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Freire & Giroux’s Critical Theory and Its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Reform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English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97-412(16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Paulo Freire, Henry A. Giroux와 같은 최근의 교육이론가들은 비판이론을 통해 교육체제를 개혁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들은 인간해방의 의미를 재구성하려 하고, 학교를 사회화를 위한 중요한 작인(作因)으로 간주한다. 그들은 지배, 압제, 폭력을 비판한다. 전통적인 마르크스주의자들과는 달리, 그들은 하나의 인간지배 곧, 경제적 계급지배만 있다고 믿지는 않는다. 그들은 개인의 독창성과 창조성이 대중매체에 의해 말소되어 있다고도 주장한다. 그들은 또한 관료화와 권위주의가 지닌 위험성을 비판한다. 그런 특성들은 통치집단의 이익을 지속시키기 위해 지배를 받는 사람들의 실제적인 삶의 모습을 왜곡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들 가운데 Paulo Freire는 우리사회의 가장 비극적인 병폐 가운데 하나는 마음속에 있는 관료화라 했다. 관료화는 권위주의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교사들의 권위는 학생들의 잠재가능성, 독창성, 창의성을 안내하고 계발한다. 하지만 권위주의는 전문적인 지식이나 바람직한 가치에 근거한 권위와는 아주 다르다. 전자는 통제라는 지배구조에 따른 힘의 체제다. 그런 상황에서는 해설자로서의 교사와, 그저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기 만하는 학생들이 있을 뿐이다. 이런 권위주의는 소위 은행예금식 교육으로 이어진다. 이런 문제점을 제거하기위해 Henry A. Giroux는 ‘변화를 추구하는 지식인’으로서의 교사의 역할을 강조했다.
비판이론가들은 보통 억압자들 보다는 그런 것을 가능하게 하는 체제를 더 비판한다. 인간은 압제자보다는 그런 체제에 의해 희생물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것을 알게하는 것을 진리라 했다. 이처럼 체제나 제도나 이념을 비판한다는 점에서, 교육문제해결방안에 관한 그들의 접근방법은 미시적인 것이 아니라 거시적인 접근방법이다. 체제가 어떻게 변화되어야 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기에 그렇다. 하지만 이런 비판이론이 지닌 문제점으로는 그들이 사용하는 용어들이 애매성과 모호성을 지닌다는 점, 구체적인 실현방법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 진리에 관한 그들 나름의 특이한 해석을 들 수 있다
The recent educational theorists such as Paulo Freire, Myles Horton, and Henry A. Giroux are inclined to reform the educational system through the critical theory. They try to reformulate the meaning of human emancipation and view schools as agents of socialization. The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ow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dagogy and power. They criticize domination, oppression, and violence. Unlike traditional Marxists, they do not believe that there is only one human domination, that is, economic class domination. Critical theorists argue that the individual’s uniqueness and creativity are becoming obliterated by the mass culture. They also criticize the danger of bureaucratization and authoritarianism. The characteristics are apt to distort the actual life of the oppressed in order to perpetuate the ruling group’s interests.
Paulo Freire thought that one of the most tragic illnesses of our societies is the bureaucratization of mind. The bureaucratization is related to authoritarianism. Teacher’s authority guides and develops his/her student’ potentiality, uniqueness, and creativity. However, authoritarianism is quite different from authority based on professional knowledge and desirable value. The former is the power system accordance to hierarchy of control. Under the circumstances, there only exist teachers as narrators and students as receivers or repeaters. Authoritarianism leads to what is called banking ducation. For these reasons, Henry A. Giroux’s emphasized the role of teachers as transformative intellectuals. According to him, transformative intellectuals are aware of their own theoretical convictions and are skilled in strategies for translating them into practice.
Critical theorists usually criticize the system rather than present dominant people. Human beings are victims of the system rather than that of oppressors. Truth is to know such kinds of things. Their approach for the resolution of social or educational problems is not micro level analysis, but macro level analysis. The former has to do with an individual functioning, while the latter is to understand how the system has to be changed. However, their sayings and arguments also have several problems. First, many concepts they adopt are ambiguous and vague. The concepts are usually abstract. Next, they regard their views as truth and knowledge. However, their usage about the concepts are still somewhat controversial.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9 | 0.39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 | 0.803 | 0.2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