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갑오개혁(1894) 이후 民狀의 양식과 성격-1897년 경상북도 김산군 민장을 중심으로- =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civil petition(Minjang) after the Gabo Reform of 1894-Focusing on the Minjang of Gimsan-gun, Gyeongsangbuk-do in 1897-
民狀이란 조선시대 民人들이 수령에게 올린 소장이나 청원서, 보고서 등을 가리키는 말로 民訴 또는 所志라고 한다. 민인들이 올린 소지의 개요와 그에 대해 관이 내린 題辭를 책자의 형태로 置簿한 것이 民狀置簿册이다. 민장과 민장치부책에는 백성들이 겪고 있는 다양한 사회문제가 내포되어 있으며 이에 대처하는 관의 입장이 드러나 있다. 관에 대한 백성의 요구, 백성과 백성 사이의 갈등으로부터 당시 지역 사회의 문제점이 가감 없이 드러날 뿐만 아니라 관의 제사를 통하여 소송의 실체와 재판 절차를 확인할 수도 있다. 민장과 민장치부책은 조선 초부터 일제에게 사법권을 박탈당할 때까지 작성되었다. 갑오개혁 이후 「재판소구성법」으로 사법권이 독립되었다. 하지만 행정 권력으로부터 완전히 독립한 것은 아니었다. 김산군 민장은 군수․관찰사 등 지방관이 사법 업무를 관장하는 구래의 재판제도가 갑오개혁 이후에도 그대로 유지되었음을 보여준다.
더보기Minjang(民狀) which referred to as ‘Minso(民訴)’ or ‘Soji (所志)’, means the written complaints, petitions, or reports, etc. submitted by civilians to county magistrate in the Joseon Dynasty. A summary of the petition submitted by the civilians and the judgement to the petition issued by the government in the form of a booklet were Minjangchibuchaek(民狀置簿册). Minjang and Minjangchibuchaek include a variety of social issues faced by the people, and the government's position to cope with them. It also shows the substance of the lawsuit and the trial procedure through the contents of Soji and the decision by the government office.
After the enactment the Constitution of the Court Act in 1895, the judicial power became independent. However, it was not completely independent of administrative power. Minjang of Kim San-gun shows that the trial system before the Gabo Reform, in which local government officials such as county governors and provincial governors preside over judicial affairs, was maintained. The trial system before and after the Gabo Reform was more continuous than separated based on the contents in Minjang of Gimsan-gu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