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張心學의 「文鰩傳」 연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5-88(24쪽)
제공처
「文?傳」은 江海 張心學(1804~1865)이 그의 나이 57세(1861)에 쓴 복합적 성격의 가전 작품이다. 저자 장심학은 학문으로 영남에서 이름이 높았으나 과거에 급제하지 못했다. 결국 49세에 이르러 무과에 급제해 무관직을 두루 거친 특이한 이력을 지닌 분이다.
작품의 대략적인 경개는 文?魚가 번번이 龍門에서 미끌어지자 鵡로 변신하여 새들의 벼슬아치 수장인 鵬과 그 변신에 대해 문답하고 결국 새들의 조정에서 武官의 벼슬을 받는다는 내용이다. 분량은 47면 9200여자로 기존 가전에 비해 대폭 확대된 편폭을 지니고 있다.
작품의 주인공인 文? 혹은 鵡는 작가 자신의 托物이며 文?에서 鵡로의 변신은 무과에 급제한 反文入武의 인생역정을 형상한 것이다. 또 작품에 길게 삽입된 鵬과 鵡의 문답을 통해 작가 자신의 反文入武에 대한 소회와 의견을 표출하고 있다.
결국 이 작품은 드러내고 싶지 않으나 자신의 이력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무과급제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하기 위해 쓰였다. 그를 위해 托物을 통한 우언 글쓰기, 問答을 통해 의견과 느낌을 전하기 등 기존의 서사수법을 변용해 사용했다.
「MunYoJeon」 is a pseudobiography(假傳) written by Zhang SimHak(張心學, 1804~1865) when he was fifty seven. Zhang SimHak was known as a renowned scholar in YeongNam provice, but it was difficult to pass Kwageo(科擧,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He failed the exam for civil service post several times, but in the end, he succeeded passing in the MuKwa exam(武科,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at forty nine years old.
The outline of the work is of MunYo-Fish(文?魚) turning into a parrot because of the disappointment of failing the civil examination. In this work, he held a dialogue about his transformation with the bird's captain Woo Zhang(羽長). After this talk, he took a military office position of the bird land government. ?MunYoJeon? is forty seven pages long and consists of nine thousand two hundreds of Chinese characters. It is known as the one of the lengthest pseudobiographys in Korean history.
The main character, which is both MunYo-Fish(文?) and a parrot(鵡) could be described as a self-reflective situation of himself. And the thransformation from being a fish to a bird represents his life passing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instead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He represents his impressions and opinions through the conversation with Woo Zhang(羽長).
Zhang SimHak wrote this work in order to explain his career passing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through his literature. He tried to change the narrative method of using an allegory of self-reflection, and using the dialogs of questions and answer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