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통증의 신경정신의학적 측면 = Neuropsychiatric Aspects of Chronic Pain
저자
노승호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510.0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5-28(14쪽)
제공처
만성 통증은 통증이 6개월 이상 지속되지만 조직의 손상은 수반되지 않으며 원인을 밝혀 교정하려는 치료적 노력에 잘 반응하지 않는 특성을 가진 증후군이다. 이러한 통증은 두통, 요통, 관절염, 암, 그리고 여러 정신장애들 즉, 주요우울증, 불안장애, 신체형장애, 건강염려증, 신체형 동통장애 등에서 흔히 나타난다.
만성 통증은 의학적 치료 방법을 동원하거나 시간이 흘러도 지속된다. 환자뿐만 아니라 의사도 왜 통증이 발생하고 지속되는지에 대해서 만족스러운 설명을 하지 못 한다. 만성 통증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떤 경과를 밟을 것인지에 대해서도 알려져 있지 않다. 신체 검진과 진단적 검사에서 드러난 생리학적, 해부학적, 생화학적 병리는 통증의 원인을 밝혀 내는데 충분하지 못 할 때가 많다.
만성 통증 환자들에서 자율신경의 과도한 활동은 나타나지 않지만 수면 장애, 식욕과 체중의 변화, 성욕 및 정력 감되, 집중력 저하, 자극과민과 같은 신경식물 증상들을 나타낸다. 그러한 환자들은 흔히 통증의 원인을 해소시키기 위한 내과적, 외과적 치료를 여러 차례 받은 병력을 가지고 있다. 그에 따른 정서적 고통, 가족 생활의 어려움, 경제적 곤란과 계속되는 통증에 수반되는 생활 양식의 변화들은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환자가 만성 통증으로 고통받는 기간이 길면 길수록 심리적, 사회적 요인이 이 증후군의 경과에 더욱 더 큰 영향을 주게 된다. 만성 통증이 지속되면 환자는 자극에 대하여 과민해지고 사회생활에서 철퇴하고 점점 더 활동이 줄어들게 된다. 정서적 고통, 활동 저하, 사회적 고립이 진행되면서 환자들은 그들의 통증이 중병에서 기인한 것으로 믿게 된다. 만성 통증환자들을 이러한 비정상적인 질병 행동의 개념을 가지고 접근하면 도움이 될 수 있다.
Chronic pain is usually defined as pain which lasts more than 6 months and does not indicate ongoing tissue destruction. Efforts to identify and correct causative pathology are often not beneficial. Chronic pain occurrs most commonly in headache, back pain, arthritis. cancer, and certain psychiatric disorders, such as major depression, anxiety disorders, somatoform disorders, hypochondriasis, and psychogenic pain disorder.
Chronic pain persists despite the intervention of medical treatment and the passage of time. Patient and physician alike are unable to give a satisfactory explanation for the presence and continuation of the pain. The time course of chronic pain is unknown. The physiological, anatomical, and biochemical pathology identified by physical examination and diagnostic tests usually do not adequately uncover the cause of pain.
Patients with chronic pain display little automatic hyperactivity. They exhibit neuro-vegetaitve symptoms such as disturbed sleep, altered appetite and weight, decreased libido and energy, diminished concentration, and irritability. Such patients usually have a history of multiple medical and surgical interventions aimed at relieving the cause of the pain. The associated emotional distress, family disturbance, economic hardship, and altered life style secondary to the persistent pain become significant problems in themselves. Generally, the longer a patient suffers from chronic pain, the more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influence the course of the syndrome. In addition to exhibiting increased irritability, chronic pain patients show signs of social withdrawal. They become increasingly inactive as their pain persits. In addition to the emotional distress, inactivity, and social isolation experienced by these patients, they often believe that their persistent pain arises from a serious disease. It may be useful to view the disability of patients with chronic pain as a form of abnormal pain behavior.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