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교과 역량 하위요소와 기능의 구체화 = A Study on the Definition of Skills and Sub-elements of Practical Art(Technology·Home Economics) i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5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41-162(22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of the sub-elements of the subject capacity of the practical art, specifically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and the skills to formulate the 'subject capacity and sub-factors.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we conducted literature review, field expert survey, and discussion with the working group. Through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a conceptual draft of the sub-elements of the subject competency was developed, and the sub-element concept was defined through discussions between the researchers and the working group. The questionnaire with 5-point Likerts scale about the appropriateness of the skills presented in the previous research was u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researchers and the working group discussed the concepts of the sub-factors of the subject competency and appropriate skill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the sub-factors by subject competency for cultivating the capacity of the practical art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curriculum was defined and specified.
Second, the appropriate skills were derived in order to realize the capacity of the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subject.
It is expected that the concepts and skills of curriculum sub-elements embodied through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s for teaching the competency required by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5 and as a basic data for future curriculum revision.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방향에 따른 것으로, 실과(기술·가정)의 교과 역량의 하위요소의 개념과 기능요소를 구체화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문헌고찰, 현장전문가 설문조사, 워킹그룹과의 토의 과정을 거쳤다. 문헌 고찰을 통하여 교과 역량의 하위요소의 초안을 작성하였으며 연구진과 워킹그룹의 토론을 통하여 하위요소 개념을 정의하였다. 설문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기능요소의 적절성 판단에 관한 것이며, 5점 리커트 척도를 활용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진과 워킹그룹의 토의를 거쳐 적절한 기능요소를 도출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기술·가정) 교과 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 역량별 하위 요소의 개념을 정의하여 구체화하였다. 둘째, 실과(기술·가정) 교과 역량 함양을 구현하기 위하여 교과 역량별 하위 요소에 따른 기능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구체화된 교과 역량 하위요소 개념과 기능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교과 역량 함양 수업을 위한 방안이자, 향후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5-15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1.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5 | 0.97 | 1.367 | 0.3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