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조선시대 관청 제명기(官廳 題名記) 창작의 시대적 맥락 = On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he government official’s list in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preface(序跋) and the statement(記文)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9-156(38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This paper is a new attempt to read the creation traditions and tendencies of the government official’s list(Ti ming-Ji, 題名記) in the political and social contexts of the time in the Joseon Dynasty. In contrast to the private association of the bureaucrats, Ti ming-Ji is the official record of former and present government officials. And it emphasizes collective identity as bureaucrats.
In order to grasp the contextual context, I first surveyed the present state of creation of Ti ming-Ji during the entire period of Joseon and listed it in the order of the times. And that the genre source is in the Ti ming-Ji of the Song and Won(宋元) Dynasty.
There are two main aspects of the change. First in Early Joseon, it is emphasized that the Joseon dynasty secured new talents based on academic achievement and personality in order to overcome the Emperor of the Goryeo period and to succeed the transplantation of the Joseon political order. This means that the adjustment is precise and accurate. It is also a pride that Joseon's politics has already established a rational system. In particular, senior bureaucrats encouraged lower-level officials to recognize the historical evaluation, and if they supported the king, they would be rewarded through promotion. This is characterized by a sense of systematic order that drives the self-control and growth of new officials.
After the middle of the Joseon, it is emphasized that damaged records should be restored and rebuilt through the war. It also shows a tendency to record the repair process in detail. And as the central government's maintenance has been completed, the literary subject is changed by local government. In this process, it emphasizes the political commitment that the leaders should play a role in fully communicating the edification of wages in the provinces in relation to the central government.
The creation of Ti ming-Ji until the Joseon dynasty was made mainly by the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individuals who worked at the relevant government offices. On the other hand, since the mid-Joseon Dynasty, the making of the Ti ming-Ji in the province tends to be made in earnest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information and to secure the standard of the local government through revising the practice of the old one.
Lastly, in the late-Joseon, there is a tendency to inherit the creation traditions of early Chosun and the Middle Age. And both the object of creation and the object of reception were expanded from gentry to the middle class.
Ti ming-Ji emphasizes the identity of ‘politician’, especially based on hierarchical order. In addition, it reveals that the political order must be fully operated by each individual position at a given location. Therefore, the production of the Ti ming-Ji is a characteristic genre that was inevitably prevalent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new political order by Joseon Dynasty.
이 글은 조선시대에 중앙조정과 지방의 관청(官廳)에서 제작된 제명기(題名記)를 대상으로 그 창작 전통과 경향을 당시의 정치․사회적 맥락에서 읽어내려는 시론(試論)이다. 사대부 관료들의 사적(私的) 연대인 계회(契會)와 달리, 제명기는 관청의 전․현임 근무자들의 공적 기록이자 관료로서의 집단적 정체성이 강조되는 자료로서 주목을 요한다.
조선 개국 이후부터 후기까지 창작된 제명기의 통시적 변화 양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먼저 조선 전기에는 고려시대의 유제를 극복하고 『경국대전』으로 표상되는 조선적 정치질서의 성공적 이식을 위한 질서의식이 강조된다. 학업과 인품에 기반을 둔 새로운 정치 인재상을 서술함으로써 조선의 인선(人選)이 엄밀하고 정확함을 과시하는 한편, 이미 조선의 정치가 합리적인 시스템을 구축하였다는 자부심을 표출하였다. 특히 사대부 고위 관료들이 하급 관원들을 대상으로 한 작품에서는 후인(後人)들의 역사적 평가를 엄중히 인식하며 왕화를 보좌한다면 훗날 승진을 통해 그것을 보상받을 것이라고 독려함으로써 신진 관리들의 자기통제와 성장을 추동하는 계서적 질서의식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조선 중기 이후에는 병란을 거치며 인멸된 기록을 복구하고 재구축해야 한다는 의식이 지속적으로 강조되는 한편 그 보수(補修)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기록해두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중앙관청의 정비가 일단락됨에 따라 지방 통치로 시선이 전환되고 있다. 여기에는 중앙조정과의 관련 속에 수령들이 지방에서 조정의 교화를 온전히 전파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정치적 사명감이 강조되어 있다. 조선 전기까지의 제명기 창작이 주로 해당 관청에 근무하게 된 개인들이 필요성을 자각하여 이루어진 것이라면, 조선 중기 이후 지방에서의 제명록 제작은 향리가 축적해온 구안(舊案)의 관행을 전면 수정하여 정보의 정확도를 높이고 이를 통해 지방 통치의 준거를 확보하려는 의지에서 제도적․본격적으로 제작이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그밖에 조선 후기의 제명기는 조선 전기와 중기 제명기의 창작전통을 그대로 계승하는 경향이 현저하되, 창작의 주체와 수신의 대상 모두 사대부에서 중인층으로 확대되었다.
제명기는 위계적 질서에 입각한 정명 사상을 바탕으로 ‘정치인’이라는 정체성을 강조하고 있고, 각 개인이 정해진 위치에서 주어진 직분을 다함으로써 정치적 질서가 완전하게 운영되어야 한다는 주제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제명기는 제작 자체가 하나의 제도이자 문학적 결과물로서 조선이 새로운 정치적 질서를 구축해 나가는 과정에서 필수불가결하게 산생될 수밖에 없었던 장르라고 할 수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3 | 0.73 | 0.6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6 | 0.55 | 1.521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