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백석 시 연구 = A Study on Baek Seok’s Poetry : The subject discovery patterns through his failur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25-152(28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그간 백석 시 연구는 주로 그의 과거지향성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다. 전근대와 근대가 길항하는 시기 백석이 보여준 전통적 세계는 더 이상 갈 수 없는 세계에 대한 갈망이었으며, 그와 같은 과정을 통해 종합적으로 ‘갈매나무’로의 선택을 하게 된다. 이는 그가 과거 전통적 세계가 복원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닫는 순간이며, 자신의 주체성을 확립하게 되는 것이다. 본고는 기존 연구에 동의하지만, 그렇다면 ‘갈매나무’에 이른 뒤 소급적으로 그의 시를 보게 될 때 역시 그의 과거지향성이 유효한가에 대한 의문을 갖는다. 소급성은 현재의 행위를 통해 과거의 의미가 뒤바뀌게 되는 것을 뜻한다. 과거의 행위들이 점진적으로 연결되어 현재 행위의 결과를 만들어 낸 것이 아니라, 현재 행위를 통해 과거의 잠재되어 있던 행위는 달라지며, 그 의미를 다시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소급적으로 보는 백석 시는 그간 드러나지 않았던 그의 삶에 대한 의지를 엿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그것은 반복되는 실패 양상을 통해 나타나고 있다.
소급적으로 백석 시를 본다는 것은 두 가지 측면에서 출발한다. 첫째, 최근의 백석 시 연구는 그가 북에서 창작한 작품까지 연구되고 있다. 그가 북으로 가기 전까지 발표한 작품들은 어느 정도의 연구가 이뤄진 것이 사실이며, 기존 연구의 해석 틀 안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면 백석시 연구는 완결적 위치에 이르렀는가. 그렇지 않다. 현재의 시점에서 소급적으로 다시 보게 되는 백석 시는 또 다른 층위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새로운 지점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소급적으로 백석 시를 본다는 것은 새로운 의의를 갖게 된다.
마지막 한 가지는 백석이 과거의 여러 기억들의 영향 속에서 결국 ‘갈매나무’에 이르게 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는 단지 ‘갈매나무’에 이른 것이다. 결과적 측면으로 그것에 이른 게 아니며, ‘갈매나무’로의 선택을 하였기 때문에 백석의 과거는 또 달라지게 된다. 특히나 그의 시에서 나타나는 텅 빈 세계, 사라진 세계에 대한 형상은 단순히 그의 쓸쓸한 정서만을 함의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은연중 자신의 정체성을 재확인하며, 현재를 살아내기 위한, 말하자면 지양(止揚)을 위한 행위였던 것이다. 외롭다거나 슬픈 감정의 토로의 이면에 숨겨진 실패의 양상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고에서는 「남신유동 박시 봉방」에서 나타나는 생각의 층위를 다섯 가지로 나눠 ‘갈매나무’에 이른 순간을 확인할 것이며, 이후 소급적으로 「마을은 맨천 구신이 돼서」 「나와 나타샤와 힌당나귀」, 「수라」까지 과거에 드러나지 않았던 실패의 양상을 통해, 즉 불가능성 속에서 그가 진정으로 찾고자 했던 가능성이 무엇인지 논의해볼 것이다. 더불어 내적 의식이 무엇인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백석 시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는 다른 새로운 시선을 견지할 수 있는, 활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So far, the study of Baek Seok’s poetry has been mainly focused on his past oriented disposition. The traditional world of Baek Seok’s time when the pre-modern and the modern period were antagonistic was a desire for a world that can no longer go. Baek Seok makes a choice of ‘Dahurian buckthorn Tree’ comprehensively through this process. This is the moment Baek Seok realizes that the traditional world can not be restored, and establishes his subjectivity. We agree with the previous study, but I doubt whether his past orientated disposition is valid even when we reach ‘Dahurian buckthorn Tree’ and then retrospectively read Baek Seok’s poem. ‘Retroactively’ represents the change of the past behind meanings through the current act. Not the way past actions are progressively linked to the outcome of the current action, but the way present actions become potential behavior of the past changes, and the meaning of the past can be grasped again. Retrospectively read Baek Seok’s poetry make readers see the will of his life which has not been revealed yet, which emerges with repeated failure patterns.
Looking back at Baek Seok’s poetry retrospectively starts in two respects. First, recent Baek Seok’s poetry studies have been analyzed from his works in North Korea. It is true that the works he published before he went to North Korea has been studied up to a certain level, and the results hasn’t far progressed from the interpretive framework of existing research. If so, has Baek Seok’s poetry research reached its final position? No it has not. Baek Seok’s poetry, which is retrospectively revisited at the present time, provides a new point to look at another level. Therefore, it gives us a new meaning to see Baek Seok’s poetry retrospectively.
One last thing is that Baek Seok did not finally reach the ‘Dahurian buckthorn Tree’ in the influence of past memories. He just reached the ‘Dahurian buckthorn Tree’. Baek Seok’s past changes because he did not come to it as a final conclusion and did make a choice of ‘Dahurian buckthorn Tree’. Especially, the appearance of the empty world, the lost world in his poem is not merely embracing his lonely emotion. It was an implied act of progressing in order to live up to his identity and live for the present, so to speak. You will be able to see the hidden aspects of the failure behind his confession of lonely or sad feelings.
Therefore, in this paper, we will see the moment of reaching ‘Dahurian buckthorn Tree’ by dividing the level of thought that appears in 「South Sinuiju Yudong Park Bong Bang」 into five categories. Moreover, by retroactively reading 「The village has become a ghost in all directions」, 「The white Donkey, Natasha and Me」 and 「Sura」 we will find out the aspect of failure that has not been revealed in the past and discuss what the likelihood he really sought in impossibility. In addition, we want to analyze what is inner consciousnes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of Baek Seok’s poetry will provide a way to stand a new perspective different from existing research.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21-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KCI후보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5-26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시학연구외국어명 : The Korean Poetics Studies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7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4 | 0.71 | 1.366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