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특집 2 : 2009, 아시아 영화의 새로운 발견 ; 세계화 속의 아시아 영화: 지역성 안에서의 일상성의 발견 = The Asian Cinema in the Globalization: The Discovery of Banality in Locali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688.0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9-123(25쪽)
제공처
이 연구의 목적은 세계화 속에서 아시아 영화가 재현하는 일상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일상성이라는 미시적 생활세계를 탐구한 감독들이 어떻게 작품 속에서 일상성을 발견하고 드러내는지를 살피려는 것이다. 현상학적·해석학적 접근을 통해 해명해 보고자 하는 감독들은 구로자와 아키라, 오즈 야스지로, 허우 샤오시엔과 장초치, 그리고 차오밍량인데, 이들의 영화를 통해 세계화라는 맥락 속에서 아시아 영화가 재현하는 일상성의 특징들이 일상성과 본래성과의 대립, 안온한 일상성에 대한 수용, 역사성과 교차하는 일상성, 세계화와 지역화 사이에서의 후기 근대적 공간성으로서의 일상성과 일상성에 대한 저항으로 해명됨을 살펴보았다. 특별히 오즈 야스지로 이후에 아시아의 지역성에 기반한 일상성 해명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되, 오리엔탈리즘을 넘어 아시아적 맥락 속에서 각자 특이한 방식으로 생활 세계의 일상성을 드러냄을 제시하였다. 다시 말해서 탈역사적인 일상성과 역사성과 겹치는 일상성, 저항적인 일상성 해명 등 각각의 특징은 다르지만 나름대로 일상성을 해명하면서 아시아의 다층적인 생활세계를 드러냄을 제시하였다.
더보기This study is to study banality in the asian cinema among the globalerization. And this study take the viewpoint of banality by Husserl, Heidegger and Gadamer`s theories.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considered aisan cinemas, which have reflected banality in the locality. And this paper is to examine Kurosawa Akira, Ozu Yasujiro, Hou Hsiao-Hsien, Chang Tso-chi and Tsai Ming-Liang`s films. By analyzing that films, I aim to show that banality is concerned with various kinds of characteristic.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re as follows. First, Kurosawa Akira`s banality is contrast with authenticity and the choose of the mode of existence. Second, Ozu Yasujiro showed these acceptance of everyday life and the ordinary people in their films. Ozu Yasujiro`s characters show themselves as the cycle of the seasons and still lives. Ozu Yasujiro`s visual object is everydat venality and taken as family life in the Japaness house. Third, Hou Hsiao-Hsien and Chang Tso-chi`s banality is related with history. For example, Hou Hsiao-Hsien`s A City of Sadness portrays historicity and babality in the local Taiwanese and history of the past century. Historicity is the biggest concern both for the pre-New Cinema films and Chang Tso-chi`s films. Forth, Tsai Ming-liang`s banality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historicity of Hou Hsiao-Hsien. Banality of spatiality has replaced the old obsession with historicity. Tsai Ming-liang`s Vive L`Amour portrays banality in the Taipei. He tried to take a glance of urban alienation and the difficulty of connection through ``Vive L`amour``. And he succeeded to describe resistance about banality.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