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조선청화백자의 현대적 변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odern Change of Blue and White Porcelain in the Joseon Dynas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주제어
KDC
630.5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3-56(14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백자(白磁)는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자기(磁器)이다. 이 중에서도 청화백자는 청화안료(코발트, Cobalt)로 시문된 백자로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주류 자기였다. 조선 후기로 접어들면서 왕실이나 양반층에서만 향유하던 청화백자는 상품경제의 발달로 부를 축적한 중인들의 수요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자기 수요층의 증가는 다양한 기형(器形)과 문양으로 표현된 청화백자의 증가로 이어졌다. 개화기(開化期)로 접어들면서 분원(分院)이 사라지고 자기생산이 민영화(民營化)되었다. 그와 함께 외국의 자기, 특히 일본 자기가 국내로 유입되면서 조선의 자기는 경쟁력을 잃어갔다. 조선왕실의 몰락과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으로 식민지 국가로 전락했고 이로 인하여 전통단절의 위기에 봉착했다. 이후 36년간의 일제 통치하에서 일본식 산업도자만이 겨우 명맥을 유지했고 6.25를 거치면서 1950년대 말까지 장장 70~80년 동안 한국 도예의 맥은 끊어진 것과 다름없었다. 1950년대 후반에 들어서야 고려청자나 조선백자를 재현하려는 노력이 시작되었다. 원대정, 권순형, 김익영 교수가 각각 조선백자에서 찾을 수 있는 조형적 특징들을 주제로 조선백자를 형상화하려는 노력을 시작했다. 현대도예의 태동이 되는 대학교육의 시작으로 학생들은 전통기술을 전수 받거나 그 전통을 기반으로 변형된 형태미를 추구하기 시작했다. 이제 청화백자는 단순한 민예품이 아닌 새로운 모습으로 발현되고 있다. 분원 청화백자의 기법과 양식을 적용하여 제작되거나 청화백자의 표면적 특징은 유지하지만 재료와 기법을 다르게 제작한다. 그리고 영상이나 사진 등 재료를 벗어난 작품 등 여러 가지 방식으로 변용(變容)되고 있다. 오늘날 다변화된 도자 속에서 조선청화백자 역시 새롭게 이해되고 다양하게 재창조 되고 있다.
더보기The white porcelain is a representative porcelain in the Joseon Dynasty. The blue and white porcelains were preferred than any other porcelains and decorated with poetry and prose using a blue pigment, representing the late Joseon Dynasty. Since entering the late Joseon Dynasty, blue and white porcelains, which were enjoyed by only royal family or yangban , had become the target of demand by the middle class people who accumulated wealth owing to the development of commodity economy. This increase in demand of porcelain has led to the increase of white and blue porcelains expressed with various models and patterns. By the time of enlightenment, Bunwon was disappeared and production of porcelain became privatized. Along with this, as foreign porcelains, especially Japanese porcelains was brought into the country, Joseon porcelains lost competition in the domestic market. The fall of Joseon Dynasty and the aggression of Japanese imperialism resulted in colonial state in Korea, which accordingly encountered the crisis of a break with tradition. Only Japanese industrial porcelains were barely maintained to produce during the 36 years under Japan's rule and Korea pottery was virtually no longer in existence for 70~80 years throughout Korean War and the end of 1950s. It was not until the late 1950s that the efforts to reproduce Goryeo celadon and Joseon white porcelain were made. Professors including Daejeong Won, Soonhyung Kwon, and Yikyoung Kim made efforts to visualize Joseon white porcelains under the theme of figurative features that can be found in Joseon white porcelains. In addition, with beginning of university education as the birth of modern pottery, students started learning traditional pottery skills or seeking modified formative beauty based on the traditional skills. Now the blue and white porcelain is expressing a new form, not just a craft. It is produced by applying the technique and mode of Bunwon blue and white porcelain or differentiating materials and technique with preservation of characteristics of blue and white porcelain on the surface. It is also produced in many transformative ways for works such as visual images or photos, far from original materials. Nowadays, Joseon blue and white porcelains have been newly understood and variously recreated according to the diversification of ceramics.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4-2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 The Korea Association of Art&Design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3-3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공예논총 -> 조형디자인연구외국어명 : The Korea Society of Craft -> Th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6-15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공예학회 -> 한국조형디자인학회영문명 : Korea Society Of Craft ->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5 | 0.45 | 0.3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1 | 0.31 | 0.586 | 0.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