 일의 인식에까지 작용함을 밝혔다. 방과후학교 강사는 학생 및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교육자로서의 보람과 성취감을 느끼지만, 계약관계를 비롯해 학교장과 방과후부장, 업체, 심지어 정부와는 ‘임의적인 계약서 변경 등 방과후학교 운영의 불합리성 ’, ‘과도한 행정 업무 등 저임금 체감도를 높이는 의무와 권리의 불균형’, ‘업체의 불법행위’, ‘늘봄학교 이행의 과도기 속 존재감의 상실’ 등을 겪으며 방과후학교 강사 일의 ‘고용 불안과 저임금’ 특성을 체감했다.
또 코로나19 이후 남성이 소득 저하에 민감해지면서 여성과 달리 방과후강사 일을 더 여성화하는 등 남성을 중심으로 방과후학교 강사직의 젠더화된 인식이 강화되는 성별 인식차도 생겼다. 그러나 막상 방과후학교 강사직은 임신 등 여성의 생애과정에 우호적이지 않아서 가임기이거나 미취학 자녀를 둔 젊은 여성일수록 고용 불안정성을 크게 느끼는 것이 실상이었다. 더욱이 코로나19 이후 방과후강사직의 인식이 변화된 남성을 시작으로 방과후학교 강사들이 노동시장을 이탈할 위험도 컸다. 따라서 방과후교육 주체인 방과후학교 강사에 더 많은 정책적, 제도적 관심이 필요하며, 늘봄학교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서라도 ‘지역늘봄협의체’ 등 늘봄학교 정책 협의 기구에서부터 이들을 포함해 함께 논의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This article analyzed after-school instructor’s precarious labor experiences of the 'employment insecurity and low wages' in various social relations, and investigated these insecure labour experiences affect perceptions of their jobs. They felt satisfied as educators in the relations with students and parents, but they experienced the precariousness in the relations with contractual relationship, school principals and after-school management teachers, subcontractors, and even the government.
But male were more sensitive to the low income caused by COVID-19 and considered their jobs as ‘suitable for women’ unlike female, so there was a gender gap in perceptions of their jobs. While after-school teaching jobs are regarded as favourable to female for Work and Life Balance, young women felt employment insecurity because of its not friendly labour environment to women’s life course. There was also a concern that the labor market dropout of after-school instructors will increase, starting with men. Thus, more policy and institutional attention needs to the after-school instructors,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include them in after-school policy consultation bodies such as the ‘local Nulbom School council’.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