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시민운동의 정치세력화 전망 : 환경운동연합과 대전지역 시민운동단체의 지방선거 참여 사례를 중심으로 = Rise of New Social Movements and Formation of Alternative Political Party in Korea
저자
박재묵 (충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발행기관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The Center for Social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0
작성언어
Korean
KDC
350.0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9-92(24쪽)
제공처
소장기관
이 논문은 시민운동단체의 지방선거 활동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 시민운동의 정치 세력화 가능성을 전망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먼저 정치세력화와 다양한 통로를 검토하기 위하여 유럽의 녹색당 결성과 미국 환경운동 단체들의 선거운동 참여와 입법 로비 활동을 살펴보고 한국에서 녹색당 결성을 둘러싸고 전개된 논의를 요약 o 정리한 후, 시민운동단체의 지방선거 참여 결과를 분석하였다.분석 대상 시민운동단체로는 전국적 단체와 지역 단체로는 대전지역의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가 각각 선정되었다.
시민운동 단체들은 지방선거 부활 후 '환경 후부' 또는 '시민 후보'를 추대하고 이들을 지원함으로써 정치 지형의 변화를 의욕적으로 시도하였다.1995년과 1998년의 두 차례에 걸친 지방선거 결과만으로 장래의 변화를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일단 이 기간의 선거 참여의 결과는 시민운동의 독립적인 정치세력화가 쉽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첫째, 1995년의 지방선거와 1998년의 지방선거 사이에 시민운동세력의 지방정치 참여 움직임 자체가 후퇴하였다.이것은 기본적으로 시민 단체들이 특정 후보자를 '환경 후보' 또는 '시민 후보'로 추대하고 이들을 지원하는 것이 큰 실효성을 갖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이다.이러한 실효성의 문제는 다시 시민운동단체의 선거 참여와 관련된 법률적인 제한, 시민운동단체의 내부 역량 부족, 시민운동에 대한 대중적 지지의 한계 등에서 비롯된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로, 시민운동단체의 후보자 추천 및 이들에 대한 지원이 서유럽의 경우처럼 뚜렷한 대안 정치의 이념과 정책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시민운동단체 자체가 아직은 대안 정치를 이한 이념과 정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로, 한국 정치의 구조적인 특징인 지역 분할 구도는 대안 정치의 공간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feasibility of the Korean new social movements' turning info a new political group, based on the examination of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recent participations in local elections. Reviewing two Western model of new social movement groups' political participation, the Green Parties in Europe and lobbing in America, the paper summarized debases on organization of Green Party in Korea and examined the result of participation in local elections. Two social movement group, Korean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 (KFEM) and Taejeon Citizen's Alliance for Participation and Local Autonomy is selected as sample organizations and their election related activities were examined.
Since revival of local autonomy system, some social movement groups tried to change political structure by nominating new figures as 'citizen's candidate' or 'environmental candidate' and supporting them. Considering the result of last two rounds of]octal election, we can say that it will be veer difficult leer new social movement groups to form a new independent political power. First between 1995 and 1998 local election, social movement groups' activities in local election has receded. The recession in participatory activities seems to be attributed to lower ]travel of effectivity of social movement groups' nominating and supporting activities. Second, social movement groups which publich recommended 'citizen candidate' or 'environmental candidate' have not proposed their own political ideology and platform in a concrete form. Third, no room for alternative political parties has been allowed in 7orea, for locality based established parties usually have won loyal support from each regio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