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남공철(南公轍)의 연행(燕行) 체험과 대청의식(對淸意識) =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Yeonhaeng燕行 and the viewpoint of the Qing of Nam Gongcheol南公轍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03-232(30쪽)
KCI 피인용횟수
4
제공처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Nam Gongcheol(1760~1840) when he visited the Qing Dynasty in 1807 and the perception of the Qing Dynasty of him. In the course of 1807, Nam Gongcheol received his preface to prominent figures of the Qing such as Cao Jiang曹江, Li Linsong李林松, and Chen Xizu陳希祖, and was included in his collection of works published in 1815 by himself. Among them, especially, Cao Jiang was already known among the intellectuals of Joseon, so Nam Gongcheol visited Cao Jiang without hesitation. In Beijing, too, Nam Gongcheol met directly with the Zhu Yuren猪裕仁 and Wu Siquan吳思權. He also left a record of the meeting with Ryukyu琉球 ambassadors.
Because all of the preface was wrote by descendant of the people of Ming明, Nam Gongcheol set them in his anthology as a preface. In addition, Zhu Yuren褚裕仁 and Wu Siquan吳思權 were all descendants of the Ming明, Nam Gongcheol felt strong sympathy for them. Such consciousness of conscience was expressed by the discrimination against Man people滿人 and Han people漢人.
It is surprising to note that Nam Gongcheol, who was once enthusiastic with the school to learn the Qing Dynasty such as Park Jiwon, Yu Deukgong, and Park Jaega, however, he basically was lied in the background of the family and the political background that can not throw up the Daemyung loyalty大明義理論. It was perhaps natural that his father, Nam Yuyong, had written a history of Ming明, and that emphasized the faithful to Daemyung loyalty. In addition, most of the Joseon intellectuals at that time, in spite of the craze to learn the civilization of Qing Dynasty, could not deny the Daemyung loyalty actively. Yi Dukmu who closely cooperated with Nam Gongcheol, also had a great interest in the descendant of Ming people.
As well known, Nam Gongcheol was a eclectic for Han Methodology漢學 and Song Methodology宋學. However, accepting the merits of Han Methodology漢學 is to relativize Song Methodology宋學, which is contradictive to the Daemyung loyalty, which had been weakened from the beginning. The reason why Nam Gongcheol, who had this self-contradiction, did not give up the Daemyung loyalty until the end was the courtesy to Ming people and the compassion for them through discrimination.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Daemyung loyalty can be said to show the deep self-contradiction of the intellectuals who could stand up at the final stage of Daemyung loyalty in the early 19th century. They acknowledged the merits of Han Methodology漢漢, which was to relativize the orthodox Neo-Confucianism. However, as the Daemyung loyalty was based on the orthodox Neo-Confucianism, they did not give up the that by expressing sympathy for the descendant of the people of Ming明. Because of his family background and political status, it seems that Nam Gongcheol was forced to ignore the advanced artifacts of the Qing Dynasty while experiencing the journey to the Qing Dynasty.
본고는 남공철(南公轍, 1760~1840)의 1807년 연행 체험과 청에 대한 인식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남공철은 1807년 연행 과정에서 조강(曹江), 이임송(李林松), 진희조(陳希祖) 등 청(淸)의 명사들에게 자신의 시문을 보이고 서문을 받아와 1815년 자신이 직접 편찬하여 인행(印行)한 문집 『금릉집(金陵集)』에 수록했다. 이들 중 특히 조강은 이미 조선 문사들 사이에 이름이 알려져 있었기에 남공철은 서슴없이 조강을 찾았던 것이다. 또한 북경에서 남공철은 저유인(猪裕仁)․오사권(吳思權)과 직접 만나 필담을 나누기도 하였다.
남공철이 자신의 문집 서문으로 조강․이임송․진희조의 것만을 수록한 이유는 이들이 모두 명(明) 유민(遺民)의 후예인 한인(漢人)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직접 만나 교유한 저유인이나 오사권 역시 명 유민의 후예로, 남공철은 이들 명 유민의 후예에게 강한 연민의식을 느끼고 있었다. 그러한 연민의식은 그의 대명의리론과 결부되어 만한(滿漢) 차별론으로 표출되었다.
한때 박지원, 유득공, 박제가 등과 같은 북학파들과 활발히 교유하고 고동서화 취미에 열성적이었던 남공철이 청의 문물을 배워야 한다는 논의는 고사하고 오히려 만한 차별론을 내세워 애써 만청(滿淸)을 부정하려 했다는 사실은 의외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는 기본적으로 대명의리론에 충실할 수밖에 없는 가문적, 정치적 배경에 놓여 있었다. 부친 남유용이 남명(南明)의 역사를 정통으로 하여 명사(明史)를 다시 써 『명서정강(明書正剛)』을 편찬하고 대명의리론을 강고하게 내세웠던 점을 생각하면 남공철의 ‘만한 차별론’이 난데없는 것도 아니었다. 또 남공철이 친밀하게 교유한 이덕무(李德懋) 또한 명 유민에 대한 관심이 컸던 점, 당시 대부분의 조선 지식인들은 북학의 열풍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 대명의리론을 적극적으로 부정할 수 없었다는 점 등도 남공철의 대청의식(對淸意識)에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남공철은 한송절충론자(漢宋折衷論者)였다. 그러나 한학의 장점을 받아들인다는 것은 송학을 상대화하는 것, 즉 더 이상 주자 학설의 절대성이 담보되지 못하는 것으로, 이는 다름 아닌 주자의 명분론에 기반한 대명의리론의 약화 소지를 애초부터 안고 있는 것이기도 했다. 즉 대명의리론을 내세우면서 동시에 한송절충론을 내세우는 것은 자기 모순적인 것이었다. 이러한 자기 모순을 안고 있던 남공철이 끝까지 포기하지 못한 대명의리론은 만한의 차별을 통한 명 유민에의 예우 내지 그들에 대한 연민의식으로 나타났다. 청의 문물을 받아들이자는 북학론자들도 대개는 대명의리를 부정하지 못했다. 그러나 북학과 대명의리 또한 모순되는 것이기에 그들이 취할 수 있는 것은 대명의리를 거론하지 않거나 소극적으로 거론하는 것이었다. 이것이 한송절충론과 북학 논의가 활발해지던 18, 19세기 상당수 조선 지식인들이 취할 수 있는 입장이었다.
남공철이 연행한 후 15년이 지난 1822년, 추사(秋史)의 족숙(族叔) 김노겸(金魯謙)은 연행하는 족질(族姪) 김명희(金命喜)에게 연행과 관련하여 재고해야 할 점들을 정리하여 서문을 써준다. 이는 당시 연행 풍조에 대한 반성임과 동시에 19세기 초반에 취할 수 있는 대명의리론의 향방을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다는 점에서 남공철의 연행 체험 및 그의 대명의리론에 견주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서문에서 김 ...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3 | 0.73 | 0.6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6 | 0.55 | 1.521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